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Zbigniew Herbert, 1924∼1998)는 시인이자, 희곡작가, 에세이스트로 유명한 폴란드의 대표적인 문인이다. 그는 폴란드 현대사의 슬픈 자화상을 작품 속에 생생하게 투영한 역사의 증인이었으며, 단순 명료한 고전주의의 틀에 낭만주의적인 열정을 담아낸 역설적인 시인이었고, 사라져가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일깨우기 위해 일관되게 노력하며 자신의 시와 삶을 온전히 하나로 완결한 엄격한 모럴리스트였다.
헤르베르트는 현실에 내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진단하기 위해 우리에게 익숙한 형식과 문학적 장치들을 동원해서 독자들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한다.
헤르베르트의 작품 속에는 폴란드 현대사의 험난한 질곡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시(戰時)에는 대학살의 현장으로, 전후에는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소련의 위성국가로 변혁을 거듭했던 폴란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것이 헤르베르트의 작품을 감상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제2차 세계대전과 소비에트 전체주의의 체험은 헤르베르트의 초기작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문에 수록된 <판 코기토의 사자(使者)>, <각성>, <단추들>은 제2차 세계대전을 소재로 한 대표적인 작품들이다. 집단 학살이나 아우슈비츠 수용소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대부분의 동료 작가들과는 달리, 헤르베르트는 개인에게 닥친 개별적인 죽음과 그 잔혹한 결말의 불합리성과 허무함에 주목한다. <포위된 도시에서 온 보고서>나 <천국에서 온 보고서>, <판 코기토의 나락>, <판 코기토의 괴물> 등은 개인의 인성과 자유를 억압하는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엄정한 비판 의식이 담긴 작품들이다. 이 시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전체주의 체제의 도구로 전락한 채 무기력한 모습으로 살아가는 나약한 폴란드 소시민을 암시한다. 언론인 아담 미흐니크(Adam Michnik)는 헤르베르트의 시에 함유된 역사적 소명의식을 강조하면서, 헤르베르트의 시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폴란드인들에게 기도문이나 다름없었고, 그의 시에 등장하는 ‘판 코기토(Pan Cogito)’는 험난한 시기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리켜 주는 길잡이였다고 평가했다.
‘판 코기토(Pan Cogito)’는 1970년대∼1980년대 폴란드 문단에서 전설이 되어 버린 가장 유명한 주인공이다. 폴란드어로 ‘판(pan)’은 남자 귀족 이름 앞에 붙이는 호칭으로 영어의 ‘Sir’에 해당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gito ergo sum)”는 데카르트의 명제에서 유래한 ‘코기토(Cogito)’라는 명칭은 ‘생각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을 의미한다. 코기토는 불의에 굴복하지 않는 투철한 도덕관을 소유한 윤리주의자이면서 동시에 사색에 잠긴 몽상가이자 철학가다. 헤르베르트의 시에서 판 코기토는 주인공이면서 내레이터이기도 하고, 때로는 해설자나 비평가로 등장하기도 하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헤르베르트의 코기토가 지닌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가 바로 ‘생각하는 인간’이라는 점이다. 판 코기토는 형이상학적인 문제보다는 실생활과 연관된 구체적인 문제를 놓고 고민하고 사색에 잠긴다. 하지만 명상의 결과를 가지고 섣불리 이론을 내세우거나 도식화하는 일은 결코 없다. 단지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관에 입각한 존엄한 명제들을 선명하게 부각하고, 그것을 지켜 나가는 강인한 의지와 노력을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헤르베르트의 시는 그의 조국인 폴란드에서조차 현학적이고 난해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시인은 사물과 대상의 존재가치를 인간의 의식에 대한 도전이자 인간의 감각을 시험하는 일종의 수수께끼라는 점에서 찾았다. 폴란드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스타니스와프 바란차크(Stanisław Barańczak)는 헤르베르트의 작품을 외국어로 번역하는 것은 매우 힘든 작업이라는 것을 강조하면서, 해외에서 헤르베르트의 작품에 대한 평가는 획일적이면서 단순화된 한계를 보여 주는데, 그 이유는 외국어로 출판되는 과정에서 번역하기 쉬운 작품에 편중되어 소개되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헤르베르트의 시를 국내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하는 작업은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었지만, 동시에 폴란드어 전공자로서 행복한 도전이기도 했다.
폴란드어 원문에 담겨 있는 압축적인 운율과 각운의 묘미를 언어 체계가 다른 한국어로 고스란히 재현해 내지 못해 안타깝지만, 대신 시 속에 담겨 있는 철학적인 고민이나 함축적인 의미만큼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했음을 밝힌다.
