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기타 /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8왕비호전-운선전_표지_1판1쇄_ok_20171107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 38. 왕비호전~운선전

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왕비호전(王飛虎傳)
왕소군새소군전(王昭君賽昭君傳)
왕시봉전
왕십붕기우기(王十朋奇遇記)
왕십붕전(王十朋傳)
왕씨전(王氏傳) ①
왕씨전(王氏傳) ②
왕씨정의록
왕어사전(王御使傳)
왕어사경룡전(王御使慶龍傳)
왕장군전(王將軍傳)
왕제홍전
왕조열전
왕태상
왕태자전(王太子傳)
왕현전(王賢傳)
왕회전(王會傳)
요광현전
요대설
요동우신기(遼東遇神記)
≪요람(要覽)≫
요로원기(要路院記)
요로원야화기(要路院夜話記)
요열록
요용전
요화전(瑤華傳)
용강전(龍岡傳)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용매기연(龍媒奇緣)
용문도총(龍門都摠)
용문몽유록(龍門夢遊錄)
용문전(龍文傳)
용문장군전(龍文將軍傳)
용부전(慵夫傳)
용생원전
용왕기(龍王記)
용왕전(龍王傳)
용운가
용전
용학선유기
용함옥(龍含玉)
용화선생실기(龍華先生實記)
우리들전(別春香傳)
우마상과설(牛馬相誇說)
우미인(虞美人)
우부인전
우상전(虞裳傳)
우언(寓言)
우초속지(虞初續志)
우화전
운각전
운선전(雲仙傳) ①
운선전(雲仙傳) ②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왕십붕전(王十朋傳)
중장편. 왕시봉[王十朋]이 옥련에게 신물(信物)로 주었던 ‘나무비녀’[荊釵]를 매개로 하여 기이하게 재회한다. 중국 명나라 때의 희곡 작품인 <형채기(荊釵記)>를 번안한 작품이다. 여주인공 ‘옥년개시’[玉蓮]가 계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가난한 서생 ‘왕시봉’[王十朋]과 혼인했는데, 옥년개시를 탐내는 손여권(孫汝權)의 농간으로 헤어져 생사로 모른 채 지내다가, 옥년개시가 왕시봉에게서 받았던 나무비녀[荊釵]를 매개로 하여 재회한다는 내용이다. -32쪽

왕제홍전
중장편. ‘왕제홍’의 전기. 왕제홍이 왕소저·추향소저와 결연하고 군공을 세운 후 온 가족이 다시 만나 화락한다는 내용의 영웅소설이다. 내용 중에는 다수의 민간설화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단명할 운명의 왕제홍이 여장(女裝)으로 귀가녀에게 접근하였다가 귀신을 쫓고 결연한다는 연명(延命)설화, 버들잎 세 개로 살인범 유삼엽(柳三葉)을 잡게 되는 송사(訟事) 설화, 활인초를 구해다 죽은 황소저를 소생시키는 구약(求藥) 내지 재생담 등이 그것이다. 그 밖에 영웅담에 흔히 나타나는, 남장을 한 여성 영웅[추향]이 진중에 나타나 위기에 빠진 남성 영웅을 구해 낸다는 삽화가 이 작품 속에도 들어 있다. -92쪽

왕현전(王賢傳)
중장편. ‘왕현’의 전기. 충신 왕진의 만득자로 태어난 왕충·왕충 형제는 간신 이주선·이문희 부자의 참소를 입고 온 가족이 이산된다. 금나라가 침입하자 이주선 부자가 적에게 동조하고, 명나라 황제는 피신하니, 왕현이 명조를 회복하기 위해 영웅들을 규합하는 한편 무술을 배우고 군사도 양성한 후 적과 대결하여 대승을 거두고 명나라를 부흥시킨다. 전체적인 내용은 군담을 위주로 하되, 왕현과 유소저[유월선] 및 연양공주와의 결연담과 혼인담도 곁들여져 있다. -108쪽



서지정보

발행일 2017년 11월 25일
쪽수 422 쪽
판형 128*188mm ,  210*297mm
ISBN(종이책) 9791128820786   94810   32800원
분류 기타, 지만지
고전소설한국한국고전소설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 소개
    • 컴북스 도서
    • 주제로 찾기
      •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
      • 저널리즘
      • 광고홍보
      • 경제경영
      • 문화
      • 영화
      • 정기간행물
      • 한국어
    • 총서로 찾기
      • 인공지능총서
      • 컴북스이론총서
      •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 지만지 소개
    • 지만지 도서
    • 주제로 찾기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기타
    • 지만지드라마 소개
    • 지만지드라마 도서
    • 주제로 찾기
      • 희곡
      • 연극이론
    • 지만지한국문학 소개
    • 지만지한국문학 도서
    • 주제로 찾기
      • 동시
      • 동화
      • 평론
      • 수필
      • 지역고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학이시습 소개
    • 학이시습 도서
    • 주제로 찾기
      • 인적 자원 개발
      • 새 시대의 공교육
      • 교사를 위한 수업 매뉴얼
      • 문해 학습
      • 학습 이론&역사
      • 진로설계학습
      • 일상에서배우기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지식공작소 소개
    • 지식공작소 도서
    • 주제로 찾기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오디오북스 소개
    • 오디오북스 도서
    • 시리즈로 찾기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세계환상문학걸작선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큰글자책 소개
    • 큰글자책 파트너사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