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연구자들이 기다려 온 한국고전소설사 데이터베이스
자료 수집 25년, 집필 기간 5년, 편집 기간 3년, 본책 69권, 부록 4권.
1145년부터 1930년대까지, 삼국시대 이래 이 땅에서 나고 사라진 모든 고전소설의 역사적 자료 집대성이다. 총 3090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그중 연구 전이거나 발굴조차 되지 못한 작품이 1965편에 이른다.
연구가 이루어진 1028편에는 작품해설, 다른 이름, 작자, 작품연대, 판본연대, 참고자료, 관계기록, 회목, 줄거리, 등장인물, 비교연구, 원전자료, 연구논저, 이본연구, 이본목록, 이본도록 등 확인된 모든 연구자료를 총망라해 실었다.
사전의 틀을 갖춤으로써 종류별 분책이던 이전 자료집의 불편을 해소한다. 연구자들이 흩어진 자료를 찾아다니고, 이전 연구업적을 모른 채 똑같은 연구를 반복하던 문제가 해결됐다. 117년 고전소설사 연구 업적을 이 책 한 권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최신 연구 자료까지 모두 수록했다. 편집 기간에도 발굴되는 최신 자료를 계속 업데이트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방대하고, 가장 정확하고, 가장 최신의 고전소설 자료집이다. 학계와 연구자에게 새로운 연구 환경을 제시한다.
필사본과 판각본을 촬영한 5977건의 도판을 수록했다. 국내 그 어떤 자료집에서도 볼 수 없는 원전 사진이다. 개인과 기관이 소장한 방대한 자료를 촬영했다. 1000년 고서체의 현주소다. 한글 서체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971편의 줄거리, 3만8709명의 등장인물이 소개된다.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산업, 한국형 캐릭터 개발, 지역 문화를 홍보할 고유 인물, 다양한 창작 활동에 영감을 제공하는 상상력의 바탕이 될 것이다.
200자평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지은이
조희웅은 대학교 입학하면서부터 고전소설에 흥미를 가졌다. 수업이 없는 시간엔 도서관에서 고전소설을 뒤적이면서 보냈다. 그로부터 60년을 한결같이 고전소설과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어려운 조건도 받아들였다. 전국의 고문헌 도서관과 연구소의 자료를 섭렵했다. 희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이 있다면 어디든 마다않고 달려가 자료를 얻어내고 사진을 찍었다. 교수직을 퇴직한지 10년, 요즘도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고전문학 연구에 매진한다.
1943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양대학교 전임강사와 국민대학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교수, 일본 규슈대학 객원교수를 지냈다.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학장과 대학원장으로 활동했으며, 한국구비문학회 회장과 한국고전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구비문학 개설≫(공저, 1971), ≪조웅전≫(1978), ≪조선 후기 문헌설화의 연구≫(1980), ≪설화학 강요≫(1989), ≪이야기문학의 모꼬지≫(1995), ≪한국설화의 유형≫(1996),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Korean Folktales≫(2001),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 1·2≫(2002), ≪편옥기우기≫(공저, 2002), ≪영남 구전자료집 1-8≫(공편, 2003), ≪영남 구전민요 자료집 1-2≫(공편, 2005), ≪고전소설 연구보정(상·하)≫(2006),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전 25책)≫(2012) 등 80여 권이 있다. <원생몽유록 작자 재고>(1963) 이후 현재까지 10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차례
주생전(周生傳 / 朱生傳)
주선전(朱仙傳)
주씨별감록
주씨청행록(朱[周]氏淸行錄)
주여득전(朱如得傳)
주완벽전(周完璧傳)
주왕전(周王傳)
주원장창업실기(朱元障創業記)
주유삼강전
주유옥전
주장군전(朱將軍傳)
주중칠선 이태백실기(酒中七仙李太白實記)
주해선전(朱海僊傳 / 朱海仙傳)
주흘옹몽기(酒吃翁夢記)
죽대선생전(竹帶先生傳)
죽부인전(竹夫人傳) ①
