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 서간문학의 결정판
≪편지≫는 그 분량에서 루소, 볼테르, 괴테의 서간집보다 많으며 생트뵈브와 위고의 서간집을 훨씬 능가한다. 조르주 상드는 평생 4만여 통의 편지를 썼고 2000여 명에게 쓴 1만 8000통이 남아 있다. 이재희 교수는 30년 넘게 조르주 상드를 연구했고, 20년 동안 ≪편지≫를 연구하고 우리말로 옮겼다. 그가 가려 뽑은 508통의 ≪편지≫를 6권의 책에 담았다. 이재희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편지를 이보다 잘 쓸 수 있는 작가는 없다. 많은 작가들이 편지를 남겼고 책으로 묶여 나왔지만 양에서, 다양성에서, 진실성에서 조르주 상드의 편지는 압도적이다.”
살아 있는 19세기 인명 백과사전
그녀의 편지에는 리스트, 하이네, 발자크, 보들레르, 쇼팽, 뮈세, 플로베르, 고티에, 들라크루아, 투르게네프, 마르크스 등 19세기 유럽의 지성들이 대거 등장한다. 그들은 상드의 가족이고 친구다. 문학가, 음악가, 화가, 연극배우, 철학가, 정치가, 사상가, 종교가, 법률학자, 혁명가, 역사학자, 식물학자, 노동자… 그들과 사소한 가족 이야기에서부터 문학, 예술, 사상, 사회적 이슈, 정치적 사건, 사랑, 슬픔에 이르기까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이야기를 나눈다.
이것이 조르주 상드의 매력이다
“산다는 것은 멋지고 아름다운 일입니다. 괴로움, 남편, 권태, 부채, 가족 그리고 가슴이 미어지는 고뇌와 끈질긴 중상모략에도 불구하고 산다는 것은 도취하는 것입니다. 사랑한다는 것은 가슴 설레는 일이며, 행복입니다. 천국입니다. 아! 나는 맹세코 예술가의 생애를 살고 싶습니다. 나의 좌우명은 자유입니다.”
– 1830년, 어느 여자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1권 43번, 다른 남자를 사랑하는 것에 대해, 남편에게 고백하는 편지
전 세계의 조르주 상드 독자들에게 일명 ‘고백 편지’로 불리는 편지다. 오렐리앙 드 세즈와 사랑에 빠진 사실을 남편이 알게 되자, 상드는 자신의 심경을 기나긴 편지로 남편에게 고백한다. 이때 상드의 나이 21세다. 21세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의 성숙함과 솔직함, 현명함과 열정이 흘러넘친다. 당대의 지성이라는 남자들이 상드에게 빠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짐작할 수 있다. ≪편지≫ 1권 43번의 일독을 권한다.
키도 작고 예쁘지 않은 그녀가 당대 지성을 사로잡으며 ‘사랑의 여신’이란 칭호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고 그들을 사랑하고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거침없이 표현하다 보니 그녀는 어느새 ‘스캔들의 여왕’이 되었다. ‘사랑의 여신’이란 칭호도 얻었다. 뮈세, 쇼팽과의 세기적 사랑은 익히 알려져 있다. 키도 작고 예쁘지도 않은 그녀가 당대 지성들을 단숨에 사로잡아 버린 이유가 뭐였을까? 그녀는 살롱에 출입하며 사교만 하는 여자가 아니었다. 정치혁명가였으며 사랑과 결혼, 교육에서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사회개혁가였다. 예술지상주의자로서 ‘정열의 화신’이었으며 코즈모폴리턴, 여행가, 식물학자, 열렬한 음악 애호가이자 화가이기도 했다. 이런 조르주 상드의 진면목을 ≪편지≫에서 만날 수 있다.
200자평
문학의 유형 중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한 장르에 속하는 것은 시, 소설, 희곡 그리고 평론이다. 그러나 작가의 생애나 작품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또 다른 분야로 자서전이나 일기와 서간집이 있는데, 특히 상드의 생애와 작품 연구에서는 최근에 완간된 서간집이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편지≫는 왕복 서한이 아니고 상드가 다른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만을 수록하고 있는데, 우선 그 분량이 방대하여 상드는 세계문학사에서 편지를 가장 많이 쓴 서한 문학가로 꼽힌다.
지은이
조르주 상드는 프랑스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 여성 작가다. 아버지는 폴란드 왕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귀족 가문 출신이고, 어머니는 파리 세느 강변의 새장수의 딸로 가난한 서민 출신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윈 상드는 프랑스 중부의 시골 마을 노앙에 있는 할머니의 정원에서 루소를 좋아하는 고독한 소녀 시절을 보냈다. 18세 때 뒤드방 남작과 결혼했으나 순탄치 못한 생활 끝에 이혼하고, 두 아이와 함께 파리에서 문필 생활을 시작하여 ≪피가로≫지에 짧은 글들을 기고하며 남장 차림의 여인으로 자유분방한 생활을 했다. 이때 여러 문인, 예술가들과 친교를 맺었다.
