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김성한단편집_앞표지_1판1쇄_ok_20170413
김성한 (金聲翰) 지음, 김학균 엮음, 2017년 7월 25일, 206쪽, , , 99원, 128*188mm

1950년대 우리나라는 더 이상 손댈 수 없는 타락한 사회였고, 전도된 가치가 당연한 사회였다. 이 시기 김성한의 작품들은 6·25전쟁 전후 혼란스러운 사회상을 여실히 그려 낸다. 친일파 청산 문제, 타락한 교육 현실, 부패와 부정으로 얼룩진 정권, 무분별한 외래 문화 수입과 같은 당시의 부끄러운 단면을 풍자하고 있다.



101가지디자인공식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712
손별 지음, 2017년 8월 5일, 242쪽, , , , 99원, 128*188mm

디자인은 왜 어려운가? 크리에이티브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공식인가? 답이 아니라 문제를 위한 공식, 깨어지기 위한 공식이다. 101가지 공식을 변형하고 때로는 부정하며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한다. 저자는 20여 년간 현장과 교육 경험에서 얻은 실제 지식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이 책은 시각디자이너, 영상, 제품 디자이너는 물론이고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는 이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인티 보기 1  

언론고시하우투패스2017년개정판_앞표지_ok_20170712
이현택·김주민·김태호·김영민·오경묵 지음, 2017년 8월 10일, 458쪽, , , , 99원, 153*224mm

이제 언론고시 수험가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독서 『언론고시, 하우 투 패스』가 2017년 개정판으로 나왔다. 이 책은 언론 현장에서 길어 올린 각종 유용한 정보들을 모아 소수만 공유하는 언론고시 비법의 장벽을 깨뜨림으로써 합격의 꿈을 이루어주는 ‘언론고시 바이블’이다.

인티 보기 1  

스포츠갬블링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711
문개성 지음, 2017년 8월 23일, 132쪽, , , 99원, 128*188mm

인티 보기 1  

수업이예술을만났어요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704
서울문화재단 지음, 2017년 7월 20일, 236쪽, , , 99원, 150*210mm

<예술로 플러스>의 창의예술수업은 국내에 선례가 없는 획기적인 시도였다. 교사들은 ‘아이들이 중심이 되는 살아있는 수업’을 경험할 수 있었고 아이들은 스스로 몰입하면서 수업의 주인공이 되었다. 늘 보다 나은 수업방식을 고민했던 교사들에게 하나의 비상구이자 돌파구를 마련해주었다. 이 책은 수업을 준비하는 TA와 교사들의 회의 과정, 실제 이뤄진 수업의 진행 과정, TA와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장로랭환상단편집_앞표지_1판1쇄_ok_20170619
장 로랭 (Jean Lorrain) 지음, 노영란 옮김, 2017년 7월 11일, 146쪽, , , , 99원, 128*188mm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활약한 작가 장 로랭의 단편 가운데 환상 작품 8편을 한 데 모았다. 작품마다 가면으로 민낯을 가린 인물, 민낯이 가면보다 흉악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장 로랭은 이들의 가면을 벗겨 내고 그 안에 감춰져 있던 흉악한 인간 본성을 드러내 보여 준다.

인티 보기 1  

하일브론의케트헨_앞표지_1판1쇄_ok_20170616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Heinrich von Kleist) 지음, 이원양 옮김, 2017년 7월 11일, 296쪽, , , 99원, 128*188mm

피고 폼 슈트랄 백작의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비밀재판이 열린다. 고소인은 하일브론의 대장장이 테오발트다. 딸 케트헨이 맹목적으로 그를 따르고 있으며 이 납득할 수 없는 추종은 슈트랄 백작이 그녀에게 행사한 마력 때문이라는 것이 테오발트의 주장이다. 케트헨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클라이스트 생전에 대중의 호응이 가장 뜨거웠던 작품이다.

인티 보기 1  

동양이야기_앞표지_1판1쇄_ok_2017615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Marguerite Yourcenar) 지음, 오정숙 옮김, 2017년 6월 30일, 194쪽, , , , 99원, 128*188mm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의 초기 단편소설집이다. 그리스, 발칸반도, 일본, 인도, 중국 등에서 전해지는 전설들을 토대로 단편소설 열 편을 엮은 것이다. 30대 초반의 젊은 작가였던 유르스나르의 열정과 욕망, 삶의 경험과 작가로서의 가능성이 녹아들어 있다.

