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북스닷컴
Show Navigation Hide Navigation
  • 컴북스
  • 지만지
  • 학이시습
  • 지공
  • 기획시리즈
홈 / 지만지 / 지구촌고전 / 회풍조
회풍조_앞표지L_21684

회풍조

원서명 懷風藻
지은이 오토모 황자 (大友皇子)
옮긴이 고용환
책소개

《회풍조(懷風藻)》는 8세기 중엽에 편찬된 일본 최초의 한시집(漢詩集)이다. 성립 연도는 서문에 일본의 나라(奈良) 시대 덴표쇼호(天平勝寶) 3년(751)이라고 되어 있다. 오미조(近江朝)에 정치가 안정되자 시문의 발달이 촉진되어 많은 작품이 탄생했다고 서문은 말한다.
편자에 대해서는 오토모(大友) 황자의 증손에 해당하는 오미노 미후네(淡海三船)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 밖에 이소노카미 야카쓰구(石上宅嗣), 후지와라노 요시오(藤原刷雄)가 편자라는 설도 있지만 확증은 없다.
작자로는 오토모 황자, 가와시마(河島) 황자, 오쓰(大津) 황자, 가도노(葛野) 왕, 몬무(文武) 천황,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 오토모노 다비토(大伴旅人), 나가야(長屋) 왕, 후지와라노 후사사키(藤原房前), 후지와라노 우마카이(藤原宇合), 후지와라노 마로(藤原麻呂) 등이다. 작자층은 천황 및 오토모, 가와시마, 오쓰 등의 황자, 왕과 신하, 승려 등이다. 이 중 18명은 《만엽집(萬葉集)》에 작품이 수록된 와카(和歌) 작가이기도 하다.
《회풍조》는 중국 문화의 유치한 모방이라고 하여 《만엽집》과 비교해서 경시하기도 했지만, 외래문화를 전적으로 수용한 명시선(名詩選)이라고 할 수 있다. 외래문화의 수용은 단순한 유행이나 시대상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회풍조》에 실린 시 작품들은 외래문화 속의 고유한 일본 문화를 자각하기 시작했던 과도기의 작품들이라는 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회풍조》에 보이는 한문학적 풍토는 만엽 시대 와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만엽집》은 《회풍조》에 대한 고찰 없이는 이해하기 어렵고, 나아가 일본 노래의 세계는 중국 시의 이해 없이는 제대로 알 수 없다고까지 말할 수 있어 《회풍조》의 의의는 크다.
《회풍조》에서는 와카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준 궁중 문화, 신라 사절단과의 교류, 문인들의 서정 세계 등을 엿볼 수 있다. 외래문화 속에서 일본 고유의 문화를 자각한 시기의 작품이다. 그러므로 본서를 통해 동아시아 3국의 문화 교류의 일단 및 폭넓은 문운의 세계를 그려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시대의 생생한 숨결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200자평

일본 나라(奈良) 시대 751년에 편찬된 일본 최고(最古)의 한시집이다. 오미조(近江朝)에서 나라조(奈良朝)까지 활동하던 64명의 시 114수가 실려 있으며, 당대의 한학자 오미노 미후네(淡海三船)가 편찬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책에 실린 작품들은 64명의 작자별로 배치되어 있고, 편자가 주요 인물에 대해서는 작품에 앞서 인물평을 달았다.


 
지은이

작자로는 오토모 황자, 가와시마(河島) 황자, 오쓰(大津) 황자, 가도노(葛野) 왕, 몬무(文武) 천황, 후지와라노 후히토(藤原不比等), 오토모노 다비토(大伴旅人), 나가야(長屋) 왕, 후지와라노 후사사키(藤原房前), 후지와라노 우마카이(藤原宇合), 후지와라노 마로(藤原麻呂) 등이다. 작자층은 천황 및 오토모, 가와시마, 오쓰 등의 황자, 왕과 신하, 승려 등이다. 이 중 18명은 《만엽집(萬葉集)》에 작품이 수록된 와카(和歌) 작가이기도 하다.


