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태평광기초(太平廣記鈔)》는 중국 명나라 문학자 풍몽룡(馮夢龍)이 북송 초에 이방(李昉) 등이 편찬한 고대 소설 모음집인 《태평광기》를 산정(刪定)한 것이다. 원전이 되는 《태평광기》는 송나라 이방이 한대(漢代)부터 북송 초에 이르는 소설 · 필기 · 야사 등의 전적에 수록되어 있는 이야기들을 광범위하게 채록해, 총 500권에 6965조로 정리한 것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비춰 보이는 이야기 거울’이라는 부제가 말해 주는 것처럼 세상의 온갖 이야기를 다 담고 있다. 이 때문에 《태평광기》는 이후 역사서에 인용되기도 하고 후대의 문학 작품에도 영향을 주어 많은 파생 작품들이 탄생했다.
그러나 이 방대한 분량은 몇 가지 문제를 낳았다. 분량이 너무 많다 보니 인쇄도 쉽지 않고, 교정도 쉽지 않아 판본에 많은 오류가 발생했다. 더해서 독자들이 읽기에도 부담스러웠다. 풍몽룡은 《태평광기초》의 머리말인 〈소인(小引)〉에서 “옛사람은 고사를 인용할 때 출처를 기록하지 않았는데, 출처를 묻는 사람이 있으면 곧장 큰 소리로 ‘《태평광기》에 나온다’라고 말했다. 그 권질이 방대해서 사람들이 열람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해 이렇게 사람들을 속였던 것이다”라고 할 정도였다. 풍몽룡은 당시 부실한 《태평광기》 출판 상황을 개탄하면서 이대로 방치할 경우 독자들의 외면을 받아 결국 폐기될 것을 우려해, 보다 체계적이고 엄정하게 편집한 《태평광기》 선본을 간행하고자 했다. 이에 500권 92류(類)에 총 6965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던 《태평광기》 중 번잡하고 중복 수록된 고사를 삭제하고, 배치가 잘못된 것들을 정리해 전체 80권 82부(部)에 총 2584조의 고사로 편찬했다. 《태평광기》에 분리되어 수록되었던 고사를 《태평광기초》에서 병합한 고사가 400여 조이므로 실제로는 약 3000여 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는 셈이다.
《태평광기초》의 가장 큰 특징은 비주(批注)와 평어(評語)다. 비주는 지면의 상단 여백에 기록하는 미비(眉批), 고사의 원문 사이에 기록하는 협비(夾批)와 협주(夾注)가 있는데, 《태평광기초》에 기록된 미비는 1842개이고 협비와 협주는 269개다. 평어는 고사의 중간이나 말미에 해당 고사에 대한 풍몽룡 자신의 견해를 기록하거나 해당 고사와 관련된 다른 고사를 인용해 논평한 것으로 218개에 달한다. 미비는 특정한 대목에 풍몽룡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 부류를 설명하거나 어려운 글자에 대한 독음과 뜻을 설명한 경우도 있다. 협비와 협주는 고사의 중간중간에 풍몽룡의 즉흥적인 느낌을 기록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그 밖에 특정한 인물·명물·사건에 대해 설명한 경우도 있다. 평어는 풍몽룡의 이성적 사고, 도덕적 가치관, 역사 인식, 인정세태에 대한 감회 등이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비주와 평어는 풍몽룡의 사상과 가치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해당 고사를 읽는 독자들의 보다 흥미로운 감상과 보다 정확한 이해를 돕는 아주 유용한 장치라고 하겠다.
