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 합격해 출사하자마자 당쟁에 휩싸여 관직을 잃고 저작으로 세월을 보냈던 홍만종. 그때 그가 발견한 것이 웃음이다. 《고금소총》에 이어《속고금소총》을 편찬한 그는 속편에 《명엽지해(蓂葉志諧)》라는 부록을 첨부했다. 앞의 두 책이 남의 작품을 선집한 것인데 반해, 《명엽지해》는 홍만종이 직접 모은 이야기를 엮은 것이다.
《속고금소총(續古今笑叢)》은 《고금소총》에 이어 편찬한 책이다. 그간 편찬자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근래에 발굴된 홍만종의 문고 《부부고(覆瓿藁)》에서 《속고금소총》의 서문이 발견되며 홍만종이 《고금소총》에 이어 《속고금소총》까지 편찬했음이 밝혀졌다. 전편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외설적인 내용이 축소되고 17세기 관인의 일상생활에 내재된 웃음의 순간을 포착하려 했다. 해학을 즐겼던 이항복이나 조원범 등 다양한 소화 인물의 발굴을 시도한 《속고금소총》은 우리 소화의 다양성을 보여 주는 작품집이다.
‘고금의 웃음 다발’이라는 뜻의 《고금소총(古今笑叢)》은 편자 홍만종이 우리나라의 소화(笑話) 가운데서 가장 우스운 것들을 모아 엮은 책이다. 그간 같은 제목의 여러 번역서가 있었으나 아쉽게도 다소 왜곡된 모습으로만 소개되었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일사본 《고금소총》을 저본으로 했다. 《촌담해이》·《어면순》·《속어면순》에서 홍만종이 직접 가려 뽑아 만든 원본 《고금소총》이다. 한시(漢詩) 일색인 우리의 전통문학 풍토에서 통속문학을 옹호하고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갔던 홍만종의 작가 정신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AI가 자율성과 의식을 갖추게 될 경우, 인간과 유사한 도덕적 지위를 부여할 필요가 있는지를 논의한다. 특히 감성주의 관점에서 현상적 의식을 도덕적 지위의 필수 조건으로 제시하며, AI와 인간의 관계가 어떻게 재정립될 수 있는지를 다룬다. 또한, ‘인공 친밀성’ 개념을 통해 AI와의 감정적 유대가 가져올 사회적 영향도 고찰한다.
AI 기술을 통해 기업 경영의 혁신을 이끄는 방법을 제시한다. 생성 AI의 개념부터 마케팅, 제품 개발, 고객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소개하며, CEO들이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전략과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거대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과 AI 도입 시 직면할 도전 과제에 대한 해법도 제공한다.
AI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수 역량으로 떠오르고 있다. AI와 미디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정보 분석, 창의적 활용, 윤리적 판단을 기르는 방법을 다룬다. AI의 주요 기술과 교육적 응용 방안을 제시하며 독자들이 AI 시대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을 갖추도록 돕는다.
오스카 와일드의 최고 성공작이자 마지막 극작품으로 초연부터 대중과 평단의 관심을 사로잡았다.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자본주의 풍토를 이면에 드러내며 현대에 읽어도 손색없이 매력적인 희곡이다. 통속적인 주제를 다루면서도 와일드의 희극적 문장은 위트가 흘러넘친다. 2월 14일은 성 밸런타인데이(St. Valentine’s Day)이며, 이 작품이 처음 공연된 날이기도 하다. 1895년 초연 이후 수많은 무대에서 공연되었고 콜린 퍼스가 ‘잭’으로 등장하는 영화 〈진지함의 중요성〉(2002)으로 각색되기도 했다.
생성형 AI가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변화를 탐구한다. AI는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여론 형성에 기여하지만 가짜 정보 생성과 여론 왜곡 같은 윤리적 문제도 동반된다. 여론 전략가, 정책 전문가, 정치 캠페인 종사자들에게 AI 활용법과 그 한계를 제시하며 AI 시대에 대비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수리논리학은 수학과 철학을 잇는 징검다리다. 그리고 그 핵심에 타르스키가 정립한 모델론이 있다. 타르스키는 ‘거짓말쟁이 역설’을 비롯한 의미론적 역설들을 농담이나 궤변으로 취급하지 않고 치밀하게 분석했다. 진리 개념과 논리적 귀결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며 모델론을 수학의 독립된 분야로 우뚝 세웠다. 이 책은 타르스키가 남긴 불후의 업적들을 열 가지 키워드로 살핀다. 타르스키를 통해 논리학, 수학, 논리학이 지나온 길과 앞으로 나아갈 길을 조망해 보자.
AI가 광고 기획, 카피라이팅, 영상 제작의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I는 창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며, 편집과 사운드 디자인까지 다양한 작업에서 활용된다. AI 기술의 발전이 광고 영상 제작의 미래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며, 이를 통해 광고 전문가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인공지능의 핵심에 자리 잡은 수학의 역할을 쉽게 설명한다. 선형대수학, 미적분학, 확률론 등 수학적 개념들이 AI의 작동 원리를 어떻게 지탱하는지 탐구하며, 컴퓨터 비전, 자율 주행 등 실생활의 다양한 AI 응용 사례를 소개한다. AI의 윤리적 문제와 수학적 해법을 다루어 독자들에게 AI 기술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메트로폴리스>부터 <엑스 마키나>, <블레이드 러너 2049>까지 다양한 영화 속 AI를 분석하며, AI의 발전과 인간성과의 관계를 탐구한다. 이 책은 AI가 조력자에서 경쟁자, 그리고 인간과 유사한 존재로 변모하는 과정을 영화 사례를 통해 보여 주며, AI와 인간의 공존, 윤리적 고민을 깊이 성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