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반(反)실증주의가 기본 입장인 현상학은 경험주의의 한계와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사유 형식이다. 현상학적 사회과학은 주관적 의미의 세계인 상호주관적 생활세계를 이해 분석하는 질적 방법론으로서 실증주의에 맞서는 이론 형성의 기반이 되었다. 실증주의에 터를 둔 양적 연구의 한계 극복 방안은, 현상학을 비롯한 비판이론, 구조주의, 실존주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일련의 연구사조에 의한 보다 적절한 접근 방법의 탐구로 강구된다. 이는 커뮤니케이션학의 성립 근거를 묻는 철학적·인식론적 비판·보완 작업이기도 하다. 커뮤니케이션학의 뿌리 찾기, 존재론적 점검, 연구 목표에 대한 가치론적 검토 등으로 계량적 접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은이
이범수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수사학(rhetoric)과 동양 고전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사상을 연구한다. 한국언론정보학회 및 동양고전학회 회장, 한국수사학회 감사, 사단법인 유도회(儒道會) 및 민주언론시민연합 이사장, 방송문화진흥회 이사 등을 지냈다.
저서로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공저, 1990),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공저, 1993), 『북한 언론의 이론과 실천』(공편저, 1991), 『김정일시대의 언론 이론과 정책』(공편저, 1994), 『현대 북한 언론의 이해』(공편저, 1999)가 있고 역서는 『꼬마 모리쯔 이야기』(1986), 『혁명과 커뮤니케이션』(공역, 1987) 등이 있다. “커뮤니케이션학에의 현상학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1985, 석사학위논문), “사서삼경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사상 연구”(1994, 박사학위논문), “수사학적 기사작성 모형 연구”(2011, 공저) 외 다수의 논문들이 있다.
차례
01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02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03 현상학의 주요 구성 개념들
04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 현상학
05 현상학, 실존주의, 커뮤니케이션학
06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론, 커뮤니케이션학
07 현상학, 민속방법론, 커뮤니케이션학
08 기호현상학의 인식론적 토대
09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10 커뮤니케이션학과 현상학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