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8


김원용·윤은상 지음, 2005년 11월 30일, 354쪽, , , , 23000원, 153*224mm

2003년에 출간했던 <데이터 방송>의 개정판이다. 개정판에서는 쌍방향 서비스를 중심으로 급변하게 개편되어 가고 있는 방송환경을 학자적인 추론보다는 현실적인 시각에서 쌍방향 방송 서비스 시장의 생생한 느낌(raw data)을 전달하기 위해 IPTV를 독립된 장으로 다루었고, 쌍방향 시장상황에 대해서도 새로운 장으로 분리하여 다루었다.

그리고 새로운 매체 환경과 신기술에 기반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검토를 덧붙였다. 저자들이 직접 체험한 세계의 쌍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현황에 대한 서술은 세계적인 과점과 전망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김인규 지음, 2005년 11월 25일, 254쪽, , , , 99원, 153*224mm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공영방송의 실체를 분석하고 공영방송이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사실에 기반을 둔 묘사, 사례 중심의 서술이면서도 이론적으로 손색이 없다는 점이다. 이는 저자의 이력 덕분인데, 저자는 30년 동안 우리나라 방송 현장을 체험한 뒤 강단으로 돌아가 고려대학교에서 방송영상 정책과 공영방송의 이론과 실제를 점검하는 강의를 해 왔다.

1부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방송정책의 변천사와 함께 영상매체의 영향력과 사회적 책임 문제를 알아본 뒤, 주로 TV뉴스 취재·제작 과정에서의 게이트키핑(gate keeping)과 시스템, 그리고 실제 방송된 <9시 뉴스>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2부에서는 공영방송의 선정성과 공정성 문제만을 별도로 묶어 깊이 있게 다뤄본 뒤, 방송 저널리즘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3부에서는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까지 우리나라 방송의 급속한 발전 과정을 살펴본 뒤,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지상파 위기론과 공영방송의 재원 정책, 세계적 공영방송과 비교, 그리고 미국 상업방송의 미디어 제국주의로에 대한 대응 방안 등 공영방송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미래를 조망해 본다.



제리 A. 헨드릭스 (Jerry A. Hendrix) 지음, 조전근·김원석 옮김, 2005년 11월 25일, 576쪽, , , , 32000원, 188*258mm

미국 대학과 실무자가 가장 많이 보는 PR 전략 교재다. 풍부한 현장 사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많은 대학에서 교재로도 사용하고 있다. 이 책은 제6판을 기초로 번역했다.rnrn책은 미국PR협회에서 매년 주관하고 있는 실버앤빌상 경연대회에서 수상한 것들과 기타 PR 실무에서 입수 가능한 최상의 사례로 채워져 있다. 사례에는 자세한 설명은 물론이고 보도자료까지 포함되어 있다. 사례들은 대개 홍보의 원칙들이 긍정적으로 적용된 경우다.rnrn1부에서는, 최선의 PR는 커뮤니케이션 송신자와 수용자의 상호작용, 다시 말해서 상호 참여를 통해 결정된다는 필자의 철학을 소개한다. 2부는 예시적인 사례와 함께 PR 과정 모형이 공중 중심으로 적용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rnrn3부에서는 비상 혹은 위기관리 PR와 관련된 이론과 실무 사례를, 그리고 4부에서는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IMC) 분야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부록에는 강의실 토론을 위한 몇 가지 질문과 PR인의 윤리적 지침이 담겨 있는 2000년 PRSA의 회원윤리강령을 포함시켰다.

인티 보기 1  

SBS 엮음, 2005년 11월 25일, 170쪽, , , 15000원, 153*224mm

인티 보기 1  

김동규·김경호·김희경·반현·이준웅·장호순·최영재·황용석 지음, 2005년 11월 25일, 276쪽, , , , 99원, 153*224mm

≪미디어 오늘≫에서 창간 10주년을 맞아 한국언론학회에 연구를 의뢰했고, 그 결과물을 엮었다. 생활필수품과도 같이 국민들 곁에 있던 신문이 언제부터인가 국민들 곁을 떠나고 있는 현상이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위기로 치달을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 한국 신문위기의 구조적 원인을 과학적이고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해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인티 보기 1   2  

박근서 지음, 2005년 11월 25일, 136쪽, , , , 99원, 153*224mm

저자는 인터넷의 윤리적 공황상태를 해소하려면 무엇보다 사이버스페이스의 거주자들 스스로가 새로운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하며, 사이버 공간을 구원할 윤리 주체에 선행하는 윤리적 담론을 제기한다.

저자는 사이버스페이스가 우리 삶에 얼마나 깊숙이 또 위험하게 자리 잡을 수 있는지 보여 주기 위해, 영화 <론머맨>, <매트릭스>,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 등 네트워킹 사회의 모습을 담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소재를 사용한다.