남녀평등과 여성에 대한 사회 인습에 항의하여 여성의 자유로운 정열의 권리를 주장한 처녀작으로 ≪앵디아나≫(1832)를 발표하여 대성공을 거두었고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 ≪발랑틴≫(1832), 90여 편의 소설 중에서 대표작인 자서전적 애정소설 ≪렐리아≫(1833)와 ≪자크≫(1834), ≪앙드레≫(1835), ≪한 여행자의 편지≫(1834∼36), ≪시몽≫(1836), ≪모프라≫(1837), ≪위스코크≫(1838)등 연이어 나온 소설들도 호평을 받았다. 장 레이노, 미셸 드 부르주, 라므네, 피에르 르루 등과 교제하여 그 영향으로 인도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소설을 썼는데, 이 계열의 작품으로 ≪프랑스 여행의 동료≫(1841), ≪오라스≫(1841∼1842), ≪앙지보의 방앗간 주인≫(1845), ≪앙투완 씨의 죄≫(1845), 대표작이며 대하소설인 ≪콩쉬엘로≫(1842∼1843), ≪뤼돌스타드 백작 부인≫(1843∼1844), ≪스피리디옹≫(1838∼1839), ≪칠현금≫(1839), ≪테베리노≫(1845) 등이 있다. 1844년 ≪잔느≫를 필두로 해서 일련의 전원 소설들을 발표했는데, 이 계열의 작품으로는 소박하고 아름다운 전원소설 ≪마의 늪≫(1846), ≪소녀 파데트≫(1848∼1849), ≪사생아 프랑수아≫(1849), ≪피리부는 사람들≫(1853) 등이 있다. 노년에는 방대한 자서전인 ≪내 생애의 이야기≫(1847∼1855), 손녀들을 위한 동화 ≪할머니 이야기≫를 쓰면서 초기의 연애 모험소설로 돌아가 ≪부아도레의 미남자들≫(1857∼1858)과 ≪발메르 후작≫(1860), ≪검은 도시≫(1861), ≪타마리스≫(1862), ≪캥티니양≫(1863), ≪마지막 사랑≫(1866), ≪나농≫(1872) 등을 발표했다. 희곡과 시, 평론, 수필, 일기, 비망록, 기행문, 서문, 기사 등 180여 편에 달하는 많은 글을 남겼다. 특히, 그녀가 남긴 편지들은 파리의 클라식 가르니에 출판사에서 조르주 뤼뱅이 26권으로 편집 완성한 방대하고 기념비적인 서간집으로 세계 문학사에서 서간 문학의 최고봉으로 꼽히고 있다. 교환 서간집으로는 ≪상드와 플로베르≫(1904), ≪상드와 뮈세≫(1904), ≪상드와 아그리콜 페르디기에≫, ≪상드와 피에르 르루≫, ≪상드와 생트 봐브≫, ≪상드와 마리 도르발≫, ≪상드와 폴린 비아르도≫등이 간행되었다.
옮긴이
이재희는 한국외대 불어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에서 조르주 상드 연구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프랑스와 유럽의 상드 문학 현장을 여러 차례 답사했고, 노앙에서 개최된 상드와 쇼팽 애호가 모임이나 상드 국제회의에 여러 번 참가했으며, 뉴욕 상드협회 ≪상드 연구≫지 국제 편집인이었고, 프랑스 에시롤, 노앙 상드협회 회원이었다. 현재 파리의 상드협회 회원이며 외대 불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자서전 연구서 ≪조르주 상드, 문학 상상력과 정원≫, 주제 연구서 ≪상드 연구 1, 2, 3≫이 있고, 상드 번역서로는 ≪상드 서간집 1, 2≫, 자전적 애정소설 ≪렐리아≫, 전원소설 ≪마의 늪≫, ≪소녀 파데트≫, ≪사생아 프랑수아≫, 동화 ≪픽토르뒤 성≫, ≪용기의 날개≫, ≪말하는 떡갈나무 /신성한 꽃≫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쇼팽과 상드≫, ≪상드 전기≫, ≪상드 문학 앨범≫ 등이 있다.
차례
137 에티엔 조프루아 생틸레르에게: 1838년 5월 말(*)
138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38년 9월 7일(?)(*)
139 피에르 르루에게: 1838년 9월 26일(*)
140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39년 2월 15일(*)
141 프랑수아 롤리나에게: 1839년 3월 8일
142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39년 3월 8일(?)
143 쥘 부쿠아랑에게: 1839년 3월 11일
144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39년 4월 초
145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39년 4월 26일(*)
146 프랑수아 뷜로즈에게: 1839년 6월 5일
147 라므네에게: 1839년 6월 12일(*)
148 오노레 드 발자크에게: 1839년 7월 2일(*)
149 카롤린 카자마주에게: 1839년 9월 10일경
150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39년 9월 28일
151 마리 도르발에게: 1840년 3월 31일(*)
152 폴 고베르에게: 1840년 4월 1일
153 모이나 드 로슈뮈르에게: 1840년 4월 4일
154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0년 9월 23일(?)
