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한국 영화사에서 정책과 산업은 중요한 키워드다. 우리의 현대사는 식민지 시기와 개발독재 시기의 굴곡에서 정부 정책이 영화 산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과정을 겪어왔다. 영화법과 제도는 산업구조뿐만 아니라 영화 장르와 작품 경향의 중요한 형성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한국 영화 정책과 산업의 역사를 통해 시대의 흐름을 이해하고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은이
김미현
영화진흥위원회 국제사업부 팀장이며 세종대학교 영화예술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중앙대 첨단영상대학원에서 『한국 시네마스코프에 대한 역사적 연구』(2005)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7년 가을학기부터 1년간 하버드 대학 시각예술학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2001년 영화진흥위원회에 입사한 후 한국 영화사를 비롯해 영화산업과 문화정책을 연구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주요 저술로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책임편집, 2006), 『창의성에 대한 11가지 생각』(공저, 2009), 『한국영화 정책과 산업』(2013) 등이 있고, 논문에는 “ 『안개』의 모더니즘과 비판적 근대성”(2012), “한국영화 자본조달 구조와 유형에 대한 연구”(2012), “지역의 영상정책 사례: 한국과 프랑스의 지역협력형 사업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차례
영화법 이전 시기(식민지∼1950년대)
영화법 시기(1962∼1995)
영화진흥법 이후 시기(1996∼)
영화 심의제도: 검열에서 등급제로
한국영화 산업의 성공요인과 지원 정책
한국영화시장의 형성 과정
외화의 수입 상영과 시장 개방
한국영화 유통 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국영화 산업과 대기업
산업통계로 본 한국영화
책속으로
영화의 제작과 상영은 사회·정치 맥락에서 비롯된 정책과 법제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
“한국 영화, 지속가능한 성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