 
옮긴이

고용환(高龍煥)은 부산 출생으로 일본 가쿠슈인대학(學習院大學) 일어일문학과 석·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경남정보대학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가성(歌聖)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의 문학세계》(보고사, 2004년 12월) 외 다수가 있으며, 논문은 〈만엽(萬葉) 문예에 있어서의 고대 조선 문화의 배경 고찰〉 외 30여 편이 있다.


 
차례

서문
1. 오미조의 오토모 황자 2수 淡海朝大友皇子二首
2. 정대삼 가와시마 황자 1수 淨大參河島皇子一首
3. 오쓰 황자 4수 大津皇子四首
4. 승정 당나라 유학생 지조 법사 2수 僧正吳學生智藏師二首
5. 정4위상 식부경 가도노 왕 2수 正四位上式部卿葛野王二首
6. 대납언 직대이 나카토미노 아소미 오시마 2수 大納言直大二中臣朝臣大島二首
7. 대납언 정3위 기노 아소미 마로 1수 大納言正三位紀朝臣麻呂一首
8. 몬무 천황 3수 文武天皇三首
9. 중납언 종3위 오미와노 아소미 다케치마로 1수 中納言從三位大神朝臣高市麻呂一首
10. 대재대이 종4위상 고세노 아소미 다야스 2수 大宰大貳從四位上巨勢朝臣多益須二首
11. 치부경 정4위하 이누카미 왕 1수 治部卿正四位下犬上王一首
12. 정5위하 기노 아소미 고마로 2수 正五位下紀朝臣古麻呂二首
13. 대학박사 종5위하 미노노 무라지 기요마로 1수 大學博士從五位下美努連淨麿一首
14. 판사 종7위하 기노 아소미 스에시게 1수 判事從七位下紀朝臣末茂一首
15. 당학사 벤쇼 법사 2수 唐學士辨正法師二首
16. 대학두 정5위하 쓰키노 이미키 오키나 1수 大學頭正五位下調忌寸老人一首
17. 태정대신 증정1위 후지와라노 아소미 후히토 5수 太政大臣贈正一位藤原朝臣史五首
18. 좌대사 정6위상 게이조진 1수 左大史正六位上荊助仁一首
19. 대학박사 종5위하 도리노 야스쓰구 1수 大學博士從五位下刀利康嗣一首
20. 황태자학사 종5위하 이요베노 우마카이 1수 皇太子學士從五位下伊與部馬養一首
21. 하리마장관 종4위하 오이시 왕 1수 播磨守從四位下太石王一首
22. 대학박사 종6위상 다나베노 후히토 모모에 1수 大學博士從六位上田邊史百枝一首
23. 병부경 종4위하 오미와노 아소미 야스마로 1수 兵部卿從四位下大神朝臣安麻呂一首
24. 좌대변 종3위 이시카와노 아소미 이와타리 1수 左大辨從三位石川朝臣石足一首
25. 형부경 종4위하 야마쿠마 왕 1수 刑部卿從四位下山前王一首
26. 오미장관 정5위상 우네메노 아소미 히라후 1수 近江守正五位上采女朝臣比良夫一首
27. 병부경 정4위하 아베노 아소미 오비토나 1수 兵部卿正四位下安倍朝臣首名一首
28. 대납언 종2위 오토모노 스쿠네 다비토 1수 大納言從二位大伴宿彌旅人一首
29. 좌중변 종4위하 나카토미노 아소미 히토타리 2수 左中辨從四位下中臣朝臣人足二首
30. 오토모 왕 2수 大伴王二首