200자평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Zbigniew Herbert, 1924∼1998)는 시인이자, 희곡작가, 에세이스트로 유명한 폴란드의 대표적인 문인이다. 그는 폴란드 현대사의 슬픈 자화상을 작품 속에 생생하게 투영한 역사의 증인이었으며, 단순 명료한 고전주의의 틀에 낭만주의적인 열정을 담아낸 역설적인 시인이었고, 사라져가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일깨우기 위해 일관되게 노력하며 자신의 시와 삶을 온전히 하나로 완결한 엄격한 모럴리스트였다.
헤르베르트는 현실에 내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진단하기 위해 우리에게 익숙한 형식과 문학적 장치들을 동원해서 독자들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한다.
헤르베르트의 작품 속에는 폴란드 현대사의 험난한 질곡이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시(戰時)에는 대학살의 현장으로, 전후에는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소련의 위성국가로 변혁을 거듭했던 폴란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것이 헤르베르트의 작품을 감상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지은이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는 1924년 10월 29일, 지금은 우크라이나 영토인 르부프(Lwów)에서 태어났다.
헤르베르트는 1950년 문예지 ≪오늘과 내일(Dziś i jutro)≫에 2차 대전의 상흔을 소재로 한 <9월의 이별(Pożegnanie września)>, <중용(Złoty środek)>, <비문(Napis)> 등 세 편의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등단했다. 하지만 그 이듬해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선동적인 경향에 동참하기를 거부하고, 사회주의 정부가 공인하는 ‘폴란드 문인 협회(Związek Literatów Polskich)’에서 탈퇴를 선언하는 바람에 더 이상 작가로서 공식적인 활동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시기에 헤르베르트는 은행 사무원, 가게 점원, 위생설비 설계사 등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며 간신히 생계를 유지해야만 했다. 작품 활동은 필명으로 신분을 감춘 채 문예지에 간헐적으로 작품을 발표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스탈린에 대한 개인숭배 금지가 결의되면서 폴란드 국내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폴란드 국민으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고 있던 고무우카(W. Gomułka)가 정권을 잡게 되면서 대소 관계에서 주권 회복을 선언하고, 나아가 여론을 대폭적으로 수용하는 유화정책을 선포한 것이다. 정치적인 이완과 더불어 사회 전반에 파급된 자유화의 분위기는 문화, 예술 분야로까지 확산되면서 폴란드 문단은 바야흐로 ‘해빙기(Odwilż)’를 맞게 되었다. 침체되었던 문단이 활기를 되찾게 되자 헤르베르트 또한 ‘폴란드 문인 협회’로의 복귀를 선언했다.
1960년대에 헤르베르트는 무려 세 개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1963년 코시치엘스키흐 재단 문학상(Nagroda Fundacji im. Kościelskich)을 필두로, 1965년 유르지코프스키 재단 문학상(Nagroda Fundacji A. Jurzykowskiego)을 수상했으며, 1965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로부터 레나우 문학상(Nagroda im. N. Lenaua)을 받았다. 이 시기에 헤르베르트는 오스트리아,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그리스 등을 여행했다.
1973년에는 독일 정부로부터 헤르더 문학상(Nagroda im. G. von Herdera)을 수상했다. 이듬해인 1974년에는 헤르베르트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내레이터이자 주인공인 ‘판 코기토’가 등장하는 다섯 번째 시집 ≪판 코기토(Pan Cogito)≫가 출간되었다. 판 코기토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일련의 연작들을 통해서 다양한 상황과 문제에 직면한 인간이 만들어 내는 사회적, 도덕적, 철학적 반응에 대해 흥미롭게 고찰하고 있는 이 시집은 출간 즉시 폴란드뿐 아니라 서유럽에서도 뜨거운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헤르베르트는 지식인으로서 국내의 정치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문인이었다. 1974년 12월 소비에트 연방에 거주하는 폴란드 이민자들에게 폴란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자는 취지의 성명서를 발표했고, 1975년에는 다른 지식인들과 함께 폴란드 사회주의 정부의 헌법 개정에 반대하는 서명 운동에 동참했다. 이후 헤르베르트는 오스트리아, 서독, 이탈리아, 프랑스 등을 오가면서 꾸준한 작품 활동을 펼쳤다. 1978년에는 독일에서 페트라르카 문학상(Nagroda im. Petrarki)을 수상하면서 다시 한 번 해외에서 문학성을 인정받았다.
1980년대에 접어들면서 폴란드에서는 자유노조를 중심으로 반체제 저항운동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문학에 있어서도 비공식적인 지하 출판을 통한 저항운동이 활기를 띠면서 순수문학보다는 기록문학이 성행했다. 헤르베르트는 지하 출판을 통해 발간된 1980년대의 대표적인 계간문예지 ≪기록(Zapis)≫의 편집주간으로 활약했다.
