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자평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예술경영(art management)’은 예술단체나 기관의 경영이다. 과거에는 예술이 행위 위주였지만 현대는 예술 행위가 관객, 사회와 밀접한 것이 될 수 있도록 경영을 도입하고 있다. 그 결과로 예술경영은 예술의 품질과 예술기관의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고객의 가치를 창조하며 사회에 기여하도록 돕고 있다. 예술경영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다양한 요소를 소개한다.
지은이
임연철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과 초빙교수다.
극장경영, 문화예술 마케팅, 관객개발, 문화산업, 문화예술 홍보 등을 강의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예술경영학 석사를, 성균관대학교에서 공연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앙일보(1974∼1978)에서 기자를 시작해 동아일보(1978∼2007)에서 문화부 기자를 거쳐 문화부장, 편집부국장, 논설위원, 사업국장을 역임했다. 중앙대학교 초빙교수(2007∼2008)를 지냈으며 경희사이버대학교, 명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등에서 공연 전시 마케팅과 홍보를 강의했다. 국립중앙극장 극장장(2009∼2011)으로서 공연 기획 제작, 경영을 총괄했다. 국립극단,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서울예술단, 예술자료원, 서울시향 이사를 지냈다.
예술경영 관련 저술로 『문화예술 홍보론』(2007), 『문화예술 마케팅』(공역, 2007), 『극장 경영』(공역, 2011), 『뮤지엄 매니지먼트』(공역, 2011)가 있다.
박정배
청운대학교 공연기획경영학과 교수다. 국내 4년제 대학 최초로 예술대학에 공연기획경영학과의 ‘틀’을 만든 초대학과장(2004.3∼2009.2)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공연예술학(예술경영·공연기획)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문화 지도자, 마케팅전문가, 연극전문가, 엔터테인먼트경영전문가, 한류문화예술CEO, 예술경영, 관광학(이벤트국제회의) 과정도 각 대학교와 전문기관 등에서 이수했다.
현재 ㈔한국이벤트연구소장,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장, ㈔한국예술경영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면서 정부와 자치단체, 기업 등에서 관련 분야 자문과 평가위원 등으로 봉사하고 있다. 예술경영·이벤트·공연기획 현장에서 참여한 경험(기획, 연출, 위원)을 바탕으로 한 『예술경영입문』(2004), 『예술경영학개론』(2008), 『공연마케팅』(2009), 『페스티벌론』(2012) 등의 저서와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차례
예술경영의 생성과 본질
고전예술과 대중예술
예술경영의 마케팅 전략
예술경영의 마케팅 전술
문화예술 홍보
관객충성도 구축
예술경영의 e비즈니스 활용
예술교육
예술경영 스폰서십
직원·단원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