31. 히고장관 정5위하 미치노 기미 오비토나 1수 肥後守正五位下道公首名一首
32. 치부경 종4위상 사카이베 왕 2수 治部卿從四位上境部王二首
33. 대학두 종5위하 야마다노 후히토미카타 3수 大學頭從五位下山田史三方三首
34. 종5위하 오키나가노 마히토 오미타리 1수 從五位下息長眞人臣足一首
35. 이즈모개 종5위하 기치노 지슈 1수 出雲介從五位下吉智首一首
36. 주세두 종5위하 기부미노 무라지 소나에 1수 主税頭從五位下黃文連備一首
37. 형부소보 종5위하 오치노 아타이 히로에 1절 刑部少輔從五位下越智直廣江一絶
38. 히타치개 종5위하 가스가노 구라노 오유 1수 常陸介從五位下春日藏老一首
39. 대학조 종5위하 세나노 기미 유키후미 2수 大學助從五位下背奈王行文二首
40. 황태자학사 정6위상 쓰키노 이미키 고마로 1수 皇太子學士正六位上調忌寸古麻呂一首
41. 이요연 정6위상 도리노 노부요시 2수 伊豫掾正六位上刀利宣令二首
42. 대학조교 종5위하 시모쓰케노 아소미 무시마로 1수 大學助敎從五位下下毛野朝臣蟲麻呂一首
43. 비젠장관 종5위하 다나카노 아소미 기요타리 1수 備前守從五位下田中朝臣淨足一首
44. 좌대신 정2위 나가야 왕 3수 左大臣正二位長屋王三首
45. 중납언 종3위 아베노 아소미 히로니와 2수 中納言從三位安倍朝臣廣庭二首
46. 대재대이 정4위하 기노 아소미 오비토 3수 大宰大貳正四位下紀朝臣男人三首
47. 다지마장관 정6위상 구다라노 기미 야마토마로 3수 但馬守正六位上百濟公和麻呂三首
48. 대학박사 정5위하 모리베노 무라지 오스미 1수 大學博士正五位下守部連大隅一首
49. 도서두 정5위하 요시다노 무라지 요로시 2수 圖書頭正五位下吉田連宜二首
50. 대학두 외종5위하 야쓰메노 스쿠네 무시마로 2수 大學頭外從五位下箭集宿禰蟲麻呂二首
51. 음양두 겸 황후궁량 정5위하 오쓰노 무라지 오비토 2수 陰陽頭兼皇后宮亮正五位下大津連首二首
52. 좌대신 증정1위 후지와라노 아소미 후사사키 3수 左大臣贈正一位藤原朝臣總前三首
53. 식부경 정3위 후지와라노 아소미 우마카이 6수 式部卿正三位藤原朝臣宇合六首
54. 병부경 겸 좌우경대부 종3위 후지와라노 아소미 마로 5수 兵部卿兼左右京大夫從三位藤原朝臣萬里五首
55. 중납언 종3위 다지히노 마히토 히로나리 3수 中納言從三位丹墀眞人廣成三首
56. 주전장관 종5위하 다카무코노 아소미 모로타리 1수 鑄錢長官從五位下高向朝臣諸足一首
57. 율사 당나라 유학생 도지 법사 2수 律師大唐學生道慈師二首
58. 이와미장관 외종5위하 아사다노 무라지 야스 1수 石見守外從五位下麻田連陽春一首
59. 대학두 외종5위하 시오야노 무라지 고마로 1수 大學頭外從五位下鹽屋連古麻呂一首
60. 가즈사장관 종5위하 이키노 무라지 고마로 1수 上總守從五位下伊支連古麻呂一首
61. 은자 다미노 이미키 구로히토 2수 隱士民忌寸黑人二首
62. 사문 도유 법사 5수 沙門道融師五首
63. 중납언 겸 중무경 종3위 이소노카미노 아소미 오쓰마로 4수 中納言兼中務卿從三位石上朝臣乙麻呂四首
64. 중무소보 정5위하 후지이노 무라지 히로나리 2수 中務少輔正五位下葛井連廣成二首

