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술 혁신, 곧 교육 혁신이다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교육 현장에서의 AI 도입이 필수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교실의 최전선에서 미래 교육을 이끌 예비 교사들에게 AI 역량을 기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예비 교사는 아직 학습 여백이 많은 디지털 세대이기에 AI를 통한 교육 혁신에 적합한 주체로 손꼽히며 이들이 성장하는 과정이야말로 AI 교육의 성패를 좌우할 열쇠가 될 것이다.
이 책은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 등 교원 양성기관의 변화, AI 활용과 AI 리터러시가 포함된 필수 교과목 신설 등의 흐름을 소개하며 AI가 교원 양성 과정에 어떻게 통합되는지 살펴본다. 또한, AI 교육 목표와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 AI 교육 생태계와 에듀테크 기업과의 협력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시각에서 예비 교사의 AI 학습 환경을 조명한다. 디지털 학습 세대로서 예비 교사의 특성을 시작으로 AI 역량, 교육 신념, 변화 주도자로서의 정체성 형성, 그리고 AI 교육 정책과 디지털 생태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교사 교육의 변화를 모색하는 대학원생, 연구자, 교육 기획자뿐만 아니라 AI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고민하는 일반 독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AI 시대에 교육의 주체로서 예비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들이 수용자를 넘어 혁신적 교육자로 성장할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200자평
디지털 전환 시대에 예비 교사가 AI 역량을 갖춘 혁신적인 교육자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한 지침서다. AI와 교육 혁신의 연결성을 강조하며, 예비 교사의 교육 신념, 교육과정 설계, AI 생태계 및 정책 등을 다룬다.
지은이
김현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조지아대학(Univ. of Georgia)에서 교육공학(Instructional Technology)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모토로라, 포스코경영연구소, 사이버카이스트 등에서 인적 자원 개발 업무와 이러닝 개발을 했고,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는 교육 정보화 정책 연구를 수행했다. “미래 학교 설립 운영 모델 개발 연구”(2017), “AI 시대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운영 지원 방안 연구”(2019),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평가 활성화 방안 연구”(2022), “AI·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및 평가 체계 개발 연구”(2023) 등 AI 및 에듀테크 관련 국가 정책 과제와 교육부 자문위원 등을 수행했으며, 현재 국가교육교육위원회 교육과정전문위원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학교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의 교육 설계, 특히 AI 및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 역량 교육 설계 및 설계 연구, 교사 교육, 학습 과정 및 상호작용 분석과 질적 연구이며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을 출판했다.
김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강사다. 영남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국사학을 전공,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교육공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된 관심 분야는 모바일 학습 환경 설계, 학습자 경험, 질적 연구, 디지털 문화기술지, 디지털 리터러시 등이다. 주요 연구로 “디지털스토리텔링 한국어 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토리 생성과정에 나타난 상황학습 탐색”(2018), “메타종합접근을 통한 초·중등학교 모바일러닝 설계 전략 탐색”(2019), “Z세대의 모바일 학습 일상에 관한 디지털 문화기술지”(2023) 등이 있으며, 그 외 “민주시민육성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2019)에 참여했다. 이러닝 및 교육 콘텐츠 개발 분야와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의 객원연구원 활동과 함께 미래 교육과 수업, 학습과 테크놀로지, 교육 방법 및 교육 공학 등을 강의하며, 『디지털 교육』(공저, 2024) 교재를 집필,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 대상 수업 설계와 디지털 리터러시 및 모바일 기반 학습 환경 설계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차례
교육 혁신을 위한 AI, 왜 예비 교사 교육인가?
01 ‘디지털 학습 세대’ 예비 교사는 누구인가?
02 교육 목표로서 AI 역량: 학생이자 교사
03 역량이자 실천의 동기로서 신념과 AI
04 AI 기술 이상의 교육 혁신을 위한 변화 주도자
05 AI 교육의 롤 모델, 교사 교육자
06 예비 교사의 AI 역량 함양 교육과정 설계
07 AI 배움과 실천을 위한 예비 교사 교육 모델
08 예비 교사 중심의 AI 융합 교육 공간 설계
09 예비 교사 AI 역량 교육과 제도 기반
10 예비 교사와 AI 교육 생태계
책속으로
디지털 학습 세대 예비 교사는 교직 이수 과정과 교사 업무 맥락에서 최신 교육 자료와 인적, 물적 자원에 접근해 효과적인 노하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들은 디지털 학습 스캐폴더로서 향후 AI·디지털 교육 현장에서 동료 교수자 또는 학습자가 자신의 요구에 적합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또는 인적, 물적 자원 맥락에 접근, 수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다.
-01_“‘디지털 학습 세대’ 예비 교사는 누구인가?” 중에서
AI 시스템이 점점 지능화·자동화될 테지만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사람 즉, 교사 중심의 의사 결정과 학생 중심의 사고다. 교사는 개별 학습자 맞춤형 AI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학생의 학습 데이터에 근거해 AI가 홀로 의사 결정을 내리도록 두지 않는다. 교사가 중심이 되어 AI 시스템을 설계, 선택, 설명 및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03_“역량이자 실천의 동기로서 신념과 AI” 중에서
국가별 AI 관련 정책 시행 시기와 방향에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과거 테크놀로지 통합 정책 및 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 SW 교육 정책을 기반으로 기존 교육과정을 개선 확장하고 있다. 이를 통해 횡단 역량으로서 국가 단위 AI (교육) 역량 로드맵을 마련, 예비 교사의 AI 소양, AI 융합 교육과 기술 통합 역량 중요성을 공통으로 강조한다. 또한 윤리적 수행 과정을 위한 지침 마련과 지속적 AI (교육)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06_“예비 교사의 지속적 AI 역량 함양 교육과정 설계” 중에서
영국과 핀란드는 AI 규제와 함께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기반 생애 단위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온라인상 위험 요소와 데이터 보호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미국과 유네스코의 사례 또한 AI 교육 정책의 지속 가능성과 혁신적 교육 환경 조성 간 균형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참고할 수 있다.
-09_“예비 교사 AI 역량 교육과 제도 기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