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키워드: "한국방송학회"

인티

 

소통이라는 이름의 폭력
인티전체

  퍼렇게 멍들었다 네가 그렇지, 어쩌라는 거야, 아, 됐어. 무심한 말 한마디가 마음을 할퀸다. 의도가 없더라도 상처는 남는다. 서로를 살리는 말, 어떻게 시작할까? 여기 말을 다듬는 방법이 있다. 바람직한 한국식 대화법을 제시한다. ≪내 말에 상처 받았니?≫, 상생화용연구소 엮음     괴물의 정체 속보 경쟁, 클릭 수 때문에 언론은 맘이 급하다. …


한국언론학회 이슈중계 1. 우리 현실의 커뮤니케이션
03 미디어,10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 이슈 중계 1 우리 현실의 커뮤니케이션 #1. 남한 반공 이데올로기의 극단성, 어디서 시작됐을까? “한국전쟁 초기 전쟁 소식 전파와 대응의 커뮤니케이션” 한국전쟁은 한국 현대사에서 영향력이 가장 컸던 사건이다. 이 엄청난 사건에 관한 소식을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접촉했으며, 그 소식은 어떻게 전파되었는가? 또 전쟁이라는 현실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이 연구는 한국전쟁을 뉴스 …


KBS의 어젠다는 무엇이었나?
416 커뮤니케이션,방송,저널리즘

416 커뮤니케이션 4. KBS의 어젠다는 무엇이었나? 텔레비전은 무엇을 방송했는가? 열흘 넘게 보았다. 가라앉은 배, 배가 사라진 바다, 그 바다 밑으로 가라앉은 배, 그 배 안에서 구조를 기다릴 수도 있을 생명들의 모습과 이야기, 그리고 사냥이 시작되었다. 이것이 우리 방송의 의제설정인가? 공영방송 연구자로서 당신은 416을 무엇이라고 정의하는가? 권언유착과 무책임 저널리즘의 결과물이다. 416 …


남겨진 자들의 오늘과 또 내일
10 커뮤니케이션,416 커뮤니케이션,저널리즘

<특집> 4·16 커뮤니케이션 1. 남겨진 자들의 오늘과 또 내일 자유보다 인륜이 먼저였다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사상의 자유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었다. 우리가 인간으로서 함께 산다는, 우리가 가족으로서 하나였다는 사실이다. 그것을 잊고 살았다. 당신은 <<삶과 희망>>의 작가다. 지금도 그것을 말할 수 있는가? 희망 전에 통렬한 반성과 굳은 결의가 먼저다. 통렬한 …


한국 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 정치
방송,연구방법론

문화연구 특집 4. 나는 어떻게 서울 사람이 되었나? 한국방송학회가 엮고 전규찬·이희은·황인성·주형일·김수미·이경숙·오원환·채석진·정의철·박지훈이 쓴 <<한국 사회 미디어와 소수자 문화 정치>> 근대화의 자식들 근대는 전근대를 낳는다. 중앙은 주변을 만들고 주체는 타자를 생산하며 다수자는 소수자를 지정한다. 서울은 지방을 만들고 지방은 서울을 만들었다. 다수자가 되기를 욕망하는 사람들은 다수자의 공간에서 살고자 한다. 그들에게 “서울에서 산다”는 것은 …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미디어이론

김영순・강진숙・김광희・김덕원・김동윤・김정은・김진영・배현주・이제영・이태희・정회경・최경진이 쓴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 쓰는 미디어에서 만드는 미디어로 바로 보기만 하면 되는 시대가 있었다. 미디어 리터러시였다. 지금은 미디어 능력의 시대다. 스스로 만들고 운영해 자신을 확장한다. 시민사회의 미래가 여기 달렸다. <<영상 미디어 교육의 이해>>는 무엇을 이야기하는 책인가? 영상 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교육을 논의한다. 텔레비전, 영화, 인터넷, 소셜 미디어의 매체 …


언론과 진실, 이상한 동거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

커뮤니케이션 연구 현장 10. 제주대학교 김경호와 제주의 봄 김경호는 톰 골드스타인의 저서 ≪언론과 진실, 이상한 동거≫를 옮겨 펴냈다. 선거가 끝났다. 표현 자유의 보장과 선거 공정성 확보라는 상충된 이익 간의 형량에 대해 생각한다. 학교 앞길은 만개한 벚꽃으로 꽃 터널을 이룹니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벚꽃은 꽃 눈이 되어 사방으로 흩날립니다. 연구실로 …


지역방송정책론
경제와 경영

방송정책, 지역방송 신간 ≪지역방송정책론≫ 지역방송의 경쟁력 한국은 좁은 나라다. 해 뜨는 시각과 해 지는 시각이 전국 어디나 같다. 게다가 방송은 전국 동시 매체다. 스마트폰 문자만으로도 전국 회의를 운영할 수 있다. 그런데 지역 방송이 필요할까? 필요하다. 절실히 필요하다. 커뮤니케이션 속도가 빨라지면 질수록,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면 될수록 지역의 독자성은 더욱 더 중요해진다. …


저널9. 방송학보
컴북스가 만드는 학술지

커뮤니케이션북스가 만드는 학술지 9 <<한국방송학보>> 전자미디어의 사회 생활 그들은 전자미디어가 사회와 만나는 공간과 시간을 주목한다. 그곳은 포스트모더니즘의 거의 모든 현상이 나타나는 현장이고 지구촌이 만들어지고 확산되는 모멘텀이며 우리 일상이 만나고 흩어지는 십자로다. <<한국방송학보>>는 바로 이곳에서 방송을 사유한다. 전원합의제 심사제도의 보수성을 염려하면서. <<한국방송학보>>는 무엇을 다루는가? 방송에 관한 모든 것이 우리의 주제다. 전자미디어가 …


영상 이론과 실제
영상

영상 이론 신간 <<영상 이론과 실제>> 영상 이론의 현주소 세상은 영상의 시대인데 그것이 뭔지 알기는 쉽지 않다. <<영상 이론과 실제>>는 한국 영상 이론 담론의 현주소다. 한국방송학회의 영상연구회는 영상을 세 가지 범주로 인식한다. 현상과 해석, 구조와 형식, 사유와 구성이다. 인식론의 분위기지만 현실 분석에 냉담치 않다. <<영상 이론과 실제>>는 어떤 책인가? 영상에 …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