해설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1
임금님 행차에 따르며 말씀에 응하다
18. 병중에 이미 백발이 되어 이제 황천길인가 생각하는데 뜻하지 않게 은혜로운 말씀을 좇아 가마를 따라가 궁정의 봄을 감상한다.소나무 암석에는 폭포수 떨어지고대나무 못에는 웃는 꽃들이 새롭다.신은 그저 앞선 무리에 섞여 황송하게도 뒤차의 귀빈을 모신다.

2
칠석
53. 은하수 별이 느릅나무에 차디찬데달 속 계수나무는 가을빛을 띠고 있다.직녀성의 영묘한 모습은 구름같이 나부끼며수레는 은하수를 건너간다.그윽하고 정숙하게 옥구슬을 울리며영롱하게 고운 배를 비춘다.정작 슬퍼할 일은 내일 밤누가 이별의 근심을 위로해 줄 것인가.

3
요시노 강에서 놀다
98. 여기서 노는 친구는 봉록을 추구하는 벼슬아치가 아닌 안개를 먹고사는 선인 같은 귀빈이다.높이 노래하며 지로 물에 임하고길게 휘파람 불며 인으로 산을 즐긴다.어량 앞에서 쓰미노에 선녀와 우마시네가 노래한 건 이미 옛일이지만지금은 계곡에서 피리 소리가 새롭다.거문고 타며 노는 주연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밝은 달은 강변을 비춘다.



서지정보

발행일 2024. 10. 31
쪽수 210 쪽
판형 사륙판(128*188) ,  국배판(210*290)
ISBN(종이책) 979-11-7307-085-3   03830   22800원
ISBN(EPUB) 979-11-7307-087-7   05830   18240원
ISBN(큰글씨책) 979-11-7307-086-0   03830   37000원
분류 문학, 지구촌고전, 지만지
시일본일본시
Facebookgoogle_plus



위로가기



 

회사소개   알리는말씀   이용약관  유료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회사약도   페이스북컴북스   페이스북지만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02880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5-11 commbooks@commbooks.com 02.7474.001 02.736.5047
대표이사 박영률 사업자등록번호 105-87-11972 통신판매업신고 제2009-서울마포-00105호 Copyright ⓒ CommunicationBooks, Inc. All Rights Reserved.
커뮤니케이션북스 홈사이트는 인터넷익스플로러9 이상, 크롬, 파이어폭스를 권장합니다.

툴바로 바로가기
    • 컴북스가기
    • 주제로찾기
      • PR
      • 광고
      • 뉴미디어
      • 마케팅커뮤니케이션
      • 문화콘텐츠
      • 미디어산업과정책
      • 미디어론
      • 방송/영상
      • 스피치와작문
      • 영화
      • 저널리즘
      • 정기간행물
      • 커뮤니케이션학
      • 한국어
    • 컴북스는?
    • 지만지가기
    • 주제로찾기
    •    지구촌고전
      • 문학
      • 사회
      • 역사
      • 예술
      • 인문
      • 자연
      • 철학
    •    한국문학
      • 동시
      • 동화
      • 문학평론
      • 수필
      • 소설
      • 시
      • 육필시
      • 첫시집
      • 희곡
    •    기타
    • 상세주제로보기
    • 청소년특선
      • 청년고전247(모바일)
      • 청년고전247(PC)
    • 태그
    • 지만지는?
    • 학이시습가기
    • 주제로찾기
    •    HRD
    •    공교육개혁과대안
    •    교수학습방법
    •    문해학습과실천
    •    이론&역사연구
    •    일상에서배우기
    •    진로설계학습
    • 외국인을위한한국어읽기
    • 학이시습은?
    • 지식공작소
    •    경제/경영
    •    달리기/마라톤
    •    인문교양
    •    자기계발
    •    자서전/회고록
    •    지식공작소는?
    • 노마
    •    노마는?
    • 기획시리즈
    • 오디오북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 100인의 배우, 세계 문학을 읽다
      •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 법정스님 108법문 (상)
      • 베개 타고 떠나는 이야기 여행
      • 빨강머리 앤 1권 초록지붕 집 이야기
      • 빨강머리 앤 2권 에이번리 이야기
      • 빨강머리 앤 3권 레드먼드 이야기
      • 셰익스피어 4대 비극
      • 세계 환상문학 걸작선
      •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 한국동화 문학선집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지만지 한국희곡 선집
    • 로그인
    • 회원가입
    • 문의
    • 출간문의
    • FAQ
    • 자료실
    • 컴북스닷컴
    •    저자
    •    철학
    •    혁신
    •    편집
    •    디자인
    • 튜토리얼영상
    •    열람서비스
    •    컴북스캐시충전
    •    리딩패킷
    • 도서관의친구
    • 도서관을위한강연
    • 도서관을위한도서목록
    • 사서를위한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