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한국문학 / 정한모 시선 초판본
정한모시선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40401

정한모 시선 초판본

읽기   인티  
지은이 정한모
엮은이 송영호

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첫 시집에서 여섯 번째 시집에 이르는 정한모의 시 세계는 줄곧 휴머니즘과 리리시즘이라는 용어를 수반한다. 이 시집에는 첫 시집 ≪카오스의 蛇足≫(범조사, 1958)을 비롯해 ≪餘白을 위한 抒情≫(신구문화사, 1959), ≪아가의 房≫(문원사, 1970), ≪새벽≫(일지사, 1975), ≪아가의 房 別詞≫(문학예술사, 1983), ≪原點에 서서≫(문학사상사, 1989)까지 총 여섯 권에 달하는 정한모의 전체 시 가운데 그 대표작들을 엄선해 수록했다.
“헤어날 수 없는 미로”의 시대, “공포의 독수리”가 사방에 득실거리는 한국 현대사의 우울한 풍경을 깊이 있게 응시하면서 그 속에서 사라져 가는 순수성과 인간화의 미덕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출하는 시 쓰기 방식은 정한모 시 세계에서 중요한 특징이다. 시작(詩作) 내내 시인은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멀어져 간 ‘순수’의 가치와 타락한 인간성 문제를 자기 시 세계 내부로 끌어들여 시 쓰기 작업을 지속했다. 현대사회가 상실한 것들, 우리 삶에서 잊힌 존재야말로 역설적으로 정한모 시인의 ‘가슴’과 시 세계를 추동하게 하는 핵심 요소들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모두가 순수 성채로서 삶에 대한 시인의 열망, 인간을 포함한 자연 생명체에 대한 무한한 신뢰와 사랑에서 비롯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기에 시인은 마지막 시집에서도 자기 삶의 ‘원점’으로 돌아와 “피 속에 섞여 흐르는/ 황토 흙냄새”, 그 순연한 생명의 향기를 끊임없이 “다시 확인”하고 있다.


 
200자평

시인 정한모는 파행적으로 전개된 우리 근대사의 불안과 어둠을 극복하고 순수 서정과 휴머니즘을 지속적으로 추구한다. 이를 통해 보여 준 생명 시학과 인간 존재의 고유성에 대한 탐구 정신은 한국 현대 시사(詩史)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확보한다.


 
지은이

정한모는 1923년 10월 27일(음력 9월 18일) 충남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일모(一 茅)다. 유년 시절은 부친이 주로 객지에 나가 있었기 때문에 조모와 모친 밑에서 외롭고 쓸쓸하게 보냈다. 석성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오사카에 있는 로카(浪華)상업학교에 입학한다. 이 시기에 그는 일본의 저명한 시인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 등의 작품을 읽으며 시인이 되는 꿈을 키운다. 1941년 12월 로카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체류하다가 부친 별세 소식을 듣고 급거 귀국한다. 1944년 12월에는 강제 징용을 당해 나고야 미쓰비시 항공기계제작소에 배치되어 고초를 겪다가 해방을 맞이한다. 1947년 9월, 25세라는 비교적 많은 나이에 서울대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한다. 전광용, 남상규, 정한숙, 전영경 등이 참여한 ‘주막’은 이 시기에 결성한 것이다. 대학 3학년 때인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고향 충청도 지역으로 피난을 간다. 이때 그는 공주대 교수로 재직하던 임헌도 소개로 1952년부터 1954년까지 공주사범대학교에 출강하는데, 여기서 만난 제자와 문인이 임강빈, 최원규, 박용래, 한성기, 권선근 등이다. 정전 다음 해인 1954년 서울 휘문고등학교에 교사로 부임하는 한편, 서울대학교에 복교한다. 그리고 이듬해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멸입>이 당선한다. 1988년에는 문공부장관으로 재직하며 납·월북 문인의 해금을 주도하는 등 문화 예술 행정가로서 폭넓은 업적을 남긴다. 1991년 2월 23일 안타까운 삶을 마감했으며, 유택은 경기도 고양군 광탄면 돈암동 가톨릭 묘지에 있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 한국시인협회장,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한국비교문학학회장, 방송통신대학 학장, 한국간행물윤리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제4회 한국시인협회상, 서울시 문화상, 제32회 예술원상,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등을 수상했다.


 
엮은이

송영호는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났다.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과에서 현대 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시 전문 계간지 ≪시와시학≫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새벽을 기다리는 마음의 시학>이 당선되어 문학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나태주의 서정시 연구>, <신석정 시의 상징체계와 시정신 연구> 등이 있으며, ≪장만영 시선≫(편저,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을 출간했다. 현재 경희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현대시박물관 부관장, 만해학술원 연구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차례

● ≪카오스의 蛇足≫
오늘
얼굴
바위의 意匠
고개 머리에서
어둠이 쌓이는 밤의 깊이에서
눈보라 속에서
雪原
氷花
陰影
바람과 함께
滅入
프랑카아드
餞送
海洋詩抄
바람 속에서

● ≪餘白을 위한 抒情≫
가을에
餘章
別離
밤의 生理
窓의 證言
서울 序章
아름다운 부끄러움은
演奏
감꽃
胎動
눈동자
아가들에게
제비
새풀 옷 마음 열리는 오늘도

● ≪아가의 房≫
睡眠의 숲 누비는
歸鄕
나비의 旅行
그라디오라스
돌의 노래
꽃 體驗 1
꽃 體驗 2
봄
목숨의 소리
한 마리 새
바다 素描
그 고운 마음을

● ≪새벽≫
새벽 1
새벽 7
어머니 1
어머니 3
어머니 6
우리는 다시 未來 앞에 서다
눈이 오려나
새
꽃의 旅程
LIMIT TIME
木蓮
겨울밤 이야기
빈 椅子
어두운 숲
길 위에서

● ≪아가의 房 別詞≫
痕迹 1
痕迹 2
痕迹 3
陰曆 4
아가의 房 別詞 4
아가의 房 別詞 7
城北散調 1
빛 소리
아침 交響
陽地
맑은 물같이
고향 길

● ≪原點에 서서≫
原點에 서서−序章
原點에 서서−12. 내일 모레 구순이신 어머니의 말씀에서
原點에 서서−14. 내 유년의 하늘엔
原點에 서서−15. 봄밤
原點에 서서−24. 갑사(甲寺) 계곡
原點에 서서−26. 고향의 봄
原點에 서서−32. 흙냄새
原點에 서서−36. 목련
당신의 비원(秘園)
신의 아들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책속으로

고향 길

집으로 돌아가는 마음은
초록빛 바람이었다.
날으는 새였다.
제비의 날개였다.

휘도는 산모롱이
배다리에 이르면
들판 건너 저 멀리
꿈에서처럼 보이는 마을들.

터진 목 징검다리
맑은 물 빠른 물살
양지뜸 비선거리

下馬碑는 이제
내 키보다 낮아지고.

평천 마을 높은 집
저기 대청마루에서
발돋움 돋움하며
어머니가 기다리고 계시던
그런 여름날.

집으로 돌아가는 마음은
날으는 새였다.
지금도 향기로운
초록빛 바람이었다.



서지정보

발행일 2014년 4월 10일
쪽수 226 쪽
판형 128*188mm ,  210*297mm
ISBN(종이책) 9788966803842   03810   16000원
ISBN(큰글씨책) 9791130452401   03810   25000원
분류 시, 지만지, 한국문학
초판본한국시문학선집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