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컴북스 / 저널리즘 / 저널리즘 일반 / 한국 현대 언론인 열전
한국 현대 언론인 열전

한국 현대 언론인 열전

읽기   인티  

            
지은이 김영희·박용규
책소개

권력과 자본의 통제와 억압, 그에 대한 저항과 순응, 그리고 다양화와 전문화. 광복 이후 한국 언론의 모습이다. 그렇다면 언론인들은 과연 어떤 생각을 품고, 어떤 행동을 했는가? 그들은 언론을 그리고 시대를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가? 지향점과 활동 분야는 제각기 다르지만 언론사에 커다란 흔적을 남겼다고 평가받는 35명의 언론인들. 저자들은 이들의 정신적, 직업적, 인간적 면면을 다루면서 언론의 역사를 입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들의 행보를 통해 언론과 언론인이 걸어가야 할 길을 모색해 볼 수 있다.


 
200자평

한국 언론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동안 자세히 다루지 못했던 언론인들을 집중 소개한다. 저자들은 광복 이후 주로 보도와 논평을 했던 언론인 중 작고한 인물 35명을 선정해 그들의 활동과 의의를 밝히고 인간적인 측면까지 다루었다. 언론학자인 저자들은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 데 많은 공을 들였다. 한국의 언론사를 이해할 수 있는 귀중한 사료.


 
지은이

김영희 
이화여대 신문방송학과(현 언론홍보영상학부)를 나와 서울대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한양대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한국언론사를 강의한다. ≪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을 지냈고, 현재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과 역사연구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관심 분야는 한국 사회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역사다. 최근에는 한국전쟁기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 냉전기 미국의 대한 방송 VUNC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1880∼1980』(2009)(2010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0년 한국언론학회 학술상(저술상) 수상), 『한국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2008), 『광복과 한국 현대 언론의 형성』(공저, 2006), 『대한매일신보 연구』(공저, 2004) 등이 있다.
박용규
서울대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 신문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을 거쳤고, 현재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언론학보≫·≪한국언론정보학보≫·≪언론과 사회≫ 편집위원, 한국언론정보학회 연구·기획이사, 강원언론학회장, 강원일보 독자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한국의 언론과 문화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특히 민족운동과 언론인, 방송과 대중음악의 역사가 주 관심 분야다. 앞으로 한국 언론인의 역사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와 한국 방송의 대중음악 프로그램의 역사를 정리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다. 저서로 『한국의 미디어 사회문화사』(공저), 『일제강점기 언론사 연구』(공저), 『한국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한국 언론사의 이해』(공저) 등이 있다.

 
차례

머리말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의 선구자
백담(白潭) 강영수(姜永壽, 1913∼1997)

지역 언론인으로 일관한 삶
강표원(姜杓遠, 1931∼1992)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잡지 편집자
고정기(高廷基, 1930∼1995)

중앙에서 더 바빴던 지방 언론인의 대부
남봉(南鳳) 김남중(金南中, 1917∼1987)

한국형 주간지의 역사를 만든 언론인
김용장(金容章, 1922∼2002)

방송 저널리즘의 초기 개척자
김인현(金仁鉉, 1920∼1993)

전통적인 여성미 갖춘 여성면 전문 기자
광전(匡沺) 박현서(朴賢緖, 1924∼1990)

‘대변인’의 길 걸은 문인 기자
서기원(徐基源, 1930∼2005)

반공 의식에 포획된 보수 언론인
선우휘(鮮于煇, 1922∼1986)

‘역사의 길’ 걸은 언론인의 사표
청암(靑巖) 송건호(宋建鎬, 1927∼2001)

‘격정 시대’ 살다 간 풍운의 언론인
우인(雨人) 송지영(宋志英, 1916∼1989)

생활 속 멋 추구한 명칼럼니스트
수탑(須塔) 심연섭(沈鍊燮, 1923∼1977)

‘자유 언론의 제단에 바쳐진’ 언론인
안종필(安鍾袐, 1937∼1980)