155 라므네에게: 1841년 5월 10일
156 라므네에게: 1841년 6월 11일 혹은 12일
157 마리 드 로지에르에게: 1841년 6월 11일경(*)
158 폴 고베르에게: 1841년 8월 1일
159 피에르 르루와 루이 비아르도에게: 1841년 9월 30일
160 하이네에게: 1841년 11월 1일 혹은 2일
161 루이즈 콜레에게: 1841년 11월 19일(*)
162 알퐁스 드 라마르틴에게: 1841년 12월 중순(*)
163 샤를 뒤베르네에게: 1841년 12월 27일
164 생트뵈브에게: 1842년 1월 15일(?)
165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2년 4월 13일(?)
166 프랑수아 뒤르몽에게: 1842년 4월 17일
167 샤를 퐁시에게: 1842년 4월 27일(*)
168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42년 5월 8일
169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2년 5월 8일
170 마리 드 로지에르에게: 1842년 5월 9일
171 샤를 퐁시에게: 1842년 5월 14일
172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2년 7월 중순
173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42년 7월 26일
174 샤를 퐁시에게: 1842년 8월 24일
175 엘미나 드 셰지에게: 1842년 12월
176 앙리에트 드 라 비고티에르에게: 1842년 12월 말
177 엘미나 드 셰지에게: 1843년 초
178 샤를 퐁시에게: 1843년 2월 26일
179 라므네에게: 1843년 3월 12일(?)
180 외젠 쉬에게: 1843년 4월 20일경(*)
181 고드프루아 카베냐크에게: 1843년 5월 18일(*)
182 솔랑주 뒤드방 상드에게: 1843년 6월 6일(?)
183 솔랑주 뒤드방 상드에게: 1843년 6월 13일
184 피에르 보카주에게: 1843년 7월 20일경(*)
185 알베르 그르지말라에게: 1843년 10월 26일
186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3년 11월 4일
187 모리스 뒤드방 상드에게: 1843년 11월 16일
188 알베르 그르지말라에게: 1843년 11월 18일
189 샤를 퐁시에게: 1843년 11월 23일
190 알퐁스 플뢰리에게: 1843년 12월 25일경(*)
191 외젠 쉬에게: 1843년 12월
192 피에르 르루에게: 1844년 1월 10일(?)
193 오귀스트 리샤르 드 라오티에르에게: 1844년 1월 18일
194 샤를 퐁시에게: 1844년 1월 26일(*)
195 샤를 퐁시에게: 1844년 3월 19일
196 모리스 뒤드방 상드에게: 1844년 9월 7일
197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4년 9월 12일
198 프레데리크 쇼팽에게: 1844년 11월 30일
199 앙팀 코르봉과 <아트리에> 편집자들에게: 1845년 1월 9일
200 생트뵈브에게: 1845년 1월 13일
201 쥘 미슐레에게: 1845년 4월 30일(*)
202 마리 드 로지에르에게: 1845년 6월 초
203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5년 9월 28일
204 생트뵈브에게: 1845년 10월 11일
205 르네 발레 드 빌뇌브에게: 1845년 11월 4일
206 샤를로트 마를리아니에게: 1845년 11월 7일
207 샤를 퐁시에게: 1845년 11월 25일
208 외젠 들라크루아에게: 1846년 1월 21일과 22일
209 폴린 비아르도에게: 1846년 6월 3일경
210 마리 드 로지에르에게: 1846년 7월 24일
211 에마뉘엘 아라고에게: 1846년 12월 9일(*)
조르주 상드 부분 연보(1838∼1845)
책속으로
친애하는 친구여, 당신은 어떻게 지내세요? 둥근 천장 그림은 끝나가나요? 그래도 어쨌든 쉬엄쉬엄 하시는 거죠? 그건 우리처럼 가난하고 근면한 예술가들 모두의 꿈이죠. 우리는 너무나 짧아서 제대로 즐기지도 못하는 휴식을 취하며 일하는 재주가 있잖아요. 소에게 물을 먹이고, 소와 저수지의 물 외에 다른 생각은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농부가 부러울 때가 가끔 있어요. 하지만 농부에게 물어보면 그 농부가 비와 쟁기와 농토와 이제 막 씨를 뿌린 작황에 대해 생각한다는 것을 깨달아요. 애석한 일이에요. 이 세상에 진정한 휴식은 없는 거예요.
나의 소중한 오랜 친구여, 곧 다시 만나요. 우리가 오래전부터 그리고 앞으로 영원히 서로를 사랑한다는 얘기를 나누면서 난롯가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져보기로 해요. 내 세 아이(쇼팽을 포함해서)도 그렇게 하겠다고 하네요. 하지만 이 늙은 여자와는 따로 자리를 만들어야 해요.
-외젠 들라클루아에게 보낸 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