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기노쓰라유키산문집_앞표지L_21676
기노 쓰라유키 (紀貫之) 지음, 강용자 옮김, 2024. 9. 13, 116쪽, , , , 사륙판(128*188)

일본 헤이안 시대의 문인 기노 쓰라유키의 산문 작품을 엮었다. 쓰라유키는 ≪고금와카집≫이라는 책의 서문에서 와카에 대한 최초의 평론으로 일본 문학사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도사 일기≫라는 기행문을 써서 수필 문학을 개척하기도 했다. 앞서 언급한 두 작품은 모두 ‘가나’로 된 산문인데, 쓰라유키 덕에 당대의 문학 언어로서 가나의 위상이 한층 높아진 것이다. 이 책은 시인으로 잘 알려진 쓰라유키의 산문 세계를 조망하고 있다.



정철시선_앞표지L_21679
정철 (鄭澈) 지음, 김갑기 옮김, 2024. 9. 13, 212쪽, , , 사륙판(128*188)

적어도 시가 문학에서 송강 정철을 한국의 문호로 일컫거나 독보적 존재로 칭하기를 부정할 이유는 누구에게도 없다. 호흡에 맞고 귀에 익은 멋 겨운 장·단가의 가락은 물론이고, 임금을 그리워하는 독백은 참다운 우리 민족의 정서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정철의 작품을 주제별로 ‘우시연군’, ‘인간미의 점화’, ‘별리·상도’, ‘자연미의 발현’, ‘비장미의 승화’, ‘통현의 기호’의 다섯 가지로 분류해 정리했다.



운명_앞표지L_21678
알프레드 드 비니 (Alfred de Vigny) 지음, 최복현 옮김, 2024. 9. 13, 174쪽, , , , 사륙판(128*188)

이 시집은 비니 사후에 출판된 시집으로 13편의 철학적인 시가 담겨 있다. 이 시들 속에서 우리는 그의 인생관, 사상 등을 엿볼 수 있는데 특히 늑대의 죽음을 통한 극기주의는 우리의 심금을 울려주고 있다.

 

 



인생론_앞표지L_21677
레프 톨스토이 (ев Н. Толстой) 지음, 이영범 옮김, 2024년 9월 13일, 312쪽, , , , 128*188

문학적으로뿐만 아니라 사상적으로도 위대한 업적을 남겼던 러시아의 세계적인 문호 톨스토이의 작품. 톨스토이의 세계관의 철학적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그가 인생의 의미에 대해 제기했던 의문과 그 해답들이 제시되어 있다. 삶에 대한 회의와 권태라는 내면적 위기를 맞았던 작가의 전환기 이후에 쓰인 철학 성격의 수필로, 톨스토이의 종교적·사상적 고백을 엿볼 수 있다.



AI비즈니스,생명가치경영으로전환_앞표지_36996_20240906
이완형 지음, 2024년 9월 24일, 131쪽, , 128*188mm

AI 비즈니스에 단순한 기술적 성취를 넘어 인간 중심의 생명 가치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AI 시대 기업은 기술보다 경영 철학과 인간성을 중시해야 지속 가능하다기 때문이다.


 


AI와디지털휴먼_앞표지_36011_20240904
정태섭 지음, 2024년 9월 23일, 123쪽, , 128*188mm

AI는 디지털 휴먼에게 지능을 부여해 다양한 산업에서 사람과 상호작용하게 한다. 그러나 일자리 대체, 개인정보 보호, 윤리적 문제 등 사회적 과제도 함께 제기된다. AI 기술이 어떻게 미래를 변화시킬지, 그리고 그에 대한 대비와 대응 방안을 탐구한다.


 


AI에이전트와사회변화_앞표지_36019_20240904
이경전 지음, 2024년 9월 23일, 120쪽, , 128*188mm

AI 에이전트의 작동 원리와 사회적 영향을 설명하며, 다가올 변화를 대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AI 에이전트는 인간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율적으로 행동하며, 조선업, 건설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을 이끌고 있다. 챗GPT와 같은 대화형 AI는 인간과 상호작용해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며, 앞으로 인간의 협력 파트너로서 경제적 가치와 기회를 창출할 것이다.


