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도원결의록(桃園結義錄)
도원수권률전(都元帥權慄傳)
도원전
도척전(盜跖傳)
도행전(桃杏傳)
도화선(桃花扇)
≪도화유수관소고(桃花流水館小藁)≫
독갑이말
돈수언전
동각일사(東閣逸事)
동국사기(東國史記)
동국세기(東國世記)
동국역대전(東國歷代傳)
동국조판서전(東國趙判書傳)
동국지(東國志)
동명왕실기(東明王實記)
동방기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
동봉소설(東峯小說)
동봉전
동빈기(洞賓記)
동상기(東廂記 / 東床記)
동상기서(東廂奇書)
동상기찬(東廂記纂)
동선기(洞僊記 / 洞仙記)
동선사(洞仙事)
동선전(洞仙傳)
동선화(洞仙花)
동오왕자녀별전(東吳王子女別傳)
동유기(東遊記)
동자문답(童子問答)
동주연의(東周演義)
동주열국지(東周列國誌)
동진연의(東晋演義)
동한연의(東漢演義)
됴
두껍대전
두껍전 ①
두껍전 ②
두껍전 ③
두생효감
두씨정절록(杜氏貞節錄)
두용전
두호기연록
두홍전(頭紅傳)
둑겁전
둘재전
등대윤귀단가사(滕大尹鬼斷家私)
등생전(鄧生傳)
등하미인전(燈下美人傳)
란
령
로
룡
류
륙
리
림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도원결의록(桃園結義錄)
중장편. 도원결의한 유비·관우·장비의 이야기. 중국의 <삼국지연의>(모종강본) 제20∼30회가 개역(改譯)된 작품. 삼국시대 때 유비·관우·장비 3인이 도원에서 결의형제한 후에, 관우가 두 형수와 함께 잠시 조조에게 의탁하고 있을 때, 조조가 관우를 꾀어내기 위해 미인계를 써 초선을 이용하자, 색(色)으로 인해 마음이 흔들릴 것을 경계하여 초선을 벤다는 내용이다. -3쪽
동진연의(東晋演義)
장편. 중국 동진 때[317∼420]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소설. 중국 명나라 때 무명씨(無名氏)가 짓고 수치형산인[首雉衡山人, 양이증(楊爾曾)]의 서(序)가 붙어 있는 <동서양진연의(東西兩晋演義)>를 번역한 작품. 동진의 제1대 원제(元帝)[사마예(司馬睿), 276∼323, 재위 318∼323]가 건강(建康)에 도읍하고 국호를 동진(東晋)이라 하여 개국한 후, 마지막 황제인 공제(恭帝, 386∼421, 재위 419∼420)에 이르러 나라를 송고조(宋高祖)[유유(劉裕), 363∼422, 재위 420∼422)]에게 선위(禪位)하기까지의 사적을 그렸다. -105쪽
두홍전(頭紅傳)
중장편. 남주인공 ‘두홍’의 전기적 소설. 두경열·두홍·두우연(두유연) 3대에 걸쳐 간신[석숭 등]의 모함에 따른 가족 이산과 상봉, 간신의 찬역과 외적의 침입에서 야기된 국가 위기와 그 극복 과정을 그린 영웅소설. -2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