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AI 시대를 살아가는 기업들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하는지를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AI 기술은 이제 더 이상 연구소나 기술 전문가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는다. 2022년 챗GPT의 등장 이후, AI는 일상과 산업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었고, 오늘날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좌우하는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마이클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AI가 기업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네 가지 축―경영 여건, 생산 조건, 수요 조건,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단순히 AI 기술을 소개하는 것을 넘어 기업이 전략을 어떻게 수립하고 실행할 것인지, 조직 문화를 어떻게 바꾸어야 하는지, 어떤 인재와 역량이 필요한지, 고객의 변화된 요구를 어떻게 파악하고 대응해야 하는지, 산업 생태계의 변화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지 폭넓게 다룬다.
1장과 2장은 AI를 전략의 중심에 둔 기업 사례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AI 도입에 따라 변화해야 할 조직 구조와 일하는 방식을 짚는다. 3장부터 5장까지는 직원의 핵심 역량, 운영 혁신, 데이터 활용 등 생산 조건에 초점을 맞추며 AI 시대에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준비를 살펴본다. 6장과 7장은 고객 경험과 수요 조건을 다루며 AI 기술이 고객과의 접점을 어떻게 바꾸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 준다. 8장과 9장에서는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디지털 시대, 기업이 생태계 내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10장에서는 라이나생명이 AI를 통해 변화와 혁신을 실현한 실제 사례를 네 가지 축으로 종합 분석한다.
200자평
AI를 둘러싼 기술 발전과 시장 흐름, 기업의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합적으로 담아낸 이 책은 전략적 사고와 조직 운영, 산업 생태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경영 실천서다. AI를 단순히 따라잡는 것이 아닌, AI를 활용해 선도적인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명확한 방향과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지은이
이용수
IGM세계경영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고 산업정책연구원 연구교수다.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교에서 경영과학·MIS 석사 학위를,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에서 경영학(AI·전략경영)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글로벌 보험회사 처브의 한국법인인 라이나생명에서 전략, IT, 운영 담당 임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AI 영업 비서를 도입했고, 서류 없는 보험금 청구 구현, RPA 기반 업무 자동화를 이끌었다. 이전에는 PwC컨설팅에서 금융, 공공 분야에 경영성과관리, ERP(전사적 자원 관리), IFRS(국제회계기준), IT 전략 컨설팅을 수행했고 NH투자증권(구 LG증권)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커리어를 시작했다. 주요 논문으로 “Trends in InsurTech Development in Korea: A News Media Analysis of Key Technologies, Players, and Solutions”(2025), “인슈어테크를 활용한 전통적 보험회사의 혁신 전략: 라이나생명 사례를 중심으로”(2024)가 있다.
차례
AI를 활용한 기업 경쟁력 확보
01 AI, 이제는 기업 전략의 핵심
02 AI 수용을 위한 조직 변화
03 AI 시대의 핵심 업무 역량
04 AI가 바꾸는 산업 현장
05 데이터로 이끄는 AI 혁신
06 AI가 높이는 고객 경험
07 AI 시대의 고객 가치 찾기
08 AI 생태계의 조성과 대응
09 AI와 경계 없는 게임
10 보험회사의 AI 혁신 사례
책속으로
네트워크 효과는 인터넷, 모바일 시대에 이어 AI 시대에 심화되고 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화하는 AI의 특성을 고려할 때 네트워크에 올라탄 기업과 아닌 기업 간의 격차는 만회하기 어려워질지 모른다. 디지털 기반을 갖추지 못한 기업들은 그들의 업의 개념에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하는 기회 요소를 찾아 전략적 옵션에 올려놓아야 한다.
-01_“AI, 이제는 기업 전략의 핵심” 중에서
AI에게 지시를 잘하고 AI의 결과물을 잘 활용하려면 자기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AI에 대한 이해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생성형 AI는 기초적인 질문에는 기초적인 답변을 제공하지만 배경과 맥락이 있는 구체적인 질문에는 높은 품질의 답변을 구성한다. 또한 내가 전문성이 있어야 AI가 내놓은 답변을 검증할 수 있다. AI는 학습한 만큼 안다. 의심되는 부분에 대해 AI에게 피드백을 주면 AI는 추가 학습을 하고 사람은 더 나은 답변을 얻는다.
-03_“AI 시대의 핵심 업무 역량” 중에서
스마트폰이 가져온 변화만큼이나 또는 그 이상으로 AI는 세상을 바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기업들은 자칫 산업의 범위, 제품의 범위에 갇혀 밖으로부터 오는 AI의 위협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할 위험이 있다. 다시 고객의 입장으로 돌아가 고객이 돈을 지불한 만한 쓰임새나 활동인 가치 요소를 중심으로 우리 기업을 들여다보자. 각 가치 요소에 AI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각 가치 요소에서 도움을 주고 있는 업체나 AI 서비스가 잠재적 경쟁자가 될 수 있는지, 그렇다면 우리 기업에는 어떤 전략적 선택지가 있는지 면밀히 따져 보아야 한다.
-09_“AI와 경계 없는 게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