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오늘날 세계는 지식기반사회를 너머 창조경제 패러다임으로 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가치로 두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내고자 창조경제를 국정기조로 내세우고 있다. 창조경제는 창조성에 의해 부를 창출하는 가시적인 성과 외에도 거시적인 안목에서 건강한 창조생태계 형성을 목적으로 삼는다. 새롭게 도래하고 있는 창조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창조산업, 창조도시, 창조생태계 등의 개념을 살펴본다. 또한 창조경제라는 하나의 방법론은 궁극적으로 문화융성이라는 가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융성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바탕이 되어야 하는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문화지능 등의 개념도 알아본다.
200자평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새롭게 도래하고 있는 창조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창조산업, 창조도시, 창조생태계 등의 개념을 살펴본다. 또한 창조경제라는 하나의 방법론은 궁극적으로 문화융성이라는 가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융성이라는 화두를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바탕이 되어야 하는 문화다양성, 상호문화주의, 문화지능 등의 개념도 알아본다.
지은이
홍종열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외래교수다. 독일 트리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비교문화경영학과 유럽연합학을 전공하여 유러피언 비즈니스(European Business)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유럽연합(EU)의 문화정책에 관한 논문으로 문화콘텐츠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을 맡아 관련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 ‘유럽연합(EU)의 문화산업과 문화정책’(2012), ‘문화콘텐츠와 문화코드’(공저, 2011), ‘상상력과 문화콘텐츠’(공저, 2013), ‘(키워드 100으로 읽는)문화콘텐츠 입문사전’(공저, 2013), 주요 논문으로는 “창조유럽(Creative Europe)과 창조경제의 문화 아젠다”, “창조경제 시대의 문화산업과 지역문화정책”, “EU 문화정책 아젠다 속에 나타난 글로컬라이제이션”, “상호문화능력으로서 문화지능 개념에 관한 고찰”, “유럽의 다문화사회와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등이 있다.
차례
01 창조산업
02 창조계급
03 창조도시
04 문화콘텐츠
05 창조생태계
06 문화융성
07 문화 다양성
08 상호문화주의
09 문화지능
10 창조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