이렇듯 《태평광기초》는 문학적으로는 물론이고 역사, 민속학적으로도 문헌적 가치가 무척 높은 필기 문헌이나, 국내는 물론이고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아직 번역 성과가 없는 형편이다. 필기 문헌 전문 연구가인 연세대 김장환 교수는 세계 최초로 《태평광기초》를 번역, 교감, 주석해 완역 출간한다. 《태평광기초》의 원전 텍스트에 대한 보다 쉽고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삼아 이후 더욱 활발한 연구 성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200자평
《태평광기초(太平廣記鈔)》는 중국 고대 소설집 《태평광기》를 산정(刪定)한 것이다. 《태평광기》는 송나라 이방이 편찬한 설화집으로, 일명 ‘세상의 모든 것을 비춰 보이는 이야기 거울’이라고 한다. 전 500권의 이 방대한 이야기를 명나라 풍몽룡이 중복되는 것은 삭제하고 잘못 배치된 이야기는 정리해 80권으로 엮고 자신의 비평을 첨가한 책이 《태평광기초(太平廣記鈔)》다. 내용이 재미있을 뿐 아니라, 중국 고전 소설 비평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중국 필기문학의 전문가인 연세대 김장환 교수가 세계 최초로 번역해 소개한다. 4권에는 은혜 갚은 이야기인 권16 〈보은부(報恩部)〉에서 운명과 관련한 이야기를 담은 권20 〈정수부(定數部)〉까지를 수록했다.
엮은이
《태평광기초》를 평찬(評纂)한 풍몽룡(馮夢龍, 1574∼1646)은 중국 명나라 말의 문학자로, 자(字)는 유룡(猶龍)·공어(公魚)·자유(子猶)·이유(耳猶) 등이고, 호(號)는 향월거고곡산인(香月居顧曲散人)·고소사노(姑蘇詞奴)·오하사노(吳下詞奴)·전전거사(箋箋居士)·묵감재주인(墨憨齋主人)·전주주사(前周柱史)·녹천관주인(綠天官主人)·무원외사(茂苑外史)·평평각주인(平平閣主人) 등이다. 남직례(南直隸) 소주부(蘇州府) 장주현(長洲縣, 지금의 장쑤성 쑤저우시] 사람이다. 사대부 집안 출신으로 형 풍몽계(馮夢桂)와 동생 풍몽웅(馮夢熊)과 함께 “오하삼풍(吳下三馮)”으로 불렸다. 숭정(崇禎) 7년(1634)에 복건성(福建省) 수녕지현(壽寧知縣)을 지냈으며, 나중에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종사했다. 만년에는 반청(反淸) 운동에 가담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근심과 울분 속에서 죽었다.
그는 명나라 최고의 통속 문학자로, 소설로는 가장 유명한 의화본 소설(擬話本小說)인 삼언(三言), 즉 《유세명언(喻世明言)》·《경세통언(警世通言)》·《성세항언(醒世恒言)》을 비롯해 《태평광기초》·《평요전(平妖傳)》·《열국지(列國志)》·《정사유략(情史類略)》 등을 편찬했고, 희곡으로는 《묵감재정본전기(墨憨齋定本傳奇)》, 민가집으로는 《산가(山歌)》·《괘지아(掛枝兒)》, 산곡(散曲)으로는 《태하신주(太霞新奏)》, 소화집(笑話集)으로는 《소부(笑府)》, 필기로는 《고금담개(古今譚槪)》·《지낭(智囊)》 등을 편찬했다. 그의 저작은 대부분 민간 문학에 집중되어 있어서 통속 문학자로서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옮긴이
김장환(金長煥)은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세설신어연구(世說新語硏究)〉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지인소설연구(魏晉南北朝志人小說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대학교 중문과 교수,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옌칭 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교수(2004∼2005), 같은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Fairbank Center for Chinese Studies) 객원교수(2011∼2012)를 지냈다. 전공 분야는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이다.
