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주자는 일생 동안 강학과 저술에 온 힘을 바쳤지만, 어려서부터 시 짓기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하지만 정호와 정이의 이학을 신봉하기 시작하면서 ‘언지서정(言志抒情)’을 위주로 하는 시 창작에 대해 심리적 갈등을 많이 겪었다. 특히 주돈이가 주창한 ‘문이재도(文以載道)’라는 글의 역할과 정이의 ‘작문해도(作文害道: 글을 짓는 것은 도를 해치는 것이다)’라는 극단적 견해로 인해 고민을 많이 했다. 그러나 수려한 산수 경물을 보면 감정이 동하고 시흥(詩興)이 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이는 가학(家學)과 사승(師承)의 관계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그의 부친인 주송은 당시 작시와 시학에 능한 유학자로 ≪위재집(韋齋集)≫을 세상에 내놓았으며, 천주(泉州)태수인 사극가(謝克家)가 주송의 시재를 높이 평가해 이름을 떨쳤다. 또한 주자의 청소년 시절 스승이었던 유자휘도 유학자이자 유명한 시인이었다. 그리하여 주자는 어려서부터 유학자로서뿐만 아니라 시인으로서도 자질을 키웠다. 남송 효종이 융흥(隆興) 연간(1163∼1164)에 공부시랑(工部侍郞) 호전(胡銓)에게 훌륭한 시인을 물색하라는 명을 내렸는데, 이에 1170년 말에 올린 상소문에 주자를 비롯한 15명의 명단을 올렸다. 이때 주자의 나이 41세였다. 또한 주자는 28세에 ≪목재정고(牧齋淨稿)≫라는 시집을 편찬했고, 이후 계속해서 10여 권의 시집을 냈다. ≪주문공문집≫을 보면, 앞 10권에 모두 1210수의 시사(詩詞)를 수록했고, 별집과 유집에도 187수의 시를 수록했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송시≫에도 약 90수가 있으니, 도합 1487수가 된다(장세후 옮김, ≪주자시 100선≫ 6쪽).
주자의 시가 중에 가장 많은 시는 산수시다. 그는 일생의 대부분을 정사와 서원에서 강학과 저술에 힘썼다. 그의 정사와 서원은 모두 수려한 산수 자연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는 천성적으로 산수를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강학과 저술로 일관된 무미건조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새로운 활력과 리듬을 찾고자 명승지를 탐방하고 승경을 감상하며 풍물을 노래했다. 물론 길지 않은 관직 생활을 하면서도 여러 곳에 유람의 족적을 남겼다. 그는 언제나 이학가의 본분에서 벗어나지 않기 위해 애를 많이 썼다. ‘음풍농월(吟風弄月)’이라고 하는 자체가 유학자의 신분과는 배치되기 때문에 스스로 경각심을 야기해 수시로 반성과 사변을 통해 극복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천성적인 산수 사랑과 풍부한 시정, 그리고 탁월한 시작 능력이 때로는 그의 이성적 사변을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학도(學道)’와 ‘음시(吟詩)’의 절충을 모색했는데, ‘공문시교(孔門詩敎: 공자 문하의 시 교육)’를 근거로 시작의 당위성을 내세웠고, 음풍농월의 행위 또한 이학가들에게 활력과 심리적 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대사 작용이라고 스스로 간주했다. 더욱이 천지 만물에 이(理)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산수를 관조하고 산수미를 파악하는 것은 천리(天理)를 깨우치려 하는 것으로, 이학가가 내세우는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주장과도 상응하는 것이라 여겼다. 따라서 ‘음풍농월’하는 것은 산수 자연으로부터 각 경물이 지니고 있는 존재 이유와 우주 만물의 섭리를 깨우치는 데 일말의 효용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그의 산수시에는 남성적인 강건함과 호방하고 웅대한 풍격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개인적인 기질과도 관련이 있지만 이학 사상의 심미관을 그대로 반영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200자평
성리학을 집대성하고 사서오경을 확립해 공자 다음가는 성인으로 추앙받는 주희. 그러나 그가 산수시의 대가라는 점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시대 사림에게 큰 영향을 준 ‘무이도가’를 비롯해 주자의 산수시 23편 45수를 실었다. 산과 물 가운데 흥이 있고 도가 있다.