인티 보기 1  

타너가의남매들_앞표지_1판1쇄_ok_20170615
로베르트 발저 (Robert Walser) 지음, 김윤미 옮김, 2017년 6월 30일, 452쪽, , , , 99원, 128*188mm

카프카와 헤세가 그의 열렬한 독자였으며, 페터 한트케, 마르틴 발저 등 독일 현대 작가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 사람, 로베르트 발저다. <타너가의 남매들>은 그의 첫 장편소설이다. 자신의 형제들을 모델로 해 쓴 자전적인 소설에서 발저는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반감을 숨기지 않는다.

인티 보기 1  

이집에사는내언니_앞표지_1판1쇄_ok_20170613
웬디 케슬먼 (Wendy Kesselman) 지음, 이지훈 옮김, 2017년 6월 30일, 158쪽, , , 99원, 128*188mm

1933년 2월 2일 프랑스 남부 소도시 르망에서 상주 하녀들에 의한 주인집 모녀 살해 사건이 발생한다. 시신은 잔혹하게 훼손되어 있었다. 이 사건은 프랑스 지성계에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미국인 여성 작가 웬디 케슬먼은 특히 여성주의 관점에서 사건을 재해석한 희곡으로 수전 스미스 블랙번 상을 수상한다.

인티 보기 1  

눈사태_앞표지_1판1쇄_ok_20170526
빅토리야 토카레바 (Виктория С. Токарева) 지음, 김서연 옮김, 2017년 6월 30일, 178쪽, , , , 99원, 128*188mm

러시아 베스트셀러 작가 빅토리야 토카레바의 작품이다. 주인공 이고리가 휴양소에서 우연히 만난 여인과 불륜을 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불륜 뒤 변해 가는 가정과 주변의 수많은 것들을 묘사한 문체는 덤덤하지만 일상적 문제 및 인간의 내면과 다양한 갈등을 날카롭게 파고든다. 토카레바식 세태 묘사의 특징이다.

인티 보기 1   2  

거미줄_소설_앞표지_1판1쇄_20170531
요제프 로트 (Joseph Roth) 지음, 김희근 옮김, 2017년 6월 23일, 232쪽, , , , 99원, 128*188mm

히틀러가 영웅주의를 내세워 소시민 계층의 폭넓은 지지를 얻는 데 성공한다. 돈과 명성을 원했던 테오도어는 극우 단체에 가담해 밀정 노릇을 하며 뜻을 이뤄 나간다. 20세기 독일어 문학을 대표하는 요제프 로트는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조합해 독일 사회에 만연한 반유대주의의 실체를 고발했다.

인티 보기 1   2  

창의노동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620
안채린 지음, 2017년 7월 5일, 130쪽, , , 99원, 128*188mm

인티 보기 1  

팬픽션의이해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619
남명희 지음, 2017년 7월 5일, 116쪽, , , , , 99원, 128*188mm

인티 보기 1  

찰스샌더스퍼스_앞표지_1판1쇄_ok_20170626
이윤희 지음, 2017년 6월 28일, 136쪽, , 99원, 128*188mm

미국 실용주의의 첫 시작은 수학과 논리적 방법을 철학에 적용함으로써 과학철학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현상학과 규범과학에 기반을 둔 형이상학을 통해 인간의 정신과 물질, 그리고 우주를 설명하는 진화적 철학을 지향했다. 이때 규범과학으로서 기호학은 현상의 관찰과 추론에 사용되는 논리적 방법론이 된다. 삼원적 기호 체계는 자아와 타자, 자연과 인간, 과학과 종교를 연결한다. 이로써 실용주의는 모든 것이 연속되어 있다는 연속주의를 재현하며, 기호 사용자의 탐구 공동체에서 실현된다. 이 책은 ‘실용주의의 아버지’ 찰스 샌더스 퍼스의 사상을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한다.

인티 보기 1  

아서단토_앞표지_1판1쇄_ok_20170613
장민한 지음, 2017년 6월 28일, 136쪽, , 99원, 128*188mm

서구는 예술의 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객관적 구조 속에서 예술을 실천해 왔다. 그러나 <브릴로 상자>의 등장으로 예술의 정통 서사는 종말을 고한다. 이제 다양한 관심에 따라 예술과 관련된 여러 서사들이 만들어진다. 이들은 서로 다른 개별 관심사에 기반을 둔 서사라는 점에서 서로 위계가 있을 수 없고,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발전한다. 여기서 비평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책은 ‘예술의 종말’ 테제로 유명한 아서 단토의 사상을 10가지 키워드로 정리한다. 예술의 종말 이후 비평 원리를 소개한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