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옥린몽(玉麟夢)
옥린전(玉麟傳)
옥매화전(玉梅花傳)
옥몽전(玉夢傳)
옥백가전
옥봉쌍성기
옥봉쌍인
옥비앵
옥서정기연봉
옥선몽(玉仙夢 / 玉僊夢)
옥선전
옥선현봉(玉璿賢封)
옥선현봉소설(玉璿賢封素說)
옥설기봉
옥섬전(玉蟾傳)
옥성전
옥소기(玉簫記)
옥소기봉(玉簫奇逢)
옥소기연(玉簫奇緣)
옥소삼봉(玉簫三逢)
옥소삼봉기(玉簫三逢記)
옥소전(玉簫傳)
≪옥소화담(玉少華談)≫
옥수기(玉樹記)
옥수전(玉樹傳)
옥쌍환기봉(玉雙環奇逢)
옥연재합(玉緣再合)
옥원재합기봉연(玉鴛再合奇逢緣)
옥원재합기연(玉鴛再合奇緣)
옥원전해(玉鴛箋解)
옥원중합록(玉鴛重合錄)
옥원중회연(玉鴛重會緣)
옥유동기(玉遊洞記)
옥인기(玉人記)
옥인기연(玉人奇緣)
옥인몽
옥인전
옥재봉
옥전해남서
옥조금천빙
옥주호연(玉珠好緣)
옥중가인(獄中佳人)
옥중가화(獄中佳花)
옥중금낭(獄中金囊)
옥중방충효전
옥중향(獄中香)
옥중화(獄中花)
옥지기(玉支磯)
옥천연(玉釧緣)
옥태전
옥토전(玉兎傳)
옥포동기(玉圃洞記)
옥포동기완록(玉浦洞奇翫錄)
옥호기연(玉壺奇緣)
옥호빙심(玉壺氷心)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옥선몽(玉仙夢 / 玉僊夢)
중장편. 허거통이 선몽(仙夢) 속에서 몽옥(夢玉)으로 전생(轉生)하는 이야기. 주인공이 꿈속에서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어나 인생무상을 느낀다는 내용의 몽계(夢系) 소설이다. 전라도 만경현(萬頃縣)에 사는 허거통(許巨通)이 중국 같은 대국에 태어나지 못하고 조선과 같은 소국에 태어났음을 한하다가, 어느 날 지리산 청학동에 있는 한 암자의 금강불(金剛佛) 앞에서 졸다가 꿈을 꾸어, 중국 전당(錢塘) 땅에 사는 전순화(錢循華)의 아들로 태어나, 과거에 장원하여 부마가 되고 출장입상하여 영화를 누리다가 깨어나, 꿈을 꾸기 전에 가졌던 염원을 내버리고 출가하여 자취를 감추었다는 내용이다. -133쪽
옥도전
중단편. ‘옥도’의 전기. 고려 때 강원도 강릉 땅의 장진사의 전처 왕씨부인이 죽은 후, 후취인 오좌수의 딸 오씨부인이 전처 소생인 옥도(姉)·옥천(弟) 남매를 박대함으로써 전개되는 계모형 가정소설이다. -107쪽
옥수기(玉樹記)
중장편. 가(嘉)·화(花)·왕(汪)·진(陳) 네 가문을 중심으로, 각 가문의 흥망성쇠와 함께 2, 3세들의 상호 교류와 혼사를 통해 문벌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그린 가문소설이다. 가부(嘉府)의 가유진이 3처 4첩을 맞이하는 이야기를 비롯해, 가유겸과 북호(北胡)의 두 공주, 가유함과 녹엽의 결연 과정이 이야기되고, 여기에 화부(花府)의 화경춘의 유배, 화소저의 혼사 장애, 화혼의 살인, 망명과 입공 등의 이야기가, 왕부(汪府)의 왕신과 임소저의 결연 과정 이야기 및 여기에서 파생된 임운의 정치적 수난 과정의 이야기 등이 병행되고 있다. -1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