지은이
주자의 이름은 주희(朱熹, 1130∼1200)이며, 자는 원회(元晦) 또는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시호는 ‘문(文)’이어서 ‘주문공(朱文公)’이라 부른다. 원적은 흡주(翕州) 무원[婺源,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우위안시]인데, 흡주가 남송 때 휘주(徽州)로 개칭되었고, 휘주(지금의 안후이성) 아래쪽에 신안강(新安江)이 흘러서 그의 본관을 ‘신안’이라고 한다. 주자는 공자와 맹자 이후로 중국 역대 최고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북송 5자[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소옹(邵雍)]의 유가 학문을 집대성하면서, 주돈이의 ‘태극(太極)’을 정호의 ‘천리(天理)’와 같은 것으로 보고, 정이의 ‘성즉리(性卽理)’ 사상을 발전시켜 성리학을 완성했다. 또 중국 유가 경전을 정리해 ≪논어(論語)≫,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을 4서로, ≪시경(詩經)≫, ≪상서(尙書)≫,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5경으로 분류했다. 19세 때 진사에 급제한 이후, 고종(高宗), 효종(孝宗), 광종(光宗), 영종(寧宗) 등 네 임금이 차례로 바뀌는 동안 실제로 벼슬을 한 기간은 지방 관리로 8년 여, 황제에게 조언과 강의를 하는 벼슬인 궁중 시강으로 46일, 도합 9년이 채 되지 않는다. 그는 관직 생활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간을 무이산과 부근의 숭안, 건양 등지에서 보냈다. 주자는 강경한 성격과 단호한 태도로 인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오해를 받았는데, 결국 당시 실세인 한탁주(韓侂冑)의 의도적인 배척과 호굉이 작성하고 심계조(沈繼祖)가 올린 탄핵문에 의해 1196년 시강과 사당 관리직에서 해임되었으며, 1198년에는 ‘위학(僞學)’으로 내몰려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일절 금지되었다. 물론 ‘위학’ 규정에 따라 벼슬도 하지 못했다. 그는 향년 71세의 나이로 1200년 음력 3월 9일에 건양 고정(孤亭) 마을의 창주정사(滄州精舍)에서 숨을 거두었다. 사후인 1208년에 시호를 받았고,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1221년이 되어서야 겨우 행장(行狀), 즉 전기가 나올 수 있었다. 그의 사위인 황간(黃榦, 1152∼1221)이 썼다. 1227년에는 ‘태사(太師)’라는 칭호를 받아 ‘신국공(信國公)’에 추봉(追封)되었으며, 이듬해 ‘휘국공(徽國公)’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그가 편찬한 책은 80여 종, 남아 있는 편지글은 2000여 편, 대화록은 140편에 달하며, 총 자수로는 2천만 자나 된다. 주요 저서로는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 ≪초사집주(楚辭集注)≫, ≪시집전(詩集傳)≫,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등이 있으며, 그의 제자들이 편찬한 ≪주자어류(朱子語類)≫, ≪문공가례(文公家禮)≫, ≪주회암집(朱晦庵集)≫ 등이 있다. 그리고 여조겸과 공동 편찬한 ≪근사록(近思錄)≫은 주돈이(周敦頤), 정호(程顥), 정이(程頤), 장재(張載)의 글과 말에서 622개 항목을 가려 뽑아 14개의 주제별로 분류 정리한 책으로, 이후 성리학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문헌 중 하나가 되었다. 주자는 경학, 사학, 문학, 불학(佛學)뿐만 아니라 ‘이(理)’가 물질세계의 근원에 존재한다는 차원에서 심지어는 자연과학 서적까지도 고증을 거치고 훈고를 행해 올바른 주석을 달았다.
옮긴이
심우영(沈禹英)은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중문과에 교환학생으로 입학해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상명대학교 중국어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중문학회 회장,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캐나다 UBC에서 방문학자로 1년간 체류했다. 또한 교내에서는 부총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쳤고, 특히 한중문화정보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면서 여러 프로젝트를 수주해 중국 지역학 연구에 매진했다.
저역서로는 ≪중국 시가 여행≫, ≪중국 시가 감상≫, ≪태산, 시의 숲을 거닐다≫, ≪형산, 시의 산을 오르다≫, ≪아미산, 시의 여행을 떠나다≫ 등 다수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소주 원림의 경명(景名) 연구>, <위진 원림시와 생활미학> 등 수십 편이 있다.