언론인 양성에 앞장선 ‘영원한 사회부장’
청오(靑吾) 오소백(吳蘇白, 1921∼2008)

“기자는 거리에 나타난 학자”
석천(昔泉) 오종식(吳宗植, 1906∼1976)

언론인 외길 고집했던 논객 나절로
나절로 우승규(禹昇圭, 1903∼1985)

언론계 살림꾼이자 협상의 명수
동계(東溪) 원경수(元瓊洙, 1918∼1980)

현장 찾아 전국 누빈 사회부 기자의 전형
이강현(李綱鉉, 1925∼1977)

선비 속에 감춰진 방송계의 지성
우화(又華) 이덕근(李德根, 1917∼2007)

휴머니즘 지향한 시인이자 철학자
이목우(李沐雨, 1919∼1973)

국가대표 출신 최장수 체육부장
이유형(李裕灐, 1911∼2003)

‘워싱턴 특파원’으로 기억되는 방송기자
효암(曉巖) 이정석(李貞錫, 1932∼2008)

독립운동 하듯 ≪사상계≫ 발행한 잡지 언론인
장준하(張俊河, 1918∼1975)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신문의 귀재’
정국은(鄭國殷, 1918∼1954)

영화 평론가로 더 알려진 문화부 기자
정영일(鄭英一, 1928∼1988)

최초의 여성 논설위원 여기자클럽 창설 주도
정충량(鄭忠良, 1916∼1991)

수필가로서 더 평가받는 최장수 여기자
월당(月堂) 조경희(趙敬姬, 1918∼2005)

일세를 풍미한 명사회부장 ‘조 대감’
조덕송(趙德松, 1926∼2000)

자주적 평화통일 갈망한 진보적 민족주의자
조용수(趙鏞壽, 1930∼1961)

달변·박학의 ‘만화경’적 언론인
청사(晴史) 조풍연(趙豊衍, 1914∼1991)

지사적 언론인 전통의 마지막 인물
후석(後石) 천관우(千寬宇, 1925∼1991)

‘최병우 기자회견’ 전설 만든 정열의 언론인
최병우(崔秉宇, 1924∼1958)

우리 시대 대표적 반골 언론인
몽향(夢鄕) 최석채(崔錫采, 1917∼1991)

시대의 양심 지킨 직필 언론인
신천옹(信天翁) 함석헌(咸錫憲, 1901∼1989)

현대 저널리즘 지평 넓힌 칼럼니스트
홍승면(洪承勉, 1927∼1983)


 
책속으로

그는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의 선구자’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가 말년에 “후배 언론인들이 늘 공부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 소원”이라고 한 충고는 자신이 그렇게 해 온 것을 말한 것이기에 더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_ “아카데미즘과 저널리즘의 선구자 백담(白潭) 강영수” 중에서

그는 ‘객관 보도’는 자칫하면 진실을 제대로 알리지 못한다고 하며, 역사의식을 토대로 ‘주창 보도’해야만 언론이 바람직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_ “‘역사의 길’ 걸은 언론인의 사표 청암(靑巖) 송건호” 중에서

“비록 신문사에 적을 두고 있지 않아도 시대가 제기하는 중대한 문제들을 남들이 알고도 모른 체하고 있을 때 용기 있고 솔직하게 그리고 양식에 따라 글로써 시비 논평한다면 그는 훌륭한 언론인”이라고 할 때, 함석헌은 바로 그런 유형의 언론인이었다.
_ “시대의 양심 지킨 직필 언론인 신천옹(信天翁) 함석헌” 중에서



서지정보

발행일 2011년 6월 15일
쪽수 482 쪽
판형 153*224mm ,  210*297mm
ISBN(종이책) 8964061616     28000원
ISBN(EPUB) 9791130402963     22400원
ISBN(큰글씨책) 9791130408439     42000원
분류 저널리즘, 저널리즘 일반, 컴북스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