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의식은 빙산과 같은 것일까? 광고는 인간의 상품화를 낳는가? 동화에 숨겨진 의미는 무엇일까? 짧은 단편 50개를 묶은 이 축약적인 안내서는 소쉬르, 레비 스트로스, 드 세르토, 라스웰, 매클루언, 포스트먼 등 커뮤니케이션/문화 이론가들이 사용한 중요 개념들을 소개한다. 아사 버거가 달아놓은 명쾌한 설명은 정신분석학, 기호학, 유머, 타자,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등의 키워드를 가로지른다. 매력적이고 접근하기 쉬운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급변하는 미디어의 세계에서 어떻게 커뮤니케이션할 것인지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적절한 입문서가 될 것이다.
200자평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출발해 프로이트, 융, 포스트먼을 지나 매클루언에 이르는 지적 여행. 아서 버거는 저명한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의 핵심적인 글을 뽑아 명쾌한 해석을 덧붙였다. 난해한 개념과 이론을 친절한 설명과 예시로 풀어내 사전 지식이 부족한 독자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문화에 대한 훌륭한 개관이자 최고의 사상과 접할 수 있는 입문서다.
지은이
아서 아사 버거(Arthur Asa Berger)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교 방송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미디어 비평, 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이다. 그의 저작은 기호학, 소비문화, 만화, 미디어 분석 방법, 포스트모더니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수십 권에 달한다. 그 가운데 『대중매체비평의 기초(Media Analysis Techniques)』,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Seeing is Believing)』, 『커뮤니케이션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등이 우리말로 번역, 소개된 바 있다.
옮긴이
이영주
성균관대학교에서 독일문학과 매스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하고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여러 대학의 학부와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 미디어 비평, 사회과학철학, 미디어 문화연구, 영상 커뮤니케이션론, 비판 커뮤니케이션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책임연구원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예술 문화와 미디어 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미디올로지(mediology)의 학문적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한국 사회의 역사와 문화, 미디어 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과 방법론의 발전을 꾀하는 연구 계획을 가지고 있다. 『작은 문화콘텐츠 만들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포맷 창작론』, 『방송통신융합시대 공영방송의 좌표와 개혁』 등의 공저가 있으며, “한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열정과 위기론을 넘어 현실을 들여다보기”, “창조산업과 예술교육”, “지식 저널리즘과 텔레비전 문화”, “정치, 저널리즘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양식 변환의 의미”, “텔레비전 공공성의 사회적 구성: 정치적 문화적 긴장을 중심으로”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이설희
성균관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에서 수학했다. 이미지의 의미 구성 양식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초점을 맞춘 포토저널리즘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이에 대한 관심을 박사과정에서 미디어 사회학과 문화연구의 주제로 확장했다. 소비 시장과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방송 콘텐츠(영상)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국내 라이프스타일 텔레비전의 생산과정과 프로그램 특성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스크린 테크놀로지의 다양화와 영화 소비 경험의 변화”, “게임에서의 시점과 캐릭터 동일시” 연구에 공동연구자와 교신저자로 참여하였다. 문화연구에 대한 관심으로 모바일을 이용한 소녀문화, 영화 수용 경험, 게임 콘텐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으며, 소비 공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국민대학교, 광운대학교, 단국대학교, 서일대학교, 용인대학교 등에서 미디어 사회학, 미디어 문화론, 영상 이론, 텔레비전 개론, 대중문화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차례