그동안 쓴 책으로 《중국 문학의 흐름》, 《중국 문학의 향기》, 《중국 문학의 향연》, 《중국 문언 단편 소설선》, 《유의경(劉義慶)과 세설신어(世說新語)》, 《위진세어 집석 연구(魏晉世語輯釋硏究)》, 《동아시아 이야기 보고의 탄생−태평광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국 연극사》, 《중국 유서 개설(中國類書槪說)》, 《중국 역대 필기(中國歷代筆記)》, 《세상의 참신한 이야기−세설신어》(전 3권), 《세설신어보(世說新語補)》(전 4권), 《세설신어 성휘운분(世說新語姓彙韻分)》(전 3권), 《태평광기(太平廣記)》(전 21권), 《태평광기상절(太平廣記詳節)》(전 8권), 《봉신연의(封神演義)》(전 9권), 《당척언(唐摭言)》(전 2권), 《열선전(列仙傳)》, 《서경잡기(西京雜記)》, 《고사전(高士傳)》, 《어림(語林)》, 《곽자(郭子)》, 《속설(俗說)》, 《담수(談藪)》, 《소설(小說)》, 《계안록(啓顔錄)》, 《신선전(神仙傳)》, 《옥호빙(玉壺氷)》, 《열이전(列異傳)》, 《제해기(齊諧記)·속제해기(續齊諧記)》, 《선험기(宣驗記)》, 《술이기(述異記)》, 《소림(笑林)·투기(妬記)》, 《고금주(古今注)》, 《중화고금주(中華古今注)》, 《원혼지(寃魂志)》, 《이원(異苑)》, 《원화기(原化記)》, 《위진세어(魏晉世語)》, 《조야첨재(朝野僉載)》(전 2권),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소씨문견록(邵氏聞見錄)》(전 2권) 등이 있으며, 중국 문언 소설과 필기 문헌에 관한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차례
권16 보은부(報恩部)
보은(報恩)
16-1(0303) 미축(糜竺)
16-2(0304) 유가(劉軻)
16-3(0305) 차를 대접하고 얻은 보람(饗茗獲報)
16-4(0306) 유홍경(劉弘敬)
16-5(0307) 손태(孫泰)
16-6(0308) 요우(姚牛)
16-7(0309) 한 무제(漢武帝)
16-8(0310) 유언회(劉彥回)
16-9(0311) 공유(孔愉)
16-10(0312) 엄태(嚴泰)
16-11(0313) 정영선(程靈銑)
16-12(0314) 위단(韋丹)
권17 원보부(寃報部)
원보(寃報) 1
17-1(0315) 진패선(陳覇先)
17-2(0316) 두백(杜伯)
17-3(0317) 후주의 여자(後周女子)
17-4(0318) 강융(江融)
17-5(0319) 진훈(陳勛)
17-6(0320) 악생(樂生)
17-7(0321) 위 판관(韋判官)
17-8(0322) 태악의 악공(太樂伎)
17-9(0323) 장손무기 등(長孫無忌等)
17-10(0324) 곽패(郭霸)
17-11(0325) 양사달(楊思達)
17-12(0326) 장화사(張和思)
17-13(0327) 진결(陳潔)
17-14(0328) 소회무(蕭懷武)
17-15(0329) 누사덕(婁師德)
17-16(0330) 송신석(宋申錫)
17-17(0331) 원휘(元徽)
17-18(0332) 하후현(夏侯玄)
17-19(0333) 기주의 주지승(岐州寺主)
17-20(0334) 진광모(秦匡謀)
17-21(0335) 마봉충(馬奉忠)
17-22(0336) 조유사(曹惟思)
17-23(0337) 장 절도사(張節使)
17-24(0338) 두통달(杜通達)
17-25(0339) 최 현위의 아들(崔尉子)
17-26(0340) 정생(鄭生)
17-27(0341) 공손작(公孫綽)
17-28(0342) 합두사(榼頭師)
17-29(0343) 당소(唐紹)
17-30(0344) 이생(李生)
17-31(0345) 변주의 객승(汴州客僧)
17-32(0346) 노사언의 딸(魯思郾女)
권18 원보부(寃報部)
