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양만리(楊萬里, 1127∼1206)는 송대를 대표하는 시인 중의 한 사람이다. 송대를 다시 북송(北宋)과 남송(南宋)으로 나눌 때, 양만리는 육유(陸游, 1125∼1210), 범성대(范成大, 1126∼1193), 그리고 우무(尤袤, 1127∼1194)와 함께 ‘중흥 사대가(中興四大家)’, 또는 ‘남송 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지며 남송(南宋)의 시사(詩史)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남송(南宋)의 저명한 시 비평가 엄우(嚴羽)는 ≪창랑시화(滄浪詩話)≫에서 역대의 시를 논하면서, 송대의 시인으로는 소식과 황정견, 진사도, 왕안석, 소옹(邵雍), 진여의, 그리고 양만리를 들고 그의 시를 ‘양성재체(楊誠齋體)’라고 일컬었다.
양만리의 동시대(同時代) 사람들은 양만리 시의 특색을 논하면서 ‘활법(活法)’이란 표현을 쓰길 좋아했는데, 예컨대 장자(張鎡)는 양만리의 시를 ‘활법시(活法詩)’라고 평한 바 있다. 앞에서 보았듯이 강서시파의 후학들이 황정견의 원래 취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시법에 매이자 여본중(呂本中)이 이러한 폐단을 바로잡으려 했으며 이에 ‘활법’을 제창했다. 그는 말하길, “시를 공부함에 마땅히 활법을 알아야 한다. 활법이란 법도를 모두 갖추면서 동시에 법도 밖으로 나갈 줄 알며, 변화를 헤아리기 어렵지만 법도에 위배되지도 않는 것이다”라고 했다. 양만리의 ‘활법시’, 그의 성재체는 이러한 여본중의 주장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양만리의 ‘활법시’는 단순히 시를 짓는 방법 문제만 고려하는 것은 아니다. 양만리는 <이천린에게 화답한 두 수(和李天麟二首)> 제1수에서 “시를 공부함에는 모름지기 ‘투탈’해야 하니, 손 가는 대로 맡겨도 저절로 홀로 높은 경지에 이르네”라고 해서 ‘투탈(透脫)’을 제시했다. 이것은 시인의 흉금(胸襟)과 사유(思惟)가 어떠한 외부 사물에도 매이지 않으며, 일반적이고 고정된 사고(思考)의 틀이나 법도의 구속 등에서 벗어나는 것을 가리킨다. ‘투탈’은 불교의 고승들이 수행과 관련하여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말 것을 강조하는 말 중 하나다. 양만리의 ‘투탈’ 중시는 또 그의 학문이나 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양만리는 젊어서 유안세(劉安世), 장구성(張九成), 왕정규(王庭珪), 호전(胡銓), 그리고 장준(張浚) 등으로부터 이학(理學)의 가르침을 받은 바 있는데, 송대의 이학가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우주 만물에 대한 조용한 관조(觀照)를 통해 도(道)를 깨닫고자 했다. 양만리는 평소에 여러 사물들을 접하면서 언제나 그들의 존재, 모습, 움직임, 그리고 변화 등을 유심히 관찰하면서 우주 자연의 이치를 살피고자 했다. 그는 이런 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만물의 존재와 관련된 새로운 발견과 느낌 등을 자신의 풍부한 시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해서 시로 나타내었다. 그의 시에 등장하는 사물들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사고를 하고 행동을 하며, 독자들은 이들이 ‘살아 있다[活]’는 인상을 받는다. “양만리는 만사에 활법을 깨달았다”는 주필대(周必大, 1126∼1204)의 평은 바로 양만리의 이러한 ‘투탈’ 사상과 그의 ‘활법시’를 가리키는 것이다.
200자평
양만리는 송대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육유, 범성대, 우무와 함께 남송 사대가로 꼽힌다. 형식과 기교에 치중하던 강서시파와 달리, 그는 시법(詩法)의 굴레를 벗어나 자연으로 나아감으로써 ‘신체시(新體詩)’를 이루었다. 그의 시는 흔한 사물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아 그 본질을 찾아내고 이를 기발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시어로 표현해 만물에 생명을 부여한다.
지은이
양만리(楊萬里, 1127∼1206)
양만리(楊萬里, 1127∼1206)는 자(字)가 정수(廷秀), 자호(自號)는 성재야객(誠齋野客)이며, 남송(南宋) 고종(高宗) 건염(建炎) 원년(元年, 1127) 음력 9월 22일(양력 10월 29일), 길주(吉州) 길수현(吉水縣) 동수향(同水鄕) 신가리(新嘉里) 밤당촌(湴塘村)에서 태어났다. 28세에 과거 시험에 합격한 뒤, 고종, 효종, 광종, 영종의 네 황제가 통치하는 기간 동안 지방과 수도에서 관직 생활을 했다.
개희(開禧) 2년(1206), 80세, 음력 5월 8일(양력 6월 15일)에 세상을 떠났으며 이듬해(1207), 조정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추증(追贈)했고, 가정(嘉定) 6년(1213)에는 ‘문절(文節)’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렸다.
