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제78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미국 사회의 인종갈등을 섬세하게 파헤친<크래시(Crash)>가 최고 영예인 작품상을 받았다. 또 남성 동성애자들의 사랑을 그린 <브로크백 마운틴(Brokeback Mountain)>이 감독상을 받았다. 보수적인 헐리우드가 파격을 추구했다. 하지만 배우 조지 클루니의 말처럼 “영화는 사회를 앞서간다기보다는 사회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현실을 2~3년 후에 반영하는 것”이 아닌가?
한국 사회를 돌아보자… 전통적으로 남자와 여자의 존재밖에 모르던 우리에게, 커밍아웃한 배우, 성전환 수술한 가수 덕분(?)에 ‘젠더’란 단어는 퍽이나 친숙해졌다. 그러나 모든 사람은 어떠한 식으로든 젠더로 분류된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젠더로 살아간다.
자신에게 이름 붙여진 젠더가 무슨 의미인지를 제대로 아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사회적 억압의 실체를 예민하게 확인하고 깨고 나오는 것까지가 이 책의 소명이다.
200자평
이 책은 젠더 이미지가 가정과 사회, 미디어, 학교에서 어떻게 조직적으로 만들어지고 교육되는지, 다양한 사회의 사례와 다양한 이들의 목소리로 직접 확인한다. 이 책을 읽다보면 다양한 젠더가 처해진 현실에 화도 나고 의문도 들지만, 마침내는 남자, 여자 외의 모든 젠더(트렌스젠더, 성전환자, 양성체 등) 외에도 인종, 계층, 민족, 섹슈얼리티, 성적 지향성(게이, 레즈비언) 등의 모든 다양성을 인정하는 힘이 생긴다.
지은이
줄리아 우드(Julia Wood)
현재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채플힐)의 커뮤니케이션 스터디스(Communication Studies) 학과에서 젠더,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문화, 페미니즘 이론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옮긴이
한희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1980년대의 가족법 개정 논의에 대한 신문담화분석”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시 교통방송에서 PD로 활동했다.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한국 페미니즘 영화의 의미생성과 수용자해독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 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방문연구원, 국가인권위원회의 공보담당관실을 거쳐, 미국 퍼듀대학교의 방문연구원으로 미국에 체류했다. 페미니즘과 사회 변화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담론의 힘과 역할 등에 관심이 있다.
차례
머리말_대화를 시작하며
불평등의 사회적 구축
페미니즘-페미니즘들
변화의 지렛대로서 커뮤니케이션
1부 개념 다지기
1 커뮤니케이션, 젠더, 문화 연구
과도기, 젠더의 의미
젠더,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2 젠더 형성에 대한 접근
젠더에 대한 생물학적, 대인적, 문화적 접근
3 젠더의 수사적 의미 형성: 미국의 여성 운동
미국 여성 운동의 세 가지 물결
미국의 제1, 2, 3물결 여성 운동
4 젠더의 수사적 의미 형성: 미국의 남성 운동
친페미니스트 남성 운동
남성주의적 남성 운동
반페미니즘 : 반격
5 젠더에 따른 언어 커뮤니케이션
젠더의 문화적 관점을 표현하는 언어 커뮤니케이션
젠더에 따른 상호작용 : 언어 커뮤니케이션의 남성적, 여성적 스타일
6 젠더에 따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형태
젠더에 따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관련 문화적 가치
2부 젠더 커뮤니케이션의 현실
7 젠더에 따른 가족의 역동성
젠더화 사회의 편입
가정의 커뮤니케이션 젠더화
젠더 드라마의 개인적 측면
8 젠더에 따른 친밀한 관계
사적 관계로서 의미
젠더에 따른 우정의 유형
젠더에 따른 연인 관계
9 젠더에 따른 교육: 학교의 커뮤니케이션
학교 조직
학과목의 내용
교실 안팎의 커뮤니케이션
10 젠더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직장에서의 젠더에 따른 고정관념
직장생활에서 남성적 규범
조직의 젠더에 따른 패턴
제도상의 젠더에 따른 불평등을 제거하려는 노력
11 젠더 차별적 미디어
미디어의 문화생활 침투
미디어의 젠더 차별적 주제
뉴스 보도의 편견
젠더의 미디어 재현의 함의
12 젠더 권력과 폭력
젠더 폭력의 사회적 구축
젠더 폭력의 양상들
젠더 폭력의 사회적 기반
젠더 폭력 저항하기 : 지금부터 어떻게 해야 하나?
과거를 되돌아보며, 미래를 지향하며
여성 운동, 남성 운동
커뮤니케이션
사적 관계와 젠더
교육과 젠더
제도적 환경과 젠더
젠더와 폭력
미래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