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군이 걸어온 변화와 성장의 역사
지금까지의 군 관련 저작들은 주로 군사 전략, 군사 과학기술, 군 인사 관리에 초점을 맞춰 왔다. 최근 들어 교육훈련과 개발에 중점을 둔 학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세부적이고 단편적인 접근에 그치고 있다. 반면, <한국군의 인적자원개발>은 국방부와 각군의 사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오랜 기간 동안 이어져 온 한국군 인적자원개발의 역사와 성과를 한눈에 보여 준다. 육군본부, 국방부에서 군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 정책의 연구와 실무를 담당했고,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직접 기획하여 군 인적자원개발의 일선에 섰던 저자의 관점과 철학이 고스란히 묻어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군은 국가 인재 개발을 담당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국방 인력의 능력 개발과 활용이 국가 인적자원개발에 기여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군 인적자원개발은 군 경쟁력 강화, 군대 선진화, 장병의 삶의 질 향상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음을 논의한다.
1장은 오늘날 국가적 차원에서 군 인적자원개발이 갖는 중요성과 의의를 논의하고 한국군의 인적자원개발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2장은 군 인적자원개발의 개념을 정리하고 한국군 인적자원개발 체계 분석을 통해 한국군 인적자원개발의 특징을 논의한다. 3장은 씨족사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해 온 군 인적자원개발을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건군 이전의 역사를 씨족사회~삼한 시대, 삼국 시대, 조선 시대, 근대 사회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건군 이후를 건군기(1946~1950), 전쟁 및 전후 정비기(1950~1961), 국방 체제 정립기(1961~1972), 자주국방 기반 조성기(1972~1980), 자주국방 강화기(1981~1990), 국방 태세 발전기(1991~현재)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논의한다. 시기별로 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노력이 존재했으며, 그것은 시대가 처한 상황과 국방 환경에 따라 끝없이 변화, 발전해 왔음을 밝힌다. 4장~6장은 HRD의 학문적 범주에 따라 군 인적자원개발을 개인 개발, 조직 개발, 경력 개발의 형태로 구분해 정리한다. 4장에서는 개인 개발 차원에서 군의 전문인력교육, 능력개발교육, 직무향상교육, 장병 자기개발, 군 평생학습, 전직지원교육을 살펴본다. 5장은 조직 개발 차원에서 군 교육훈련의 기조와 발전 방향, 전투 임무 위주 부대훈련, 실전적 과학화 훈련과 원격교육, 전쟁 이외의 작전 수행 능력 배양, 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내용을 분석한다. 6장은 경력 개발 차원에서 군 경력 관리 제도 변천 과정, 부사관 경력 개발 제도, 준사관 경력 개발 제도, 군무원 경력 개발 제도, 미래형 경력 개발 제도를 정리한다. 7장은 정책 결정 과정 분석 모형에 따라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을 분석하여 ‘정책 시동기’, ‘정책 협력기’, ‘정책 갈등기’, ‘정책 결정기’로 구분해 논의하고, 주요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추진 성과를 분석한 후 군 교육훈련 체계, 평생교육과의 연계 발전, 지역 인적자원개발 활용, 직무 역량 개발, 산·군·학·연 네트워크, 법령 개정 차원에서 향후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200자평
교육훈련과 개발, 학습에 중점을 두고 한국군의 인적자원개발을 분석한 첫 책이다. 방대한 사료를 분석하여 군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특징, 한국군 인적자원개발의 시대별 변천 과정, HRD의 학문적 범주에 의한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분석,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성과와 향후 과제를 한 권에 정리했다.
이를 통해 한국군의 인적자원개발은 군의 역사와 함께 변화해 왔으며, 군 인적자원개발이 국가 수준, 군 조직 수준, 개인 수준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와 함께 군 인적자원개발이 군의 새로운 도전과 성장의 패러다임이며, 학습조직화의 동력임을 강조한다.
지은이
청주대학교 군사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를 학사 졸업한 뒤, 학군 21기로 임관해 전후방 각지에서 주요 지휘관과 참모를 역임했다. 군 복무 중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에서 행정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9년에 중앙대학교 인적자원개발정책학과에서 인적자원개발정책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때 쓴 박사학위논문이 “한국군의 평생교육 변천 과정에 관한 평가 분석 연구”다. 육군본부 인적자원개발계획장교, 국방부 인적자원 및 평생학습 정책을 담당했으며, 그동안 한국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수립과 평생학습 정책을 기획해 국가 정책화에 기여했다. 중앙대학교 겸임교수로도 활동했다. 관심 연구 분야는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평가, e-러닝을 활용한 군 학습조직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등이다. 최근에는 전직지원 및 위기관리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효과에 관한 연구”,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성과와 과제”, “해방 후 창군기 한국군의 평생교육 경향 분석”, “군 특수 전문 능력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국방 분야 전문직 자격 제도 도입 연구”, “군 평생교육 정책 분석과 향후 발전 과제”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군의 평생교육』(2010)이 있으며,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차례
추천사 1
추천사 2
추천사 3
머리말
01 서론
02 군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특징
군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정의
군 교육훈련의 이념과 기본 체계
한국군 인적자원개발의 체계
03 한국군 인적자원개발의 변천 과정
건군 이전 군 인력의 역사적 고찰
건군기(1946~1950)
전쟁 및 전후 정비기(1950~1960)
국방 체제 정립기(1961∼1972)
자주국방 기반 조성기(1972~1980)
자주국방 강화기(1981∼1990)
국방 태세 발전기(1991∼현재)
한국군 인적자원개발 변천 과정의 특징
04 개인 개발
개인 개발의 목적과 내용
전문인력교육
능력개발교육
직무향상교육
장병 자기개발
군 평생학습
전직지원교육
05 조직 개발
군 교육훈련의 철학적 기조와 발전 방향
전투 임무 위주 부대훈련
실전적 과학화 훈련과 원격교육
전쟁 이외의 작전 수행 능력 배양
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06 경력 개발
군 인사(경력) 관리 제도의 변천
부사관 경력 개발 제도
준사관 경력 개발 제도
미래형 인사 관리 제도와 경력 개발 제도
07 군 인적자원개발 평가와 향후 과제
군 인적자원개발 평가 모형과 접근법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결정 과정 분석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 추진 성과 분석
군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향후 방향과 과제
부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