국내에서의 정치적인 행보로 인해 헤르베르트의 여섯 번째 시집 ≪포위된 도시에서 온 보고서(Raport z oblężonego miasta)≫는 1983년 파리에서 출간되었다. 표제작을 비롯하여 상당수의 수록 작품들에서 발견되는 일관된 주제는 2차 대전 때부터 스탈린 시대에 이르기까지 소비에트가 저지른 만행에 대한 고발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에도 헤르베르트의 문학상 수상은 계속되었다. 1983년 자유노조가 수여하는 명예 문화포상(Honorowa Nagroda kulturalna “Solidarności”)을 받았고, 1988년에는 브루노 슐츠 문학상(Nagroda im. B. Schulza)을, 1990년에는 예루살렘 상(Nagroda Jerozolimy)을 수상했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의 붕괴와 더불어 마침내 폴란드에서도 사회주의 정권이 무너지고 민주화의 물결이 도래하게 되었다. 이후 헤르베르트는 떠돌이 생활을 청산하고 1992년부터 바르샤바에 정착했다. 일곱 번째 시집 ≪출발을 위한 엘레지(Elegia na odejście)≫(1990)는 파리에서 출간되었지만, 여덟 번째 시집 ≪로비고(Rovigo)≫(1992)는 폴란드에서 출간되었다. 이 시기에 헤르베르트는 거의 매년 노벨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었다.
유고시집 ≪천둥의 에필로그(Epilog burzy)≫를 마지막으로 남긴 채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는 1998년 7월 28일 영원히 독자들의 곁을 떠났다.
헤르베르트가 남긴 작품은 뛰어난 문학성으로도 널리 인정받고 있지만, 특유의 도덕적 성찰을 통해 삶의 좌표를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들, 불의에 눈을 감고 현실에 쉽게 타협해 버리는 우리들에게 투철한 의지와 사명감을 고무해 준다는 점에서 그 진정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헤르베르트의 시에는 섣부른 결론이나 달콤한 미사여구, 대중들이 환호하는 슬로건은 존재하지 않는다. 시인은 끊임없이 고민하고, 망설이며, 성찰한다. 그의 시선은 남들이 주목하지 않는 불안과 공포를 향하고, 그의 귀는 내면으로부터 솟아나는 나직한 양심의 소리를 향해 열려 있다. 헤르베르트의 시는 지금까지 전 세계 약 20여 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그는 가장 널리 알려진 폴란드 현대 시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옮긴이
정병권
정병권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폴란드 문학으로 석사 학위를,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폴란드어문학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동유럽발칸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2003년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 공로 메달을 받았고, 2004년에는 폴란드와 한국 간의 문화교류에 기여한 공로로 폴란드 대통령으로부터 십자훈장(Krzyż Oficerski Orderu Zasługi Rzeczypospolitej Polskiej)을 수상했다. 바르샤바 대학교 제1회 폴로니쿰상(Nagroda Polonicum) 수상자(2006년)이기도 하다.
저서로 ≪폴란드사≫(대한교과서, 1997), ≪폴란드어ᐨ한국어 사전≫(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2), ≪폴란드어 회화≫(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8), ≪한국과 동유럽 구비문학 비교 연구≫(공저, 도서출판 월인, 2003), ≪동유럽 발칸의 민주화와 문화갈등≫(공저,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5) 등이 있고, 역서로 ≪판 타데우시≫(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5) 등이 있다.
<체스와프 미워시의 ≪고향 유럽≫에 나타난 독일상>, <예지 안제예프스키의 ≪재와 다이아몬드≫에 나타난 극한적인 상황에서의 인간의 행동양식>, <마리아 돔브로프스카의 ≪마을 결혼식≫에 묘사된 폴란드 농촌의 모습>, <비스피안스키의 ≪베셀레≫에 나타난 베르니호라> 등 폴란드 문학과 관련한 40여 편의 논문이 있다.
최성은
최성은은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 동유럽어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폴란드 바르샤바 대학교 폴란드어문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바르샤바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를 지냈으며(1997∼2001),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폴란드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평전−안녕하세요 교황님≫(바다출판사, 2004), ≪세계의 소설가Ⅱ−유럽·북미편≫(공저,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3) 등이 있고, 역서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명상시집―내 안에 그대 안식처 있으니≫(따뜻한 손, 2003), ≪고슴도치 아이≫(보림출판사, 2005), ≪쿠오바디스 Ⅰ, Ⅱ≫(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05), ≪끝과 시작−비스와바 심보르스카 시선집≫(문학과지성사, 2007), ≪바다 한가운데서/미망인들≫(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루제비치 시선≫(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물방울의 모험≫(담푸스, 2010), ≪흑단≫(크림슨, 2010), ≪꼬마 악마의 위대한 변신≫(샘터, 2011) 등이 있다. ≪비단안개−김소월, 윤동주, 서정주 3인 시선집≫(Dialog, 2005)와 ≪김영하 단편선≫(Kwiaty Orientu, 2009)을 폴란드어로 번역, 출간하기도 했다.
