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대표되는 대중매체와 일상생활에 대한 탐구서. 이 책은 우리의 일상사가 미디어와 어떻게 상호 교섭하는지 그 역사성을 복원한다. 이를 위해 텔레비전, 라디오, 위성텔레비전과 같은 미디어가 가정에서 어떻게 자리 잡고 이용되는가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시간과 공간, 장소를 어떻게 바꾸었는가에 대한 답을 찾고 있다.
200자평
우리 일상사가 미디어와 어떻게 상호 교섭하는지 그 역사성을 탐구한다. TV, 라디오, 위성TV가 가정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분석하고,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시간과 공간, 장소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보여준다. 역사 자료와 주요 사상가의 개념을 통해 미디어를 둘러싼 삶의 양식과 권력작용을 고찰한다.
지은이
샤언 무어스
선더랜드대학교 미디어문화연구센터 교수. 저서로 『수용자 들여다보기: 미디어 소비에 대한 민속지학(Interpreting Audiences: The Ethnography of Media Consumption)』과 『위성 텔레비전과 일상: 테크놀로지와의 절합(Satellite Television and Everyday Life: Articulating Technology)』, 『가정 소비의 정치학: 비판적 읽기(The Politics of Domestic Consumption: Critical Readings)』(공편) 등이 있다.
옮긴이
임종수
세종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졸업했다. 박사논문은 “1970년대 한국 텔레비전의 일상화와 근대문화의 일상성”(2003)이다.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전문위원(2005-2007) 역임하고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및 언론정보학회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미디어 역사문화 연구이고 포털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등 융합 미디어 연구도 병행하고 있다.
김영한
KBS PD. 서울대학교 영어교육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하고, 런던대학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89년 KBS에 입사하여 라디오본부에서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연출했으며, 현재 공영방송 수신료에 관련된 정책과 홍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KBS PD협회 운영위원과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사무처장을 지냈다. 현재 언론학회 회원이며 ‘문화연구 시월’의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차례
역자 서문
머리말
1 근대사회의 미디어와 일상생활
일상 생활환경의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지구촌 문화의 시간, 공간 그리고 장소
정체성, 경험과 상호작용
이론, 연구 그리고 학제성
2 일상생활의 제도로서 방송
생산과 소비의 조건
수용자에 대한 표현 방법과 수용자 알기
시청-청취의 사회적 관계
정체성 의식과 공동체 형성
3 초기 라디오: 뉴미디어 테크놀로지의 가정화
거실의 불청객
수신기 조작과 스타일의 변화
가족 청취와 감시자로서 어머니
편성과 일상의 리듬
4 위성텔레비전: 수용자 그리고 절합
연구의 배경
주택지구 A: 에드워드풍의 베이프런트
주택지구 B: 큰길에서 떨어진 단독주택지구
주택지구 C: 테라스 주택 거리
5 텔레비전, 지리학, 그리고 유동성의 사사화
집 안에 머무르기/집 밖으로 나가기
인문지리적 텔레비전 문화를 향하여
연구의 방향
6 미디어와 근대성의 경험
장소귀속탈피/재장소화
방송과 시공간 원격화
차이와 불평등의 이슈
7 정체성, 전통 그리고 해석: 캐런 쿠레시와 숀 무어스
사회적 변화에서의 주체 탐구
사적/공적 환경에서의 전통적 가치
젠더, 세대, 그리고 대인관계
8 매개적 상호작용의 동학과 결과
핵심 연구 주제
텔레비전과 라디오: 매개적 의사 상호작용
전화와 컴퓨터: 매개적 대인 커뮤니케이션
동시존재적 참여자 간의 조우
몇 가지 개념적, 실천적 함의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