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나라에서 TV와 라디오, 인터넷을 통해 세계의 방송을 접하는 시대다. 전파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전송되는 국제 방송은 라디오에서 시작했다. 전시와 냉전 시기에는 일방적 선전이 목적이었지만 국가 간 교류가 확대되고, 지역경제가 통합되고,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을 형성함에 따라 문화 교류와 경제 협력, 공공외교 측면에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주요 국가에서 활발하게 운영되는 국제방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또한 국제방송의 다양한 모습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지와 열매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유형을 살펴본 까닭이다. 국제방송에 대한 간명한 지식과 통찰을 담으려고 했다.
200자평
커뮤니케이션이해총서. 주요 국가에서 활발하게 운영되는 국제방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또한 국제방송의 다양한 모습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지와 열매를 비교할 필요가 있다. 국제방송에 대한 간명한 지식과 통찰을 담은 책이다.
지은이
이진로
영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학위를, 경희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퍼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방문학자, 한국방송학회 기획이사, 지역방송연구회 회장,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회장, 한국소통학회 회장, 미디어공공성포럼 운영위원장을 거쳤다. 시기별 주요 연구 분야는 1980년대 신문 산업, 1990년대 인터넷(컴퓨터통신) 산업, 2000년대 지역방송, 국제방송, 2010년대 소통 등이다. 콘텐츠라는 작은 창을 통해 방송의 사회적 영향과 사회의 방송 시스템을 분석하고 통찰하는 작업이 연구의 중용지도(中庸之道)라고 생각한다. 미디어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제환경 등이 어떤 역동적 관계와 변화를 만들어 내는지 항상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정보사회의 이데올로기>(1999), <정보사회 입문: 국가, 기업, 시민과 민주주의>(2008), <방송학개론>(공저, 2013 개정판)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 지역신문 경영 구조 분석 및 개선 모델 연구”(2004), “사이버 커뮤니티(가상 공동체)의 민주주의적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연구”(2002), “선거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2012), “미디어 지형의 변화와 민주적 소통”(2007)이 있다. leejr@ysu.ac.kr
차례
01 국제화 시대와 국제방송
02 국제방송의 역사
03 국가주도형 국제방송
04 공영방송형 국제방송
05 민영방송형 국제방송
06 한국 국제방송의 현황
07 아리랑국제방송
08 KBS월드
09 국제방송의 주요 현안
10 세계 각국 국제방송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