폴란드 문학을 한국에 널리 알리고, 한국 문학을 폴란드에 소개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폴란드 문학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폴란드 문학을 연구하는 동양의 학자로서 동서양의 문학 및 사상을 비교하는 연구에도 전념하고 있다.
논문으로 <폴란드 문학을 통해 살펴본 19세기 말, 20세기 초 서양문학 속의 동양문화 열풍>, <폴란드 콜럼버스 세대와 윤동주의 저항시 비교 연구>, <폴란드 사회주의 리얼리즘 시에 나타난 한국전쟁>, <폴란드 현대시에 나타난 일본 시가 하이쿠의 영향>, <비스와바 심보르스카의 시와 노장사상의 상생적, 유기론적 자연관> 등이 있다.
차례
돌멩이(Kamyk) ·················3
정류장(Postój) ··················5
판 코기토의 나락(Przepaść Pana Cogito) ······6
아버지에 대한 회상(Rozmyślania o ojcu) ······9
판 코기토와 팝 음악(Pan Cogito a pop) ······11
강에게(Do rzeki) ················15
천국에서 온 보고서(Sprawozdanie z raju) ·····16
판 코기토의 사자(使者)(Przesłanie Pana Cogito)
······················18
판 코기토가 거울에 자신의 얼굴을 비춰보다(Pan Cogito
obserwuje w lustrze swoją twarz) ······22
전령(Posłaniec) ················25
판 코기토가 조언을 구하다(Pan Cogito szuka rady)
······················27
우리의 공포(Nasz Strach) ············31
강기슭(Brzeg) ·················33
판 코기토가 고향으로의 귀환을 생각하다(Pan Cogito myśli o powrocie do rodzinnego miasta) ········34
판 코기토와 깨끗한 생각(Pan Cogito a myśl czysta)
······················36
판 코기토가 고통에 대해서 묵상한다(Pan Cogito rozmyśla o cierpieniu) ··················39
두 개의 물방울(Dwie Krople) ··········42
내면의 목소리(Głos wewnętrzny) ·········44
묘사를 위한 시도(Próba opisu) ··········47
시인의 집(Dom poety) ·············49
각성(Przebudzenie) ··············50
단추들(Guziki) ················52
단추(Guzik) ·················54
바이올린(Skrzypce) ··············55
집(Dom) ···················56
베토벤(Beethoven) ···············58
사진(Fotografia) ················61
자연 선생님(Pan od przyrody) ·········63
노커(Kołatka) ·················67
미다스 왕의 우화(Przypowieść o królu Midasie)
······················69
판 코기토의 영혼(Dusza Pana Cogito) ·······73
판 코기토. 영혼의 현 위치(Pan Cogito. Aktualna
pozycja duszy) ···············76
이력서(Życiorys) ················79
수치(Wstyd) ··················83
주저하는 니케(Nike, która się waha) ·······85
계곡의 문에서(U wrót doliny)···········88
장밋빛 귀(Różowe ucho) ············92
판 코기토의 올바른 자세(Pan Cogito o postawie
wyprostowanej) ···············94
판 코기토−돌아옴(Pan Cogito−powrót) ·····99
판 코기토와 상상(Pan Cogito i wyobraźnia) ····104
판 코기토와 장수(長壽)(Pam Cogito i długowieczność)
······················109
판 코기토와 덕(德)(Pan Cogito o cnocie) ····115
판 코기토의 종말 예감(Przeczucia eschatologiczne
Pana Cogito) ···············118
판 코기토의 괴물(Potwór Pana Cogito) ······123
포위된 도시에서 온 보고서(Raport z oblężonego miasta)
······················129
참나무들(Dęby) ················134
판 코기토의 캘린더(Kalendarze Pana Cogito) ···137
판 코기토가 죽은 친구를 바라본다(Pan Cogito obserwuje
zmarłego przyjaciela) ············142
정체감(Poczucie tożsamośi)···········146
기도문(Brewiarz) ···············148
해설 ·······················151
지은이에 대해 ···················162
옮긴이에 대해 ···················171
책속으로
우리의 공포는
잠옷을 입지 않는다
부엉이의 눈동자를 갖고 있지 않다
관 뚜껑을 열지 않는다
촛불을 끄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