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유한당사씨언행록(幽閑堂謝氏言行錄)
유한당언행록(幽閑堂言行錄)
유한당(전)[幽閑堂(傳)]
유현전
유홍랑선행록
유화기몽(柳花奇夢)
유화기연(柳花奇緣)
유화양매록(柳花兩媒錄)
유황후(전)[劉皇后(傳)]
유효공미행기(柳孝公美行記)
유효공선행기(柳孝公善行記)
유효공선행록(柳孝公善行錄)
유효공전(劉孝公傳)
유효공현행록(劉孝公顯行錄)
유효문공선행록(柳孝文公善行錄)
유희련전(劉希蓮傳)
유희현전(劉希賢傳)
육기록(六奇錄)
육몽초성록
육문정충절행록(六文靖忠節行錄)
육미당기(六美堂記)
육서조생전(鬻書曺生傳)
육선각(六仙閣)
육선기(六仙記)
육선기봉(六仙奇逢)
육선기연(六仙奇緣)
육선생전(六先生傳)
육신전(六臣傳)
육염기(六艶記)
육인기봉조구연(六人奇逢遭舊緣)
육조한담
육충신전(六忠臣傳)
육효자전(六孝子傳)
윤구전(允求傳)
윤노공
윤상공선정녹
윤선옥전
윤씨전(尹氏傳)
윤씨충효선행록(尹氏忠孝善行錄)
윤여옥전
윤인경전(尹仁鏡傳)
윤중춘전
윤지경거평위일기
윤지경전(尹知敬傳 / 尹志慶傳)
윤최재합록(尹崔再合錄)
윤최재회록(尹崔再會錄)
윤판서부인전(尹判書夫人傳)
윤하정삼문취록(尹河鄭三門聚錄)
윤회보응내세연록
윤효자(尹孝子)
율도왕전
율목리접오산소지(栗木里接鼯山所志)
은월수우전
을병연(乙丙緣)
을지문덕실기(乙支文德實記)
을지문덕전(乙支文德傳)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유현전
중장편. ‘유현’의 전기. 연관성이 없는 앞뒤 부분의 이야기가 결합되어 있다. 상권의 내용은 유현[이본에 따라 유연] 부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유현이 가족과 이산했다가 무술을 연마하여 외적을 물리치고, 헤어졌던 이씨부인도 전장에 나타나 유현보다도 뛰어난 용력과 무술로써 공훈을 세운다는 것이고, 하권의 내용은 유현의 아들 경태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그가 절에 전재산을 시주하고, 세 부처가 나타나 각각 천자가 되고, 용왕의 사위가 되고, 지음하는 능력을 얻게 되리라는 예언을 들었다가, 나중에 예언대로 되어 보답을 받는다는 것이다. -26쪽
육선각(六仙閣)
중장편. 남녀 주인공들이 매일 모여 거처하는 곳에 임금이 ‘육선각’이란 현판을 써 하사했다. 이호연이 민소저[민정희]·허죽청·초월·홍죽심·난희의 여섯 미인들과 결연하는 과정을 서술한 작품이다. 초반에 호연이 여장을 하고 민소저를 속여 접근한 데 대한 보복으로, 민소저가 시녀 난희를 선녀로 가장시켜 농락하는 대목은 <구운몽>과, 후반에 군수가 홍죽심 등에 흑심을 품고 잡아다 수청을 강요하다, 어사가 되어 내려온 호연에 의해 처벌을 받는 대목은 <춘향전>의 영향으로 보인다. -200쪽
윤하정삼문취록(尹河鄭三門聚錄)
대장편. 윤·하·정 세 가문의 이야기. <명주보월빙> → <윤하정삼문취록> → <엄씨효문청행록>의 3부로 이루어진 대하연작가문소설의 중간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전편(前篇)인 <명주보월빙>의 중심인물이었던 삼문(三門)의 1, 2대 인물들이, 이 속편에서도 등장하지만, 이야기의 중심은 3대(윤성린·창린·웅린·세린·선화·월화 / 정현기·운기 / 하몽성 등등)에게로 옮겨져, 수많은 결연, 갈등, 고난에 이은 영화로운 삶의 모습들이 다양하게 펼쳐진다. -3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