원보(寃報) 2
18-1(0347) 진현(陳峴)
18-2(0348) 변사유(卞士瑜)
18-3(0349) 최도(崔導)
18-4(0350) 유약시(劉鑰匙)
18-5(0351) 유자연(劉自然)
18-6(0352) 후생(侯生)
18-7(0353) 엄무(嚴武)
18-8(0354) 두응(竇凝)
18-9(0355) 형양씨(滎陽氏)
18-10(0356) 서철구(徐鐵臼)
18-11(0357) 호양의 첩(胡亮妾)
18-12(0358) 금형(金荊)
18-13(0359) 이 명부(李明府)
18-14(0360) 녹교(綠翹)
18-15(0361) 이지례(李知禮)
18-16(0362) 주화(朱化)
18-17(0363) 이첨(李詹)
18-18(0364) 장역지 형제(張易之兄弟)
18-19(0365) 이영(李嬰)
18-20(0366) 오당(吳唐)
18-21(0367) 광릉의 남자(廣陵男子)
18-22(0368) 패국의 선비(沛國士人)
18-23(0369) 전창(田倉)
18-24(0370) 황민(黃敏)
18-25(0371) 최도기(崔道紀)
18-26(0372) 양 원제(梁元帝)
18-27(0373) 기주의 아이(冀州小兒)
18-28(0374) 왕공직(王公直)
권19 징응부(徵應部)
휴징(休徵)
19-1(0375) 진창현의 보계(陳倉寶鷄)
19-2(0376) 한고조(漢高祖)
19-3(0377) 흰 제비(白燕)
19-4(0378) 진 원제(晉元帝)
19-5(0379) 북제 신무제(北齊神武)
19-6(0380) 당 태종(唐太宗)
19-7(0381) 당 중종(唐中宗)
19-8(0382) 당 현종(唐玄宗)
19-9(0383) 당 숙종(唐肅宗)
19-10(0384) 당 선종(唐宣宗)
19-11(0385) 후당 태조와 명종(後唐太祖·明宗)
19-12(0386) 왕촉 선주(王蜀先主)
19-13(0387) 맹촉(孟蜀)
19-14(0388) 한 원제의 황후(漢元后)
19-15(0389) 여망(呂望)
19-16(0390) 중니(仲尼)
19-17(0391) 왕맹(王猛)
19-18(0392) 장전(張籛)
19-19(0393) 장안의 장씨(長安張氏)
19-20(0394) 하비간(何比干)
19-21(0395) 오록충종(五鹿充宗)
19-22(0396) 왕부(王溥)
19-23(0397) 진중거(陳仲舉)
19-24(0398) 무사확(武士彠)
19-25(0399) 최행공(崔行功)
19-26(0400) 이규(李揆)
19-27(0401) 정인(鄭絪)
19-28(0402) 이빈(李蠙)
19-29(0403) 우승유(牛僧孺)
19-30(0404) 주경원(朱慶源)
19-31(0405) 손악(孫偓)
19-32(0406) 이전충(李全忠)
19-33(0407) 유면(劉沔)
19-34(0408) 후홍실(侯弘實)
19-35(0409) 고병(高騈)
19-36(0410) 대사원(戴思遠)
구징(咎徵)
19-37(0411) 지양현의 소인(池陽小人)
19-38(0412) 동영공(東瀛公)
19-39(0413) 장광현의 사람(長廣人)
19-40(0414) 낙양의 황금 불상(洛陽金像)
19-41(0415) 양 무제(梁武帝)
19-42(0416) 두꺼비(蝦蟆)
19-43(0417) 왕봉(汪鳳)
19-44(0418) 커다란 까마귀(大烏)
19-45(0419) 도림의 벼와 설로봉(桃林禾·薛老峰)
19-46(0420) 팽언(彭偃)
19-47(0421) 왕돈(王敦)
19-48(0422) 환현(桓玄)
19-49(0423) 최계서(崔季舒)
19-50(0424) 심경지(沈慶之)
19-51(0425) 장역지(張易之)
19-52(0426) 방집과 유흥도(房集·劉興道)
19-53(0427) 양신긍(楊愼矜)
19-54(0428) 최언증(崔彥曾)
19-55(0429) 여군(呂群)
