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음양삼태성(陰陽三台星)
음양염라왕전(陰陽閻羅王傳)
음양옥지환(陰陽玉指環)
읍혈록(泣血錄)
의승기(義勝記)
의열녀전(義烈女傳)
의열비충효록(義烈婢忠孝錄)
≪의인의 무덤(義人의 墓)≫
의협호구전(義俠好逑傳)
이경난전
이경작전
이경전(二耕傳)
이계룡전(李季龍傳)
이괄란급병자란(李适亂及丙子亂)
이광현전(李光賢傳)
이대봉전(李大鳳傳 / 李待鳳傳)
이대장전(李大將傳)
이도령전(李道令傳)
이돌전(李突傳)
이두충렬록(李杜忠烈錄)
이등상강록
이랑전
이린전(李麟傳)
이만영전(李晩榮傳)
이몽룡전(李夢龍傳)
이몽선전(李夢仙傳)
이몽우전
이문록
이문성취록(李門成聚錄)
이문충효록(李門忠孝錄)
이백경전(李白慶傳)
이백로전(李白露傳)
이벽선생몽회록(李蘗先生夢會錄)
이벽전
이봉빈전(李鳳彬傳)
이봉운전(李逢雲傳)
이봉황연
이부인전(李夫人傳)
이사룡전(李士龍傳)
이사마충효록(李司馬忠孝錄)
이상국전(李相國傳)
이상서전(李尙書傳)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이생전(李生傳) ①
이생전(李生傳) ②
이선객전(李仙客傳)
이선군전(李仙君傳)
이수문전
이숙전
이순문전(李順文傳)
이순신실기(李舜臣實記)
이순신전(李舜臣傳)
이승상전(李丞相傳)
이시백전(李時白傳)
이씨감천기(李氏感天記)
이씨세대록(李氏世代錄)
이씨충효록(李氏忠孝錄)
이씨효문록(李氏孝門錄)
이씨후대인봉쌍계록
이안민전(李安民傳)
≪이야기(而也其)≫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의승기(義勝記)
중장편. 의(義)가 승리(勝利)한 기록(記錄). 사람의 심성(心性)을 의인화한 가전 작품이다. 천군이 즉위한 뒤 백성들이 모두 태평을 찬송했는데, 즉위 3년 만에 천군의 덕이 점차 쇠해지자 도적이 침입하여 간신들과 협력하여 천군을 거친 들판으로 내쫓았다. 이때 성성옹(惺惺翁)이 난군을 물리치고 천군을 다시 받드는 한편 맹호연(孟浩然)을 원수로 삼아 남은 도적을 소탕케 했다. -17쪽
이계룡전(李季龍傳)
중장편. ‘이계룡’의 전기. 효열(孝烈)을 강조한 윤리소설이다. 전반엔 효자 이성희의 노모에 대한 효성과 그의 부인의 남편에 대한 열(烈)에 감동한 호랑이가 동물을 물어다 주는 이야기이고, 후반은 이성희가 죽어 저승에 가니, 그의 효성에 감동한 염왕이 재생케 해 주었다는 이야기와 그의 아들들인 이계룡·이룡·삼룡 삼형제가 상제에게 치성을 드려 아버지의 목숨을 연장케 한다는 이야기다. -35쪽
이등상강록
중장편. 현재 하권만 발굴되어 상권의 내용은 알 수 없다. 하권의 내용으로 미루어, 상권은 위수옥의 결연담에 이어 가족 이산 및 고난을 그렸을 듯하고, 하권은 남만이 침입하자 위수옥이 원수가 되어 무찌르고, 지장보살을 따라 천상에 올라가 장손소저를 만나 함께 천축국으로 돌아와 천축국의 정양공주와 혼인하고, 토번을 물리친 후 형산공주·봉래선·백연홍·옥진 등과 혼인하여 영화를 누렸다는 내용이다. -16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