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국에서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된 것은 2001년부터라고 할 수 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디지털 방송 시장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였고 디지털 방송 정책도 이렇다 할 구체적인 내용을 담보하고 있지 못하였다. 디지털 방송 전환 일정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전체적인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 되어서야 가능하였다. 이 보고서는 중국의 디지털 방송 전환이 구체적인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2003년 이후의 상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려 하였고 가능하면 전체 그림을 시야에 넣을 수 있도록 큰 구조와 총체적인 틀을 잡기 위해서 보고서의 내용을 시장, 정책, 콘텐츠·채널, 수용의 네 가지 구성 요소 순으로 정리하여 보았다. 중국에서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된 것은 2001년부터라고 할 수 있지만 그때까지만 해도 디지털 방송 시장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하였고 디지털 방송 정책도 이렇다 할 구체적인 내용을 담보하고 있지 못하였다. 디지털 방송 전환 일정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전체적인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2003년이 되어서야 가능하였다. 이 보고서는 중국의 디지털 방송 전환이 구체적인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2003년 이후의 상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려 하였고 가능하면 전체 그림을 시야에 넣을 수 있도록 큰 구조와 총체적인 틀을 잡기 위해서 보고서의 내용을 시장, 정책, 콘텐츠·채널, 수용의 네 가지 구성 요소 순으로 정리하여 보았다. 제2장 시장에서는 현재 단계가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송이 혼재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일반적인 방송 현황과 디지털 방송 전환 현황을 함께 정리하였다. 제3장 정책에서는 디지털 방송 정책이 추진되기 전까지의 배경으로 WTO 가입을 전후한 중국의 방송 구조 개혁 조치의 핵심과 금년 들어 점차 그 강도가 커지고 있는 방송 영상 시장 개방화 조치를 정리하였다. 제4장 콘텐츠/채널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성패 여부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되지 않을 콘텐츠의 디지털화 현황, 제작과 유통 상의 문제점들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 수용에서는 이미 제공되고 있거나 새롭게 제공될 계획인 디지털 방송 콘텐츠 혹은 채널에 대한 중국 수용자들의 태도를 지루하다 할 정도로 세분화된 자료를 통해 정리해 보았다.
200자평
중국 디지털 방송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2003년 ~ 2005년 현재까지의 디지털 방송 발전사. 중국 방송 시장, 정책, 콘텐츠.채널, 수용 등 구성요소 순으로 큰 흐름을 돌아본다. 또한 실제조사를 통해 중국 방송의 현황과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사례, 중국의 방송 구조 개혁 및 방송영상 시장의 개방정책, 콘텐츠의 디지털화와 문제점, 중국 수용자들의 태도를 상세하게 전한다.
지은이
강만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에 출강하고 있으며, KBS 시청자평가원, 한국방송학회 비상임이사로 활동 중이다. 2006년 현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차례
1장 서론
1. 문제 제기
2. 보고서의 구성
2장 시장
1. 전체적 개황
2. 지역별 현황
3. 방송사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추진 현황
4. 방송사의 디지털 방송 경영 분석
3장 정책
1. 디지털 방송 정책 추진 배경
2. 디지털 방송 주요 정책 동향
3. 디지털 방송 추진의 장애 요인과 해결 과제
4장 콘텐츠/채널
1. 디지털 방송 콘텐츠 제작 현황
2. 디지털 방송 유료 채널 현황
3. 디지털 방송 유료 전문 채널 현황과 전망
5장 수용
1.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용 현황 분석
2. 디지털 방송 서비스 형식에 따른 소비와 수요 현황 분석
3. 디지털 방송 유료 전문 채널 소비·수요 현황
4. 디지털 방송 서비스 요금에 대한 태도 분석
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