양만리는 송대를 대표하는 문학가 중의 한 사람으로, 시인으로 특히 유명하며 산문(散文)도 잘 지어 <천려책(千慮策)>을 비롯한 좋은 글들을 남기고 있다. 비평서로 ≪성재시화(誠齋詩話)≫가 있다. 사(詞)도 15수 전한다. 양만리는 또 아버지의 영향으로 ≪역경(易經)≫에도 정통해 ≪성재역전(誠齋易傳)≫을 남기고 있다.
옮긴이
이치수
이치수(李致洙)는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타이완(臺灣) 국립타이완대학(國立臺灣大學)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와 저서로 ≪신기질 사선(辛棄疾詞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진여의 시선(陳與義詩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육유 사선(陸游詞選)≫(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조자건집(曹子建集)≫(소명, 2010, 공역), ≪도연명 전집(陶淵明全集)≫(문학과지성사, 2005), ≪송시사(宋詩史)≫(역락, 2004, 공저), ≪중국 시와 시인−송대편(宋代篇)≫(역락, 2004, 공저), ≪육유 시선(陸游詩選)≫(문이재, 2002), ≪중국 유맹사(中國流氓史)≫(역서, 아카넷, 2001), ≪육유시연구(陸游詩硏究)≫(臺灣, 文史哲出版社, 1991) 등이 있다. 논문으로 <진후산시연구(陳後山詩硏究)>, <방옹 시 연구(放翁詩硏究)−광의식(狂意識)을 중심(中心)으로>, <중국 고전 시가(中國古典詩歌)에 나타난 협(俠)>, <중국 고전 시체(中國古典詩體) 중 육언절구(六言絶句)의 생성, 발전과 특색 연구>, <당대(唐代) 시학(詩學)의 전개에 있어서 ‘시법(詩法)’ 문제 연구>, <송대(宋代) 시학(詩學)의 발전과 당송시(唐宋詩) 우열논쟁(優劣論爭) 연구>, <중국(中國) 무협소설(武俠小說)의 번역 현황과 그 영향>, <섭은랑(聶隱娘)>에 관하여>, <중한(中韓) 고전(古典) 시론(詩論)의 상관성(相關性) 연구> 등, 다수가 있다.
차례
백가도를 지나며 지은 절구 네 수 (2)
농부들을 걱정하며
한가로이 지내며 초여름 낮잠에서 일어나 지은 절구 두 수 (1)
가랑비
촉 땅 사람 위치요 무간의 <만언서>를 읽고
다음 날 취해 돌아가다
여름밤 서늘함을 찾으며
조용히 지내면서 읊은 세 수 (2)−운와암
작은 연못
<엄자릉전>을 읽고
새싹 돋은 버드나무
저녁 더위에 연못가를 노닐면서 지은 다섯 수 (3)
개미를 보고 지은 두 수 (1)
추위에 언 파리
까마귀
추운 날 참새들
어린아이가 얼음을 갖고 놀다
모심기 노래
영취사에서 묵다
병든 뒤 노쇠함을 느끼며
장난삼아 짓다
배가 사담을 지나며
단호 사람들
바람의 신에게 띄우는 격문
새벽에 정자사를 나와 임자방을 전송하며 (2)
덕륜 행자를 전송하며
햇님과 달님의 노래
상호령을 지나가면서 초현강의 남쪽과 북쪽 산을 바라보며 (2)
밤에 동저에 묵으면서 큰 소리로 노래 부르며 지은 세 수 (1)
밤에 동저에 묵으면서 큰 소리로 노래 부르며 지은 세 수 (3)
상서성 간판관 서공중의 최근 시를 읽고
배에서 저녁 경치를 바라보며 (1)
양자강을 지나며 (1)
양자강을 지나며 (2)
배 타고 양자교를 지나면서 멀리 바라보며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1)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2)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3)
처음으로 회하에 들어서서 지은 절구 4수 (4)
눈 그치자 새벽에 금산에 오르다
죽지가 (7)
3월 3일, 충양공 성묘를 갔다가 산보를 하면서 지은 절구 열 수 (6)
강 하늘의 저녁 경치에 탄식하며 (2)
상다갱 길에서 (7)
송원을 지나, 아침밥을 칠공점에서 먹다 (5)
탄식을 하며
중양절 이틀 뒤, 서극장과 만화천곡에 올라 달빛 아래 술잔을 돌리다
도중에 잠시 쉬다
산장의 자인 조카와 동원에서 매화를 보다 (1)
8월 12일 밤, 성재에서 달을 바라보며
여름날 밤, 달과 놀다
옷을 말리다
또 나를 돌아보며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장난삼아 짓다
들국화와 거친 이끼가 각기 돈 모습을 빚어내는데
노란 국화 금돈, 푸른 이끼 구리돈, 둘이 서로 아름다움을 다투네.
하느님이 가난한 시인에게 이들을 주시지만
시름만 살 수 있을 뿐 밭은 살 수 없다네.
戲筆
野菊荒苔各鑄錢,
金黃銅綠兩爭姸.
天公支與窮詩客,
只買淸愁不買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