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18세기 후반 개화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 야학운동사를 정리했다. 야학운동사는 그 동안 부분적으로 다루어져 왔지만 저자처럼 야학운동에 직접 참여해온 실천가의 입장에서 110년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다룬 것은 이 책이 처음이다.
저자는 다양한 통계 등 실증적 자료를 이용하면서도 야학 학생이나 교사들이 직접 쓴 1차 자료를 가능한 그대로 인용해 삶에 대해 가졌던 그들의 고통과 희망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야연 사건’ 등 그 당시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던 탄압 사건에 대해서도 새롭게 전말을 밝히고 있다. 대중서와 연구서의 장점을 살리려고 했다는 저자의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의 근현대사와 맥을 같이 하는 민중교육의 역사를 한 눈에 쉽게 그릴 수 있다.
한국 근현대 사회민주화운동사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인 교육운동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그동안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졌지만 교육 민주화는 아직도 요원한 상태다. 이는 교육운동이 사회운동과 결합하지 못하고 1990년대 이후 급격히 쇠퇴한 데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다. 저자는 우리나라 사회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여전히 교육적 소외가 존재하고 있는 지금 왜 야학을 다시 봐야 하는지 그 논의의 물꼬를 트고 있다.
200자평
개화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110년에 이르는 한국 야학운동사를 현장실천가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했던 야학을 통해 야학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아울러 시대의 변화와 함께 앞으로 야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도 전망해 본다.
지은이
1971년 1월에 태어났다. 세 살 때 집안의 경제적인 사정으로 인해, 광산에서 광부로 일하는 아버지를 따라 식구들이 이사간 곳이 경상북도 문경이다. 아버지는 그가 열한살 때 돌아가셨다. 그의 어머니는 그 후 갖은 고생을 하면서 4남 3녀를 키웠다. 그는 고등학교를 딱 1학년 1학기까지 마치고 친구와 함께 서울로 올라와 구로공단 봉제 공장에서 ‘시다’로 공장생활을 시작했다. 시간이 흘러도 돈을 벌지 못하는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 조금씩 공부를 해야겠다는 마음을 가졌다. 운 좋게 검정고시를 봐서 합격을 하고 대학에도 들어갔다. 대학생활 내내 야학활동을 하고 대학 졸업 후에도 어떻게 하면 야학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을까 많은 갈등과 고민을 했다. 그 와중에서 <야학21>이라는 야학운동 잡지를 만드는 모임에서 5명의 편집위원들이 십일조를 내기로 결의하고, 그 자금으로 1년 동안 상근비를 지급한다고 결정했다. 그는 남부 야학에 들어가 최근까지 상근 활동을 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야학도 많은 변화를 겪은 요즘 그가 힘을 쏟고 있는 일은 파울로 프레이리에 대한 연구와 그 철학을 실천하는 것이다.
차례
추천사
책을 내며
머리말
야학의 이해
1부 야학의 시대: 개화기~일제 강점기
1 새로운 시대와 교육(개화기)
근대 사회로의 변화
민중의 성장
근대 교육의 형성
종교계의 교육활동
야학의 탄생
2 야학의 성장(1890~1918)
대중교육의 확산
야학의 성장
사립학교운동과 식민지 교육정책
관제 야학
3 야학의 시대(1919~1931)
3·1운동의 배경과 전개
사회운동의 다양화
야학의 현황
사회운동과 야학
여성 교육과 야학
4 저항과 변질(1932~1945)
일제의 야학 탄압
혁명적 농민조합운동과 야학
개량화, 관제 야학으로의 변질
일제 강점기 야학운동의 의의
2부 이념의 시대: 해방~한국전쟁
5 해방과 혼란(1945~1950)
해방과 좌절
노동자 투쟁
왜곡되는 교육
노동자교육
문해교육
공민학교
6 전쟁과 재건(1950~1960)
한국전쟁과 혼란
한국전쟁 이후의 야학
3부 가난의 탈출: 1960~1970년대
7 가난의 탈출
가난한 농촌
가난한 이들
재건학교의 등장
야학의 등장
8 귀례 이야기
노동현장
서울로 가는 길
한(恨)
9 관과 민
위로부터의 야학
아래로부터의 야학
10 노동 야학의 등장
청계천 노동교실
기독교 야학운동
들불처럼 번져라
1970년대 야학운동의 의의
4부 노동 야학의 시대: 1980년대
11 노동 야학의 전개
1980년대 야학의 일반적 상황
검시 야학, 생활 야학, 노동 야학
학생운동의 흐름
야학비판
정권vs야학의 길항
민중 야학 탄압 사건
소그룹운동
야학협의회 활동
12 1987년 민중항쟁
1987년을 넘어서
1987년 이후의 야학운동
노동자, 정치의식화 교육
진보적 생활 야학
5부 야학의 변화: 1990년대
13 1990년대 야학의 일반적 현황
1990년대 야학의 상황
야학 학생
야학 교사
야학 교육
야학 정체성의 변화
14 연대와 단결의 장 ‘야학인 한마당’
연대와 단결: 야학인 한마당
15 개별을 넘어 연대로
서울지역 야학연대
전국지역 야학연대
6부 야학의 변화와 전망
16 야학의 변화와 전망
문해교육
이주민 한국어교실
장애해방을 향해
대안 교육운동
결론: 자유를 향한 여정
야학관련 자료 읽기
참고문헌
전국 야학, 문해교육 기관 주소록
관련기사
한겨레 신문 2009년 3월 7일 교양.잠깐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