죽부인전(竹夫人傳) ②
죽서조생전(鬻書曹生傳)
죽존자전(竹尊者傳)
죽천행록(竹泉行錄)
죽통미녀(竹筒美女)
중당연의(中唐演義)
중산망월전(中山望月傳)
중산토선생전(中山兎先生傳)
중향국춘추(衆香國春秋)
쥐전
쥐헌전
증덕현전
증산보전(曾山寶傳)
증해경전
지귀(志鬼)
지두작간치등장(枝頭鵲諫治等狀)
지봉전(芝峯傳)
지선전(智仙傳)
직금도(織錦圖)
직금회문(織錦回文)
진강목
진공설전
진공필전
진관사세전
진길전
진길충효록
진녹사전(陳錄巳傳)
진대방전(陳大方傳 / 陳大房傳 / 晉大邦傳)
진목전
진문공(晋文公)
진문충의록
진사전(進士傳)
진설홍전
진성운전(陳聖運傳 / 陳聖雲傳)
진승상전(陳丞相傳)
진시황실기(秦始皇實記)
진시황전(秦始皇傳)
진씨천선록(陳氏遷善錄)
진씨효열록(陳氏孝烈錄)
진옥전(振玉傳)
진이(眞伊)
진장군전(陳將軍傳)
진주삼합재록(珍珠三合再錄)
진주탑(珍珠塔)
진청문효행록
진태방전(陳泰方傳)
진현전(陳玄傳) ①
진현전(陳玄傳) ②
진현전(陳玄傳) ③
진현전(陳玄傳) ④
진효자전(陳孝子傳)
짐흥전
징세비태록(懲世丕泰錄)
목록
1. 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
2. 개벽연역-곽낭자전
3. 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
4. 구운기-국복전
5. 국생전-금봉회봉
6. 금산몽유록-금행록
7. 금향정기-김유신전
8. 김윤전-꿩전
9. 나나봉전-남원소설
10. 남윤선전-님
11. 다람의소지-도앵행
12. 도원결의록-림
13. 마고산실기-목련전
14. 목시룡전-민판서대감역사
15. 박대부전-박흥보전
16. 반씨전-벽계옹전
17. 벽란도용녀기-봉빈전
18. 봉산학자전-빙호선생전
19. 사가기-사안전
20. 사우열전-삼도전
21. 삼문규합록-서대도공사
22. 서대주전-서주연의
23. 서진사전-설공찬환혼전
24. 설낭자전-세민황제전
25. 세종대왕실기-소정월봉기
26. 소진장의전-수성지
27. 수양외사-숙영전
28. 숙조역사-심참판전
29. 심창전-심향전
30. 심화요탑-쌍환호구성취후록
31. 아도전-양정선행록
32. 양주밀전-연의각
33. 연적전-영평공주전
34. 예덕선생전-옥난빙
35. 옥낭자(전)-옥루몽
36. 옥린몽-옥호빙심
37. 옥환기몽-왕릉전
38. 왕비호전-운선전
39. 운수전-월성전
40. 월세계-유씨효행록
41. 유악귀감-유한당기
42. 유한당사씨언행록-을지문덕전
43. 음양삼태성-이야기
44. 이어사전-이현경전
45. 이현주전-임경천전
46. 임상국부자삼취기-잉어해몽설
47. 자란전-장산인전
48. 장생전-장현전
49. 장화홍련전-적선여경록
50. 적성의전-정명화전
51. 정목란전-정해룡전
52. 정향전-조완벽전
53. 조웅전-주사장인전
54. 주생전-징세비태록
55. 참반겸유록-천광보경재합
56. 천군기-최구현전
57. 최낭전-춘풍전
58. 춘향전 1
59. 춘향전 2
60. 출동문-침향전
61. 콩쥐팥쥐전-투색지연의
62. 파경전-피은보심록
63. 하각로별곡-항주기연
64. 해경전-호연록
65. 호예-홍길동전
66. 홍난성전-화사성몽
67. 화산기봉-황보전
68. 황부인전-후홍루몽
69. 흑룡록-힐문전
70. 부록 1. 작품 목록
71. 부록 2. 작가 목록
72. 부록 3. 등장인물 목록 1
73. 부록 4. 등장인물 목록 2
74. 부록 5. 참고 자료와 사진 목록
책속으로
주선전(朱仙傳)
중장편. ‘주선’의 전기. 중국의 화본소설집인 ≪형세언≫의 제34회의 번역 작품이다. 원래의 제목은 ‘주전선인전(周顚仙人傳)’인데 우리나라에서 번역 유통하는 과정 중에 ‘주선전(朱仙傳)’으로 바뀌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작품의 내용은 명나라 초기에 주원장의 명나라 건설에 많은 도움도 주었던 술사(術士) 주전(周顚)의 기행을 그린 도선소설이다. -67쪽
주원장창업실기(朱元障創業記)
중장편. 명태조 주원장의 실기. 작품의 제목은 <주원장창업실기>로 되어 있으나 실제의 내용은 실제 역사와는 전연 거리가 먼 허구적 군담소설이다. 활자본으로 출간되었던 원작은 상하권으로 분권되어 있는데, 양권은 내용상으로도 연결이 되지 않으며 결말 부분도 각각 독립적으로 완결되는 점과, 상권에는 <유문성전> 유문성이 등장하고, 하권에는 <장백전>의 장백이 등장하여 활약하는 점으로 미루어, <주원장창업실기>는 이 두 작품의 기본 삽화를 이용하여 혼성 창작한 작품으로 보인다. -88쪽
지봉전(芝峯傳)
단편. ‘지봉’의 전기. 효종의 신임을 받던 김복상(金福相)과 궁녀가 사랑하다가 발각되니, 신하들이 모두 사형에 처할 것을 주장하자, 왕이 노신(老臣)인 이수광에게 물었다. 이수광도 사형을 주장하였으나, 왕은 듣지 않고 두 사람을 귀양보낸 후에, 이수광을 평양으로 출장시켰다. 이때 평안감사가 퇴기 옥봉의 계교를 써 이수광을 훼절시키니, 임금은 이 일을 구실 삼아 김복상과 궁녀를 풀어 주었다. 남녀간의 사랑의 숭고함을 주제로 한 애정소설이다. -1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