역자 서문
감사의 말
서문: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01 피터 팝 말과 커뮤니케이션
02 페르디낭 드 소쉬르 기호와 기호학
03 루이스 캐럴 험프티 덤프티가 말하기를, 내가 단어를 사용할 때에는 …
04 지그문트 프로이트 단어의 상반된 의미들
05 조나단 컬러 사회는 개인에 우선한다
06 바실 번스타인 언어 코드
07 메리 더글러스 구조주의 시각
08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문화와 무의식
09 조지 레이코프와 마크 존슨 은유의 중요성
10 로만 야콥슨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유형
11 해럴드 라스웰 라스웰 공식
12 메이어 에이브럼스 예술과 사회: 유형
13 마이클 홀퀴스트 커뮤니케이션의 대화적 측면
14 캐서린 리스먼 이야기로서 대화
15 데보라 태넌 남자와 여자는 언어를 다르게 사용한다
16 로저 에이브러햄스 흑인 화법
17 벨 훅스 유색인과 미디어
18 앨버트 메러비언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19 폴 에크먼과 테런스 세즈노프스키 얼굴 표정
20 루스 루빈스타인 커뮤니케이션으로서 패션
21 요한 하위징아 상징주의와 종교
22 칼 융 상징의 의미
23 밀턴 새피어스틴 여성성의 상징으로서 집
24 하비 콕스 미스 아메리카의 신화적 의미
25 안토니 코르테즈 광고의 여성 이미지
26 볼프강 하우크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의 힘
27 롤랑 바르트 신화와 사회
28 이완 와트 신화로서 로빈슨 크루소
29 브루노 베텔하임 동화와 심리
30 마셜 매클루언 뜨거운 미디어와 차가운 미디어
31 프레드릭 제임슨 포스트모더니즘의 충격
32 잭 솔로몬 포스트모던의 눈
33 한스 엔첸스베르거 정신과 미디어
34 에스펜 올셋 사이버 텍스트와 비디오게임
35 밥 스타인 디지털 미디어
36 하워드 라인골드 지혜로운 군중
37 구스타브 르 봉 군중이 생각하는 법
38 마틴 그로챤 텔레비전과 예술
39 닐 포스트먼 죽도록 즐기기
40 미셸 드 세르토 미디어의 서사
41 마틴 에슬린 드라마 매체로서 텔레비전
42 사이몬 프리스 록 음악의 힘
43 유리 로트만 예술 텍스트
44 사이몬 레서 정신분석학과 문학
45 윌리엄 프라이 유머와 커뮤니케이션
46 아리스토텔레스 희극에 대하여
47 앨런 고완스 예술은 무엇을 하나?
48 수전 손택 해석과 예술
49 기 드보르 스펙터클의 사회
50 스튜어트 홀 재현과 차이
용어 해설
참고문헌
이 책에 나오는 주요 저자 소개
책속으로
이 책은 어떤 점에선 엉뚱한 모험이거나 어쩌면 불가능한 작업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 분야의 학자들과 전문가들은 특정 글이나 책이 내 목록에서 제외된 이유에 대해 당연히 의구심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이 글들을 선택한 이유는, 이들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그리고 문화에 대한 전반적 그림을 가장 흥미롭게 보여 주고 있으며, 이 책의 독자들이 고찰해야 할 가장 유용한 아이디어와 개념, 이론들이기 때문이다.
_ “서문: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중에서
바르트로부터 우리가 알게 된 중요한 것은 텍스트, 의식, 사물, 그리고 일상의 여러 면들을 기호로 본다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들이 의미를 가지고 있고, 만약 우리가 기호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신화가 우리의 행위, 미디어, 문화를 알리는 방식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들로부터 의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_ “27 롤랑 바르트 신화와 사회” 중에서
추천글
이 책은 어떤 점에선 엉뚱한 모험이거나 어쩌면 불가능한 작업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 분야의 학자들과 전문가들은 특정 글이나 책이 내 목록에서 제외된 이유에 대해 당연히 의구심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내가 이 글들을 선택한 이유는, 이들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그리고 문화에 대한 전반적 그림을 가장 흥미롭게 보여 주고 있으며, 이 책의 독자들이 고찰해야 할 가장 유용한 아이디어와 개념, 이론들이기 때문이다.
_ “서문: 이 책을 활용하는 방법” 중에서
바르트로부터 우리가 알게 된 중요한 것은 텍스트, 의식, 사물, 그리고 일상의 여러 면들을 기호로 본다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들이 의미를 가지고 있고, 만약 우리가 기호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신화가 우리의 행위, 미디어, 문화를 알리는 방식을 이해하고 있다면, 이들로부터 의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_ “27 롤랑 바르트 신화와 사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