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25년 고교학점제 시행 앞두고 ‘청소년 영화교육’ 주목
<기생충>과 <미나리>, <오징어게임> 등 한국영화와 드라마가 전 세계를 석권하면서 영화를 공부하려는 청소년들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2025년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청소년 영화교육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진로와 소질 계발을 고민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영화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의 영화교육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미치지 못해 현실과의 간격이 점점 벌어지고 있다. 청소년 영화교육은 커리큘럼 구성과 수업 준비, 실행, 정리 단계별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영화교육은 태생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모형과 닮았다. 지식을 전달하는 것보다는 공동 실습 과정에서 학습자 간 의견을 나누고 문제를 해결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영화제작과정도 프로젝트기반학습의 각 단계와 유사하고, 시나리오 수업은 또래교수학습 모형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영화학습자는 일반적인 학습자와 달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다른 학습자와의 논쟁도 마다하지 않는다. 영화교육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대체로 평등한 관계이며 학습자는 교수자와 함께 수업을 완성한다. 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서 영화교육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기존의 위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으며, 학습자간 교류도 활발하다.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유대감을 얻기도 한다. 때로 비판과 조언을 듣기도 하고 교류를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한다.
영화교육에서 제작영역의 수업은 크게 실습과 창작으로 나눌 수 있다. 교과 특성상 촬영과 편집을 위한 장비 실습, 프로그램 실습 등이 필요하며, 이를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영화를 창작하는 제작 워크숍이 있다. 이러한 제작영역의 교수법으로는 참여형 수업과 프로젝트기반학습이 있다. 참여형 수업은 일종의 실습이며 프로젝트기반학습은 학습자가 학습의 전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해 탐구활동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프로세스는 영화제작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영화 감상 수업에서는 먼저 작품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교수법 중에서도 특히 발견학습이 어울린다. 발견학습이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원리를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으로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수업이다. 감상수업은 토의식 수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코로나 시대의 학교는 처음으로 중단을 경험했지만 영화교육은 늘 중단의 연속이었다. 기존의 교육과정에 아예 비연속성을 반영하여 상황에 따라 분절이 가능한 교육과정으로 재편하고 이를 영화교육의 특성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200자평
한국영화가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면서 영화를 공부하고 싶어 하는 청소년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2025년 고교학점제 시행을 앞두고 청소년 영화교육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영화교육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미치지 못했다. 청소년 영화교육에서는 좀 더 다른 교수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교수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었다.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에 관해 설명하고, 영화의 학습 영역에 따른 교수법을 살펴보았다. 주제에 따른 커리큘럼 구성, 수업의 준비와 실행, 교안 작성까지 영화 수업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비대면 교육 방법에 관한 고민까지 포함해 영화교육이 나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지은이
오세섭
영화 연구자이자 독립영화감독이다. 홍익대학교 교육학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화과를 졸업한 뒤,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영상 시나리오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중앙대학교에서 “영상미디어를 통한 청소년의 자기표현”(2016)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영화교육으로 “비대면 영화교육의 전망: 불편한 인식에서 적응으로의 전환”(2021) 등의 학술논문과 『중등 임용고시 연극영화 기출 문제 해설서』(공저, 2021), 『청소년 영화교육의 이해』(2019), 『고등학교 영화 감상과 비평』(공저, 2018) 등을 집필하였다. 또한 “문화공간으로서 ‘테미오래’의 활성화 방안 연구”(2021), “팬데믹 위기 시대 대전시립박물관의 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2021) 등 다양한 문화 연구에 참여하였다. 공포영화에 관한 애정을 담아 『공포영화, 한국 사회의 불안』(2020)을 출간하였으며, <좀비는 좀비끼리 우리는 우리끼리>(2020)를 연출하기도 했다.
차례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영화교육
01 교수자와 학습자
02 수업 커뮤니케이션
03 영화교수방법의 이론들
04 영화 이해·제작·감상 영역의 교수법
05 영화수업의 준비와 실행 그리고 정리
06 영화교육 커리큘럼 구성법
07 영화교과 교수·학습과정안 구성
08 실시간 화상 수업의 교수법
09 모듈형 영화교육과정의 이해
10 영화 교수자의 역할과 전망
책속으로
영화교육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는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작용 속에서 복합적으로 교류하는 다중의 관계라 할 수 있다. 여기에 학습자 사이의 관계까지 생각한다면, 영화교육에서는 매우 다층적인 관계가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_ “01 교수자와 학습자” 중에서
비평 단계에서는 영화 속에서 묘사한 현실과 실제 세계 사이의 리얼리즘을 비교하는가 하면, 매체적 측면에서 영화와 방송, 라디오, 온라인 세계와의 관계성,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학습자는 영화가 사회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이해하며, 영화를 통해 세상을 읽는 법을 기를 수 있다.
_ “03 영화교수방법의 이론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의 태도와 반응을 살피는 것이다. 수업은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은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다. 수업은 마치 음악처럼 리듬을 갖는다. 빨리 진행하는 부분이 있다면 반대로 천천히, 자세하게 설명하는 부분이 있으며, 학습 내용 안에서도 중요한 부분과 평이한 부분이 공존한다.
_ “05 영화 수업의 준비와 실행 그리고 정리” 중에서
화상 수업 프로그램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한 화면에 등장한다. 이때는 교실에서처럼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단일 시선이 아니라 모두가 모두를 바라보는 다자 구도가 된다. 그러므로 화면 속에서는 마치 둥글게 앉아서 얼굴을 마주 보는 것처럼 서로 시선을 교환할 수 있다. 이런 환경을 활용한다면, 학습자 간의 활발한 토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_ “08 실시간 화상수업의 교수법” 중에서
코로나 시대의 학교는 처음으로 중단을 경험했지만, 영화교육은 늘 비연속성과 중단의 연속이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교육과정에 아예 비연속성을 반영하여 상황에 따라 분절이 가능한 교육과정으로 재편하고, 이를 영화교육의 특성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_ “09 모듈형 영화교육과정의 이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