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청소년 영화교육은 청소년이 자신만의 관점으로 영화를 해석하는 능력을 키워 주고 영상 미디어를 활용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영화 제작 방법을 알려 준다. 이는 영상물을 이용한 개인 정보와 저작권 보호 교육과 보편적인 예술 교육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단순히 영화를 감상하고 제작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상 문화 전반을 배우는 것이 바로 현대의 청소년 영화교육이다. 이 책은 우선 청소년의 특성과 한국 사회에 뿌리 내린 영상 문화를 소개하고 청소년과 영상 문화의 관계를 살펴본다. 이를 기반으로 청소년 영화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설명한다. 독자가 현대 영화교육의 특징을 이해하고 좀 더 쉽게 청소년 영화교육에 다가갈 수 있게 돕는다.
지은이
오세섭
미디어교육연구소 ‘모아’의 공동 대표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 연출,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영상 시나리오를 전공했다. 중앙대학교에서 “영상 미디어를 통한 청소년의 자기표현”(2016)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상 문화와 영화교육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영화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한 고찰”(2018), “유통자 중심의 영상 문화 운동 사례 연구”(2016), “청소년 영화제의 형성 과정과 영향 요인”(2014), “청소년 영화 속 여성 캐릭터 연구”(2014) 등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고등학교 교과서 『영화 감상과 비평』(2018)에 집필진으로 참여했다. 이 모든 것은 어쩌면 청소년영상페스티벌 실무자로 사회의 첫발을 내디뎠을 때 예견된 일인지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다. 창작 활동으로는 장편 극영화 <싫은 건 아니지만>(2017)과 장편 다큐멘터리 <쓰선들의 추억>(2015)을 완성했다. 현재 다큐멘터리 <나는 왜 전인권 씨의 딸과 통화를 했나?>와 장편영화 <좀비는 좀비끼리, 우리는 우리끼리>를 만들고 있다.
차례
01 청소년 영화교육의 목표
02 청소년 영화교육의 역사
03 청소년 영화교육의 갈래
04 청소년 영화교육의 방법
05 청소년 영화 교과서
06 인성 교육을 위한 청소년 영화교육
07 청소년 영화의 특성
08 청소년 영화의 제작 목적
09 청소년 영화제
10 청소년 영화교육의 미래
책속으로
청소년의 자발성은 영상 문화의 이러한 특성과 결합해 상호작용하며 동반 상승효과를 거두고 있다. 영상 문화 안에서 청소년의 실천 행위는 다시 영상 문화 자체를 살찌우고, 청소년은 문화 주체성을 획득해 자신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청소년기에는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으며, 상호 모방과 인정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해 나간다. 따라서 영상 문화에서 표현 활동은 결국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행위이며, 청소년을 심리·사회·경제적 자립으로 이끄는 수단이 된다. 사람들은 영상물을 만들면 이를 공유해 반응을 듣기를 원하고 경우에 따라 칭찬받기를 원한다. 그런 과정에서 타인과 내가 다르지 않음을 확인하며, 서로의 개성을 존중하게 된다. 이 모든 것이 바로 청소년 영상 문화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영상 문화를 즐기는 청소년과 함께” 중에서
지금까지 살펴본 영화교육의 목표는 공통적으로 영화라는 매체와 그 예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영화교육의 목표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시대에 영화교육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언급했던 영화교육의 목표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영화교육은 음악이나 미술 같은 일반 예술교육이다. 우리가 예술 작품으로 미학과 예술적 가치, 아름다움을 배울 수 있듯이 영화에서도 이러한 개념을 똑같이 배울 수 있다. 영화는 다양한 예술 장르가 모여 이루어진 예술 작품이며 영화교육은 영화로 보편적인 예술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청소년 영화교육의 목표” 중에서
이렇게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이때 영화교육은 영화에 대한 교육(teaching about film)이라는 전통적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영화를 통한 교육(teaching through film)이라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것은 종래 음악 교과와 미술 교과가 학교에서 각각의 교과 특성을 바탕으로 보편적인 예술교육을 담당했듯이 영화 교과 또한 영화의 특성을 기반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하려 함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공교육 안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청소년 영화교육의 미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