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월세계(月世界)
월승기연
월영낭자전(月英娘子傳)
월영전(月英傳 / 月影傳)
월왕전(越王傳)
월하선전(月下僊傳)
월황전
위경천전(韋敬天傳)
위도왕전(韋島王傳)
위문록
위문오세록
위봉월전(衛鳳月傳)
위사요람(魏史要覽)
위생전(韋生傳)
위시랑전(魏侍郞傳)
위씨세대록(魏氏世代錄)
위씨오세삼난현행기(魏氏五世三難賢行記)
위씨오세삼난현행록(魏氏五世三難賢行錄)
위씨전(魏氏傳)
위씨절행록(衛氏節行錄)
위씨현행록(衛氏賢行錄)
위영전(魏英傳)
위왕별전(魏王別傳)
위현전(魏賢傳)
유검필전(庾黔弼傳)
유경옥전
유공선행록(柳公善行錄)
유광억전(柳光億傳)
유광전(劉光傳)
유구왕세자외전(琉球王世子外傳)
유덕기전
유덕전(劉德傳)
유랑전(兪郞傳)
유록의 한(柳綠의恨)
유록전(柳綠傳)
유리국심씨전(琉璃國沈氏傳)
유문성전(柳文成傳 / 兪文星傳)
유문총록(劉門總錄)
유방삼의전(劉方三義傳)
유백로전(兪伯魯傳 / 柳伯老傳)
유백룡전(劉白龍傳)
유백아전(兪伯牙傳)
유백아종자기금삼음
유봉록전
유봉상전
유봉선전
유봉전
유부인전(劉夫人傳)
≪유부제구(幼婦齏臼)≫
유생대전
유생전(劉生傳)
유선쌍학록(遊仙雙鶴錄)
유성가야금전
유성운전
유성현봉소설록
유세운전
유소낭전(劉少娘傳)
유소저전(劉小姐傳)
유승상오자기(柳丞相五子記)
유승상전(柳丞相傳)
유씨남정기
유씨록(劉氏錄)
유씨부인전(劉氏夫人傳)
유씨삼대록(劉氏三代錄 / 兪氏三代錄)
유씨삼현별전(劉氏三賢別傳)
유씨선행보응록(劉氏善行報應錄)
유씨세가록(劉氏世家錄)
유씨쌍유기
유씨양문록(劉氏兩門錄)
유씨열녀전(劉氏烈女傳)
유씨열행록(劉氏烈行錄)
유씨전(劉氏傳) ①
유씨전(劉氏傳) ②
유씨전(劉氏傳) ③
유씨전(劉氏傳) ④
유씨청절록(劉氏淸節錄)
유씨충효록(劉氏忠孝錄)
유씨충효명륜기(劉氏忠孝明倫記)
유씨환생록(劉氏還生錄)
유씨효문록(劉氏孝門錄)
유씨효행록(劉氏孝行錄)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월세계(月世界)
중장편. 작품의 처음과 끝이 ‘추팔월십오야(秋八月十五夜)’로 설정되어 있다. 중국 명나라 때의 단편소설집인 ≪성세항언(醒世恒言)≫ 권 36의 <채서홍인욕보구(蔡瑞虹忍辱報仇)>, 또는 ≪금고기관≫ 권 26의 <채소저인욕보구>라는 작품의 번안이다. 양주로 부임하여 가던 최무가 도적 떼의 습격을 받아 온 가족이 화를 입었는데, 그의 딸 서홍만은 도적에게 납치되었다가 도망하여 기생이 되어 복수를 꾀한 끝에 마침내 원수들을 처형당하게 하고, 보원(報怨)을 위해 정절을 지키지 못했던 사연을 쓴 후에 자결했다는 내용이다. -3쪽
월왕전(越王傳)
중장편. ‘월왕’의 전기. 유방과 설씨의 아들 태사 및 태사와 장씨의 아들 실부(失父)의 이야기를 그린 영웅소설. 유태사와 부인 장씨가 부임지로 가던 도중에 도적을 만나 이산(離散)하고, 헤어진 후 태어난 아들 유실부가 장성하여 천자를 도와 공을 세운 후 월왕(越王)이 되어 부친과 상봉한다는 내용이다. -14쪽
유구왕세자외전(琉球王世子外傳)
단편. 유구국 왕세자에 관해 전해지는 이야기. 유구국의 왕세자가 일본에 잡혀간 부왕을 구하러 가다가 풍랑으로 제주도에 표류하였다가 제주목사 이란의 탐욕 때문에 비명에 죽었다는 내용이다.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피서록(避暑錄) 중에도 대동소이한 내용의 이야기가 기재되어 있다. -16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