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책의 특징]
저널리즘의 기본 개념을 탐구한다
저널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사실성, 객관성, 공정성이라고 흔히 말한다. 그러나 개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데 반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사실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적었다. 이 책은 저널리즘의 기본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사실성에 천착, 사실성의 개념이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고찰하는 본격적인 학술이론서다.
저널리즘의 사실성을 문학과 관계성에서 고찰하는 시각이 돋보인다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태동한 문예사조인 리얼리즘과 자연주의가 미친 영향을 다양한 각도에서 추적하고 있다. 사회과학 연구서로서 문학이라는 다른 분야와 교차점을 추적하는 시각이 매우 독특하다.
미래 저널리즘의 방향을 제시한다
작금의 저널리즘은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고 말한다. 초기 단계부터 시험의 대상에 들었던 사실성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정리하고, 현실 비판적 특성을 가진 사실성이 제대로 기능해 나감으로써 현 위기상황을 타개할 수 있도록 저널리즘 전반에 걸친 대안을 제시한다.
[책의 구성]
이 책은 머리말과 5개의 장과 맺음말로 구성되었다. 머리말에서는 왜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을 연구해야 하는가 하는 필요성과 연구방법을 밝히고 있다. 1장 ‘사실성, 그 의미의 바탕’에서는 사실성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존재론과 인식론이 사실성을 어떻게 철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2장 ‘사실성, 그 핵심으로의 접근 루트’에서는 사실성의 실체에 다가가기 위한 두 가지 접근 방법, 즉 문예사조인 리얼리즘과 자연주의가 저널리즘의 사실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저널리즘의 사실성이 현실 비판적 특징을 갖게 되는 배경과 요인에 대한 고찰을 제시하고 있다. 3장 ‘사실성, 그 힘겨운 태동과 한계’는 저널리즘의 초기 단계와 19세기 중반까지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실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페니 프레스(Penny Press)’ 등장 이전과 이후로 나눠 살펴보고 있다. 4장 ‘사실성, 그 새로운 시선과 방법론’에서는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태동해 19세기 후반 신생 대륙인 미국으로 유입된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문예사조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5장 ‘사실성, 그 치열한 도전과 활착’은 저널리즘의 사실성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리얼리즘과 자연주의가 어떻게 반영되고 수용되었는지를 설명한다. 맺음말에서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지금의 저널리즘 위기상황 극복을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200자평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은 무엇인가? 기본 토대를 이루는 개념이다. 사실성의 뿌리는? 문학의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 왜 지금 사실성을 논하는가?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출현함으로써 저널리즘이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방송 현장에서 활동해온 저자는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이 갖는 의미와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있다.
지은이
이충환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과 저널리즘을 공부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OBS 보도국장, 보도본부장, 경영기획실장을 역임했으며, 2011년부터 1년간 OBS 대담 프로그램 [OBS 초대석]의 진행을 담당했다. 저서로는 『디지털시대의 텔레비전 보도문장론』이 있으며, 2012년 ‘한양언론인상’을 수상했다.
차례
머리말 너무나 당연한, 그래서 아무도 모르는 개념
01 사실성, 그 의미의 바탕
사실과 진실
사실의 존재론적 의미
사실의 인식론적 의미
02 사실성, 그 핵심으로의 접근 루트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그리고 저널리즘의 사실성
저널리즘의 사실성과 현실 비판
객관성 연구에서의 사실성 이해
03 사실성, 그 힘겨운 태동과 한계: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문예사조의 유입 이전
페니 프레스 이전 시대
페니 프레스 시대
남북전쟁 시대
사실성의 한계
04 사실성, 그 새로운 시선과 방법론: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문예사조의 유입
리얼리즘의 사실성
리얼리즘 소설의 객관적 현실 재현
자연주의의 사실성
자연주의 소설의 비판적 현실 재현
05 사실성, 그 치열한 도전과 활착
뉴 저널리즘 시대의 개막
폭로 보도와 문학적 저널리즘
저널리즘 교육의 제도화와 새로운 저널리스트들
맺음말 사실성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두 개의 모델
위기의 저널리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