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 논문이나 저작들은 주로 프레이리의 생애사(生涯史)를 전기적으로 다루거나, 초·중기 저서에 국한해 프레이리 교육론을 일반화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주제를 통해 프레이리 교육론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1부에서는 프레이리의 시기별 의식 전환과 그에 따른 사상의 변화 추이를 고찰한다. 프레이리의 교육활동 이력 중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나 경험만을 중점적으로 다뤄 가급적 전기적인 접근을 지양한다. 1997년부터 프레이리 사후 출간된 후기 저작까지 모두 아울러 그의 교육사상이 변화하는 추이를 고찰한다.
즉, 초기(1946~1964) 군부 쿠데타 이전의 문해교육 참여 및 실천 시기, 전환기(1964~1979) 칠레, 제네바, 아프리카 등지를 돌며 해외 망명기 동안 행한 문해교육과 탈문해교육, 후기(1979~1997) 브라질 귀환 후 상파울루시 교육감으로 취임해 학교교육 재건 사업을 벌인 시기로 나눠 살펴본다. 초기 교육사상은 교육과 사회변혁 사이의 관계를 매우 관념적인 수준에서 논한다면, 전환기 교육사상은 급진성이 매우 농후해진다. 교육의 지평을 의식화에만 두지 않는다. 마지막 후기 교육사상에서 프레이리는 민주화된 사회에서 행해야 할 학교교육에 관심을 둔다.
2부에서는 프레이리를 필두로 한 비판적 교육학파의 사회변혁 관점을 분석한다. 프레이리를 비롯한 비판적 교육학파의 기본 테제인 ‘교육의 사회변혁 기능’을 단순히 당위적인 차원에서 정초(定礎)하는 것이 아니라, 이 기능을 성립시키는 ‘교육의 정치성(political nature of education)’ 개념을 프레이리의 교육이론과 공방 중인 여타 사회과학이론과 관련지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프레이리 교육-정치담론’이 가지는 특징과 한계를 모두 살핀다. 비판적 교육학파의 기본 관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동시에, 이론의 내외부에서 제기되는 쟁점 사항까지 고찰한다.
3부에서는 비판적 교육학이 직면한 쟁점 사항을 고찰한다. 프레이리 교육학의 함의와 현대적 의미를 그의 지난한 삶이나 강한 슬로건에 도취된 감정적 온정주의가 아닌, 프레이리 교육이론과 개념 자체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적실한 이해에 기초해 도출한다. 이는 프롤로그에서 제기한 ‘프레이리교육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한 답을 담고 있는 에필로그에 해당한다.
200자평
프레이리 교육학, 어떻게 읽어야 하나? 남미의 대표적 교육자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사상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피고, 전 교육사상을 관통하는 ‘교육의 정치성’ 개념을 사회변혁론이란 논제로 확장해 고찰한다. 프레이리를 필두로 한 비판적 교육학파의 기본 관점과 쟁점 사항, 앞으로의 과제 등도 폭넓게 다룬다.
프레이리 교육론을 논한 많은 연구가 프레이리의 생애사 전반을 전기적으로 다룬 경우가 많은데 비해, 이 책은 이런 전기적인 접근을 가급적 지양하고 프레이리 교육론과 개념 연구에 논의를 집중한다. 또한 프레이리 교육론과 공방 속에 있는 여타 비판 이론들도 비교적 심도 있게 다뤄 프레이리의 관점이 갖는 특징과 한계 모두 보여준다.
지은이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을 전공하여 “파울로 프레이리의 ‘교육의 정치성’ 개념 연구”란 논제로 2009년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마르크스 역사과학을 공부하기 위해 경상대학교 정치경제학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프레이리 저서가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대학생들의 필독서로 읽히던 약동의 시기를 훌쩍 지나 그의 저서를 접했다. 프레이리 교육론이 한때를 풍미한 한시적인 교육담론으로 치부되는 현실, 특정 개념만 분리되어 교육방법론적으로 수용되는 세태 속에서 그 생명의 불씨를 되살려내고자 프레이리 교육론을 연구했다. 프레이리 교육사상이 갖는 함의와 현대적 의미는 그의 지난한 삶이나 짤막하고 강하게 파고드는 슬로건에 도취된 감정적 온정주의가 아닌, 교육이론과 개념 자체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적실한 이해에 기초해야 함을 이 책을 통해 분명하게 보여준다. 역서 『마르크스의 마지막 투쟁』(2018), 『거리 민주주의』(2017), 『계급 이해하기』(2017) 등을 출간했다.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재 정치경제학연구소 프닉스에서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다.
차례
추천사 1
추천사 2
책을 내며
프롤로그 : 프레이리 교육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1부 프레이리 교육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
01 프락시스 교육론의 형성 원리와 사상적 시기 구분
프락시스 교육론의 형성 원리
프레이리 교육론의 사상적 시기 구분
02 초기 교육사상(1946~1964) : 군부 쿠데타 이전 문해교육
브라질의 현실과 교육
문해교육 방법의 고안
문해교육 방법의 적용과 성공
초기 교육사상의 특징
03 전환기 교육사상(1964~1979) : 망명기 문해교육과 탈문해교육
칠레로의 망명 : 사회변혁을 위한 문화활동으로서의 교육
제네바와 아프리카에서의 활동 : 문화혁명으로서의 민중학교 건립
전환기 교육사상의 특징
04 후기 교육사상(1979~1997) : 브라질 귀환 후 학교교육 재건
상파울루시 교육감으로 취임 : 브라질 공교육 개혁
퇴임 후 저술활동 : 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과 보편 윤리의 모색
후기 교육사상의 특징
2부 프레이리의 교육-정치담론
05 교육학에서의 정치담론 지형
06 프레이리의 ‘교육의 정치성’ 개념
교육의 범주화 문제 : 학교교육과 교육작용
정치성의 중의적(衆意的) 해석 문제 : 재생산성과 저항성
교육의 정치성 : 교육작용의 비중립성과 저항
07 프레이리의 사회변혁 방법론
변혁의 대상 : 시민사회와 정치사회의 구분
변혁의 방법 : 정치의 교육화를 통한 문화정치
변혁의 주체 : 지식인으로서의 교육자와 민중
08 프레이리 교육-정치담론의 비판적 고찰
교사 중심적인 개념화가 지닌 난제
이데올로기, 지식, 문화 사이의 불명료한 구분
저항 및 변혁 대상의 모호한 개념화
3부 프레이리 교육학의 현대적 수용
09 사회변혁론으로서 비판적 교육학 정립과 과제
10 교육현장 민주화를 위한 교육개혁론에의 기여
프레이리 연보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