현재 중국의 산수 문학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의 명산(名山)과 관련된 산수시를 우리나라에 소개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례
구곡도가(九曲櫂歌) 10수
서시
일곡
이곡
삼곡
오곡
육곡
칠곡
팔곡
구곡
추진정
충우관
방지
청허당(일명 무이정사 관묘당에서 묵다)
제1수
제2수
오공제 시의 각운자를 써서 짓다
천주봉
승진관
승진동
선학암
대소장봉
무이정사 잡영(武夷精舍雜詠) 12수
무이정사를 여러 가지로 읊고 서문을 아우름
정사
인지당
은구실
지숙료
석문오
관선재
한서관
만대정
철적정
차 끓이는 부엌
고깃배
오공제 <정사> 시의 각운자를 쓰다
무이정사를 둘러보다
대은병(일명 무이산에서 유람하다 요초 줍기를 서로 기약하면서, 운자를 나누어 집어 요 자를 얻었다)
앙고당에서 유공보를 추모하며
영봉(일명 무이산을 지나며 짓다)
악경을 위해 곡을 하다
도수갱에서 짓다
종정인 중기와 태사인 경인과 함께 산을 유람하는데, 문숙과 무실 또한 이르러 기뻐하다
앞의 각운자를 써서 중기와 이별하다
유자징이 멀리서 양구를 보냈는데, 또한 인을 품고 의를 돕는 말이 있었다. 두 수의 절구를 지어 사례하며, 천 리 먼 곳에 하찮은 것을 보낸다
산을 나와 도중에 즉석에서 시를 짓다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 서시
무이산 산 위에는 신선이 있고
산 아래 찬 물결은 굽이굽이 맑네.
그중에 절경을 알고자 하니
뱃노래 두세 마디 한가롭게 들리는구나.
序詩
武夷山上有仙靈
山下寒流曲曲淸
欲識個中奇絶處
櫂歌閒聽兩三聲
● 육곡
육곡에는 창병봉이 짙푸른 물굽이를 두르고
오두막에는 종일토록 사립문이 닫혀 있네.
나그네가 와서 노를 저으니 바위꽃 떨어지나
원숭이와 새는 놀라지 않고 봄 정취만 한가롭네.
六曲
六曲蒼屛繞碧灣
茆茨終日掩柴關
客來倚棹巖花落
猿鳥不驚春意閑
● 천주봉
우뚝 하늘로 솟은 기둥 하나
중추가 되어 운행하며 동쪽을 떠받드네.
단지 천지가 크다고만 말하지
사극(四極)을 세운 공을 누가 알겠는가?
天柱峰
屹然天一柱
雄鎭斡維東
只說乾坤大
誰知立極功
● 무이정사를 둘러보다
신령스런 산 아홉 굽이 시내를
거슬러 오르면 이 중에 가운데라네.
물은 깊고 파도는 넓게 일어
푸른 봄이 떠다니며 세차게 흘러가네.
위에 있는 푸른 바위 병풍은
백 길 높이로 우뚝 솟아 장관이라네.
절벽에 드러난 가파른 바위는
높이 솟아 은하수에 닿을 만하지만,
얕은 산기슭은 굽이돌며 내려가고
깊은 숲 속에는 무성한 관목이 여전하네.
천년 동안 어찌 문을 닫고 있었을까?
어느 날 이곳에 이르러 문을 열었네.
나는 새 마을에서 거룻배를 타고는
푸른 풀 무성한 언덕에 노 멈췄네.
덤불 자르고 호미질하길 좋아해서
일구기를 다하면 다듬기를 고려했네.
편안한 마음으로 담장을 돌아보니
묘한 곳이 어찌 이리도 크고 많은가?
좌우로 기묘한 봉우리가 우뚝 솟아
주저하다 경치 좋은 곳으로 놀러 가네.
봄이 거의 끝나 가는 시기인데도
붉고 푸른 것이 뒤섞여 빛나고,
좋은 새들이 때때로 울어 대니
은사는 멀리서 손짓하며 부르네.
잠시 노닐었더니 마음은 상쾌하고
홀로 가려 하나 몸은 오히려 얽매이니,
몸조심하며 근엄한 사람의 자태는 버리고
다시 돌아와 머무르며 은사와 짝하리라.
行視武夷精舍
神山九折溪
沿溯此中半
水深波浪闊
浮綠春渙渙
上有蒼石屛
百仞聳雄觀
嶄巖露垠堮
突兀倚霄漢
淺麓下縈回
深林久叢灌
胡然閟千載
逮此開一旦
我乘新村舠
輟棹靑草岸
榛莽喜誅鋤
面勢窮考按
居然一環堵
妙處豈輪奐
左右矗奇峰
躊躇極佳玩
是時芳節闌
紅綠紛有爛
好鳥時一鳴
王孫遠相喚
暫遊意已愜
獨往身猶絆
珍重捨瑟人
重來足幽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