19-56(0430) 백마사(白馬寺)
감응(感應)
19-57(0431) 한 무제(漢武帝)
19-58(0432) 소령 부인(昭靈夫人)
19-59(0433) 임성왕(任城王)
19-60(0434) 유경(劉京)
19-61(0435) 안함(顏含)
19-62(0436) 최서(崔恕)
19-63(0437) 스님에게 공양한 촌사람(村人供僧)
19-64(0438) 나도종(羅道悰)
19-65(0439) 이언좌(李彥佐)
19-66(0440) 땜장이 호씨(胡釘鉸)
19-67(0441) 역양현의 노파(歷陽媼)
19-68(0442) 하간군의 남자(河間男子)
19-69(0443) 신사총(神士冢)
19-70(0444) 분 파는 여자와 최호(賣粉兒·崔護)
19-71(0445) 옥소(玉簫)
참응(讖應)
19-72(0446) 당흥촌과 할미 얼굴(唐興村·阿婆面)
19-73(0447) 필설아와 입파(苾挈兒·入破)
19-74(0448) ‘국’ 자를 바꾸다(改國字)
19-75(0449) 왕탁(王鐸)
19-76(0450) 글자를 이룬 나무(木成文)
19-77(0451) 원재(元載)
19-78(0452) 지공 대사의 예언(志公詞)
19-79(0453) 스님 보만(僧普滿)
19-80(0454) 무성히 자라는 풀(草重生)
19-81(0455) 최서(崔曙)
19-82(0456) 우구곡(牛口谷)
19-83(0457) 매회촌(埋懷村)
권20 정수부(定數部)
정수(定數) 1
20-1(0458) 두로서(豆盧署)
20-2(0459) 이퇴(李頧)
20-3(0460) 세 번 급제한 정씨(鄭氏三榜)
20-4(0461) 육빈우(陸賓虞)
20-5(0462) 왕현(王顯)
20-6(0463) 두붕거(杜鵬舉)
20-7(0464) 장가정(張嘉貞)
20-8(0465) 설옹(薛邕)
20-9(0466) 이규(李揆)
20-10(0467) 최원종(崔元綜)
20-11(0468) 배서(裴諝)
20-12(0469) 장거일(張去逸)
20-13(0470) 오소성(吳少誠)
20-14(0471) 위징(魏徵)
20-15(0472) 적인걸(狄仁傑)
20-16(0473) 국사명(麴思明)
20-17(0474) 맹 원외(孟員外)
20-18(0475) 두사온(杜思溫)
20-19(0476) 이민구(李敏求)
20-20(0477) 이 군(李君)
20-21(0478) 울지경덕(尉遲敬德)
20-22(0479) 왕무애(王無㝵)
20-23(0480) 노회신(盧懷愼)
20-24(0481) 왕수(王叟)
책속으로
16-3(0305) 차를 대접하고 얻은 보답(饗茗獲報)
섬현(剡縣)에 사는 진무(陳婺)의 부인은 젊어서 과부가 되어 두 아들과 함께 살았으며, 차 마시기를 좋아했다. 집에 오래된 무덤이 있었는데, 매번 차를 마실 때면 먼저 그 무덤에 제사 지냈다. 그러자 두 아들이 짜증 내며 말했다.
“무덤이 무얼 안다고 헛되이 수고롭게 제사를 지냅니까?”
그러고는 무덤을 파서 없애 버리려고 했는데, 어머니가 한사코 말리는 바람에 그만두었다. 그날 밤에 어머니의 꿈에 한 사람이 나타나 말했다.
“나는 이 무덤에 머문 지 300여 년이 되었는데, 당신의 두 아들이 항상 무덤을 훼손하려 했지만 당신 덕분에 보호받았고 또한 나에게 좋은 차를 대접했으니, 비록 황천의 썩은 해골이라 한들 어찌 예상(翳桑)의 보은을 잊을 수 있겠습니까?”
다음 날 정원 안에서 돈 10만 냥을 찾았는데, 오랫동안 묻혀 있었던 것 같았다. 어머니가 두 아들에게 그 사실을 말했더니, 두 아들은 부끄러워했으며 이때부터 더욱 지극정성으로 무덤에 기도하고 제사 지냈다.
17-2(0316) 두백(杜伯)
두백(杜伯)은 이름이 항(恒)이며 주(周)나라의 대부였다. 선왕(宣王)의 첩 여구(女鳩)가 그와 사통하고자 했으나 두백(杜伯)이 들어주지 않자 여구가 선왕에게 고해 바쳤다.