 


교육과학습을지원하는생성형인공지능_앞표지_36010_20240905
이웅기 지음, 2024년 9월 23일, 95쪽, , 128*188mm

챗지피티를 비롯한 생성형 인공지능은 맞춤형 학습 경험, 자동 평가, 창의성 촉진 등 다양한 교육 혁신 가능성을 제시한다. AI 기술이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 사례와 방안을 제시하며 정보 정확성, 비판적 사고 저하 등 윤리적 문제를 함께 논의한다.


 


AI와예술_앞표지_36986_20240904
강보현 지음, 2024년 9월 13일, 107쪽, , 128*188mm

AI 예술의 개념과 기술적 배경을 설명하고, AI가 창작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개념과 실제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AI가 진정한 예술을 창조할 수 있는지, 그 예술적 가치를 다각도로 분석하며 AI와 인간이 함께하는 창작의 미래를 제시한다.


 


전문성을탑재한AI_앞표지_36001_20240902
김동원 지음, 2024년 9월 19일, 120쪽, , 128*188mm

전문성을 탑재한 AI는 기업 환경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맞춤형 AI 솔루션이다. 챗GPT와 같은 범용 AI와 달리 특정 분야에 특화된 AI는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보안 강화, 비용 절감 등의 장점으로 많은 기업들이 자사 데이터에 맞는 전문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책은 AI의 전문성 확보와 기업 적용 사례를 통해 AI 도입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인공지능시대의지식과학습_앞표지_36995_20240827
설동준 지음, 2024년 9월 19일, 118쪽, , 128*188mm

AI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과 학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구한다. AI는 단순 도구가 아닌 학습의 중요한 행위자로 작용하며 인간의 창의성과 결합해 새로운 학습 방식을 제시한다. AI와 인간의 협업이 지식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이론과 사례로 분석하고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학습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AI와제조기업의지속성장_앞표지_36013_20240902
박한구 지음, 2024년 9월 13일, 137쪽, , 128*188mm

AI는 제조업의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이끄는 핵심 기술이다. 자동화, 스마트 팩토리, 자율 생산 시스템을 통해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경쟁력을 강화한다. 제조업에서 AI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전략과 사례를 제시한다.


 


AI와책임_앞표지_36008_20240902
정해빈 지음, 2024년 9월 10일, 109쪽, , 128*188mm

AI의 자율성으로 인한 책임 공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자율적 AI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작동할 때 책임 소재가 모호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에게 법적 책임을 부여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 책은 AI와 책임 문제를 다루며, 관련된 법적, 윤리적 과제를 탐구한다.


 


시몬드보부아르_앞표지_08510
강초롱 지음, 2024년 9월 6일, 150쪽, , 128*188mm

윤리적 실존주의의 주춧돌을 세운 시몬 드 보부아르의 철학을 해설한다. 사르트르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보부아르 사상의 독자성을 재조명하고, ≪제2의 성≫의 대대적 성공 탓에 오히려 간과되어 온 보부아르의 평생 화두인 ‘실존주의 윤리’를 고찰한다.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보부아르 철학의 진면모를 만날 수 있다.



인공지능거버넌스_표지_36009_202408223
김호철 지음, 2024년 9월 13일, 115쪽, , 128*188mm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타나는 윤리적, 사회적, 안보적 문제를 다루며, AI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조명한다. AI 거버넌스는 AI의 개발, 사용, 배포와 관련된 정책, 규범, 법률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AI 기술의 안전성과 인간 중심의 통제를 보장하려는 노력을 다룬다.


 


AI기반미래융합기술_앞표지_36003_20240830
박창현 지음, 2024년 9월 13일, 118쪽, , 128*188mm

생성형 AI가 가져올 미래 변화를 분석하고 대비하기 위한 지침서다. 텍스트 생성형 AI, AI 전용 칩 등 10가지 주요 기술을 선정해 개념, 필요성, 미래 영향, 발전 방안을 다각도로 설명하며, AI가 주도할 미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