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실무, 이론으로 무장하라
이 책은 PR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현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PR이 어떻게 조직과 그의 공중에게 도움을 주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PR 책들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사안들을 다루고 있다. 그만큼 PR을 연구하거나 실무를 담당하는 사람 모두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할 ‘PR론의 교양’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PR 입문자가 고도의 테크닉을 쌓아가는 데 튼튼한 기반이 될 것이다.
200자평
2004년에 번역 출간된 『현대 PR의 이론과 실제』에서 PR의 개념과 이론에 관한 부분만을 따로 묶어 출간했다. PR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현 구조를 설명하고, PR이 어떻게 조직과 그의 공중에게 도움을 주는지를 말한다.
PR 책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사안들을 다루고 있어 PR을 연구하거나 실무를 담당하는 사람 모두가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할 ‘PR론의 교양’이라 할 수 있다.
지은이
제임스 그루닉(James Grunig)
홍보학계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현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수 PR 및 커뮤니케이션 관리』지의 편집자로도 일한 바 있다. 미국PR연구소 PR연구 우수상(페스타인 상), 미국PR협회(PRSA) 탁월한 PR 교육자상, 미국PR협회재단 행동과학연구상(잭슨, 잭슨 앤 와그너 상) 등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PR과 PR 테크닉의 관리』(공저), 『우수 PR과 PR 관리의 경영자 가이드』(공저), 『조직 문화의 두 가지 차원과 그 차원의 PR에 대한 관계의 관찰 및 측정』(공저) 등이 있다.
토드 헌트(Todd Hunt)
뉴저지 주립 럿거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옮긴이
박기순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어과와 미국 미시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를 마치고 오하이오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및 한국홍보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언론학의 이론과 연구』, 『대인 커뮤니케이션』,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기업, 문화, 커뮤니케이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국가 이미지” 외 다수가 있다.
박정순
이화여자대학교과 서울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오하이오대학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대중매체의 기호학』(저), 『미디어의 성과 상』(공저), “지역감정의 본질 : 실상과 상상”, “지역감정과 커뮤니케이션” 외 다수가 있다.
최윤희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와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언론학 석사를 마치고 미국 오하이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기업의 위기관리와 PR 전략』, 『사회 캠페인론』, 『PR의 새로운 패러다임』, 『현대 PR』, 『국제 PR』 외 다수가 있다.
차례
제1장 PR의 개념
1. PR의 정의 9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l 상호 이해의 필요
2. 조직 하부체계로서의 PR
체계를 중심으로 l 행동의 결과 l 모형의 유용성
제2장 PR의 기원과 구조
1. PR과 유사한 활동들
고대의 PR l 인쇄술의 영향 l 미국혁명 중에 PR l 신대륙에서의 PR l 잭슨대통령 시절의 아모스 켄달
2. 네 가지 PR 모형의 이론과 실제
PR의 목적 l 커뮤니케이션의 본질 l 커뮤니케이션 모형들 l 네 모형에서의 연구활동 l 네 가지 모형의 역사 l 오늘날 네 모형의 실시 현황
3. 네 모형의 역사적 기원
언론 대행·홍보 모형 l 공공 정보 모형 l 쌍방 불균형 모형 l 쌍방 균형 모형
4. 네 모형의 상황적 관점
제3장 PR과 공공 책임
1. 공공 책임에 관한 몇 가지 논쟁점
2. 왜 공중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하나?
3. 공중에게 어떻게 책임을 져야 하나?
책임의 분류 l 공공 대 사회적 책임
4. PR이 조직체의 책임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내부 보고 l 외부 보고
5. 기업 활동에서 조직체의 공공책임까지
제4장 PR의 전문성
1. 전문직업의 본질
전문직업인의 조직체에 대한 영향 l 전문직업인의 특성
2. PR 실무자들의 가치관
PR과 언론
3. 전문인 협회들
4. 전문인 윤리강령
윤리의 두 가지 기본 원칙
5. 지식 체계
이론의 탐구
6. PR 교육
PR 교과과정 l PR 교육 평가 l 평생교육
7. PR은 전문직업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