“두항이 몰래 신첩과 즐겼습니다.”
선왕은 그 말을 믿고 두백을 초(焦) 땅에 가두고 사공기(司工錡)에게 두백을 죽이게 했다. 두백의 친구 좌유(左儒)가 여러 번 간언했으나 선왕은 들어주지 않았다. 두백은 죽은 후에 사람의 모습을 하고 선왕을 뵙고 말했다.
“신의 죄가 무엇입니까?”
선왕이 축관(祝官 : 제례를 주관하는 관리)을 만나 두백이 한 말을 일러 주었더니 축관이 말했다.
“처음 두백을 죽일 때 누가 왕을 위해 그 일을 도모했습니까?”
선왕이 말했다.
“사공기다.”
축관이 말했다.
“어찌하여 사공기를 죽여서 그에게 사죄하지 않으십니까?”
선왕은 곧 사공기를 죽이고 축관을 시켜 두백에게 사죄하도록 했다. 사공기 또한 사람의 모습을 하고 이르러서 말했다.
“신이 무슨 죄가 있습니까?”
선왕이 황보(皇甫)에게 말했다.
“축관이 나를 위해 일을 도모해 사람을 죽였는데, 내가 죽인 자들이 또 모두 사람의 모습을 하고 나타나서 하소연을 하니 어찌하면 좋겠는가?”
황보가 말했다.
“축관을 죽여서 사죄하면 됩니다.”
선왕은 곧 축관을 죽여서 두백과 사공기에게 아울러 사죄했지만, 이 또한 도움이 되지 못했으며 모두 사람의 모습을 하고 이르렀다. 축관 역시 말했다.
“제가 어찌 그 일을 알았겠습니까? 어찌하여 그 일로 죄를 삼아 신을 죽였습니까?” 미 : 군주와 신하가 차등이 있어도 오히려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되는데, 하물며 동등함에랴!
3년 후에 선왕이 포전(圃田)에서 사냥했는데 시종들이 들에 가득했다. 정오에 보았더니 두백이 흰말이 끄는 흰 수레를 타고서 사공기를 거좌(車左)로 삼고 축관을 거우(車右)로 삼은 채, 붉은 관을 쓰고 길 왼쪽에 서서 붉은활에 붉은 화살을 들고 선왕을 쏘았는데, 선왕은 심장에 맞고 등뼈가 부러져 활집에 엎어져서 죽었다.
18-22(0368) 패국의 선비(沛國士人)
패국(沛國)의 어떤 사인이 세쌍둥이를 낳았는데, 스무 살이 다 되어 가도록 모두 소리만 지를 뿐 말을 하지 못했다. 어느 날 한 사람이 그의 집 문을 지나가다가 물었다.
“이들은 누구입니까?”
집주인이 대답했다.
“제 자식들인데 모두 말을 할 줄 모릅니다.”
길손이 말했다.
“어찌하여 이런 지경에 이르게 되었는지 당신은 속으로 곰곰이 반성해 보시오.”
주인은 그 말을 이상히 여겨 한참 동안 생각한 뒤에 길손에게 말했다.
“옛날 내가 어렸을 때, 평상 위에 제비집이 있었는데 그 속에 새끼 세 마리가 있었습니다. 그 어미가 밖에서 먹이를 가져오면 새끼 세 마리가 모두 입을 벌리고 받아먹었는데, 며칠 동안 계속 그렇게 했습니다. 하루는 시험 삼아 손가락을 제비집 속에 넣었더니 제비 새끼들이 또 입을 벌리고 받아먹으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장난으로] 장미 가시 세 개를 먹였더니 얼마 뒤에 제비 새끼들이 모두 죽었습니다. 옛날에 있었던 그 일을 지금은 정말로 후회하고 있습니다.”
길손이 말했다.
“그랬군요.”
말을 마치고 났더니 그의 세 아들이 갑자기 말문이 트였는데, 이는 대개 자신의 잘못을 알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