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캐더린 우셔 핸더슨(Katherine Usher Henderson)
산 라파엘의 도미니카대학(Dominican College of San Rafael)의 영어학과 교수며 교무처장이다. 그녀는 『조안 디디온(Joan Didion)』의 저자며, 바바라 맥마너스(Barbara McManus)와 함께 『반인간성:1540∼1640년 영국에서의 여성에 대한 논쟁의 문맥과 텍스트들(Half Humankind:Contexts and Texts of the Controversy about Women in England, 1540∼1640)』의 공동저자다. 그녀는 또한 여성학과 현대 미국 여성들에 대한 여러 논문들을 발표했으며 뉴 로첼레(New Rochelle) 대학에서 여성학 과장과 예술과학대학의 학장으로 근무했다.
요셉 안토니 마제오(Joseph Anthony Mazzeo)
콜롬비아대학(Columbia Uiniversity)의 인문과학대학의 아바론(Avalon) 재단의 명예교수며, 인문과학대학의 원로교수다. 그는 『르네상스와 혁명:유럽사상의 개조(Renaissance and Revolution:The Remaking of European Thought)』와 『삶의 구성 방식:생물학적 사고와 이해의 다양성에서의 주요 주제들(The Design of Life :Major Themes in Biological Thought and Varieties of Interpretation)』을 포함하여 수많은 논문들과 8권의 저서를 발표하였다. 그는 또한 17세기 영문학의 많은 자료 선집과 과학사에서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일련의 연속물들을 편집하였으며, 《종교와 문학(Religion and Literature)》지와 《비교문학(Comparative Literature)》지의 편집위원으로 종사해 왔다.
옮긴이
백선기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IAMCR(국제언론학회) 국제평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크리스 바커와 교류하게 되었다. PACA(태평양아시아 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고, 한국기호학회의 부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와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및 이사, 한국방송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원장을 지냈다. 저서로는 『인터넷 공간의 진화와 미디어 콘텐츠』(공저, 2007), Media Coverage and Semiotics(2007),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7),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7)을 비롯하여 『전쟁보도와 미디어 담론』(2005), Television News, Images and Semiotics(2004), News, Signs and Culture(2004),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2004), 『한국 언론 보도의 기호학』(2004), 『텔레비전 영상 기호학』(2003), 『정치담론과 인터넷』(2003),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2002), 『사이버 선거와 인터넷』(2001), 『언론보도와 신화적 인식』(1998),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1997) 등이 있다. 역서로는 『미디어 담론』(2004), 『문화연구란 무엇인가』(2000) 등이 있다. 이 중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은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과 『문화연구란 무엇인가』는 한국언론학회 희관 저술상을 수상했다.
차례
개정판 발간에 부쳐
역자 서문
감사의 말
저자 서문
제1부 텔레비전과 사회
제1장 텔레비전 방송담화
텔레비전 토크 쇼에서의 사회에 대한 패러다임
로버트 클루에트(Robert Cluett)
제2장 텔레비전의 친밀성
신뢰와 로맨스의 패러독스
쥬디스 케간 가디너(Judith Kegan Gardiner)
제3장 야구장과 화면
야구와 텔레비전
마이클 세이델(Michael Seidel)
제4장 여성과 텔레비전에 투영된 신화
해리엇 브로제트(Harriet Blodgett)
제2부 예술로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편성
제5장 아리오스토와 보흐코
<올란도의 광기>, <힐 거리의 연가>와 의 다음적(多音的) 구성
제임스 미롤로(James V. Mirollo)
제6장 좋은 것, 나쁜 것, 그리고 속이는 것(위조)
톨스토이의 서술체이론
메리 시리지(Mary Sirridge)
제7장 리차드 챔벌레인의 <햄릿>
테오해리스 테오해리스(Theoharis C. Theoharis)
제3부 텔레비전과 비판
제8장 지나치게 신중한 취급과 지나치게 소홀한 취급
바바라 리(Barbara Lee)
제9장 대중문화, 계급문화, 민주주의 그리고 주요 시간대
텔레비전 비판과 질의 문제
데이비드 마크(David Marc)
제10장 대중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과거 반세기 동안의 텔레비전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제임스 오브리엔(James M. O’Brien)
참고문헌
엮은이
옮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