인티 보기 1  

신선경 지음, 2005년 11월 25일, 113쪽, , , , 9500원, 128*188mm

즉흥적으로 아무렇게나 다는 글이 댓글이라면, 답글은 형식을 갖춰 간단명료하게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 이해하기 쉬워야 하고 보기도 좋아야 한다. 이 책은 인터넷상의 다양한 질의 목적에 목적들을 구분하고, 그에 적합한 답글 쓰기의 요령에 대해 설명한다.



윤호진 지음, 2005년 11월 20일, 229쪽, , , , 14000원, 153*224mm

2005년 한 해 동안 많은 사건과 이슈가 발생했고, 이에 대한 뉴스 보도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런데 저널리즘은 왜 존재하는가?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TV 저널리즘을 중심으로 주요 이슈와 쟁점을 분석한 이 책은 뉴스보도가 얼마나 정확하게 사실을 규명했고, 얼마나 공정한 관점 또는 시각에서 보도를 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에 대한 답변을 대신한다.



니시다 히로코·오타 히로시·고이케 히로코·사사키 유미·도쿠이 아쓰코·네바시(나카하라) 레이코·마스모토 도모코·모리사키 세이이치·야마구치 이쿠시 (西田ひろ子·太田浩司·小池浩子·佐々木由美·德井厚子·根橋(中原)玲·桝本智子·守崎誠一·山口生史) 지음, 박용구 옮김, 2005년 11월 15일, 317쪽, , , , 99원, 153*224mm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의 주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기술 관찰, 설명과 이론, 그리고 실천과 응용이다. 이 책에서는 기술 관찰에 해당하는 1부에서는 문화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어떤 요인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언어, 비언어, 심리, 가치관 등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설명과 이론에 해당하는 2부에서는 그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고 그 메커니즘은 무엇인지를 전통적인 이론과 스키마 이론에 입각해 서술했다. 그리고 실천과 응용에 해당하는 마지막 3부에서는 오해나 커뮤니케이션 마찰을 피하기 위한 조직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케이션 교육이나 연수 등의 임상적 대안을 소개함으로써 마무리한다.

인티 보기 1   2  

한국광고홍보학회 지음, 2005년 11월 15일, 290쪽, , , , 22000원, 188*258mm

한국광고홍보학회에서 1999년 2월부터 연 4회 발행하는 학회지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전국에 있는 40여 개의 광고홍보 관련 학과의 거의 모든 교수가 이 학회에 참여하고 있다. 광고, 홍보, 마케팅 일반 분야에 최신 이론이나 연구 성과가 이 책에 가장 먼저 실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두원 지음, 2005년 11월 14일, 239쪽, , , , 99원, 153*224mm

논쟁을 통해 싸우지 않고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모든 논쟁은 정반합의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쟁점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논쟁의 기본 개념과 본질에서 출발하여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증된 논쟁의 기술까지 소개한다.



한국방송학회 엮음, 2005년 11월 11일, 426쪽, , , , 19000원, 153*224mm

급변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을 기반으로 최신 내용으로 업데이트한 방송학 입문서다. 한국방송학회의 각 연구회에서 2~3개 정도 해당 분야 주제를 정해 방송사, 방송과 수용자, 방송 제작, 매체미학, 문화연구, 방송과 광고, 지역방송, 방송법제, 방송 편성, 방송 제작, 디지털 방송 등의 개념을 처음 방송을 공부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각 장마다 ‘인트로’, ‘박스(사진 삽입)’, ‘키워드’, ‘참고 서적 소개’, ‘관련 사이트 소개’ 등을 삽입해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읽기 쉽도록 다양한 장치를 마련했다.



개같은날의오후
이경식·조민호·장진·이민용 지음, 이민용 감독 지음, 2005년 11월 3일, 93쪽, , , , 128*188mm

서울 변두리 서민 아파트를 무대로 세태를 풍자한 코믹 터치의 풍자 해학 드라마다. 각양각색의 직업에 성격도 다른 주민들이 어떻게 뭉치고 대결하고 자기주장을 펴는지, 특히 아파트촌의 주역인 여자들을 통해서 흥미 있게 펼쳐 보인다. 한 가정의 부부 싸움이 성 대결로 확대되고 극히 개인적인 사정으로 일어난 한 노파의 죽음이 여성 단체들과 매스컴에 의해 여권 운동으로까지 왜곡 확산돼 가는 과정을 해학적으로 그렸다. 치밀하게 짜인 시나리오와 정곡을 찌른 연출이 돋보인다.



눈꽃
김수현 원작, 여혜영.박철수 각색, 박철수 감독 지음, 2005년 11월 3일, 61쪽, , , , 128*188mm

대사의 명수인 작가 김수현의 소설을 감독 박철수가 깔끔한 멜로물로 영상화했다. 방송 드라마 작가로 재능을 떨치고 있는 이혼녀 강애, 남들처럼 대학 가고 좋은 신랑감 만나라는 엄마의 바람을 거부하고 연극을 시작함으로써 독립체임을 선언하는 딸 다미가 주인공이다.어쩌면 김수현의 자전적 수기와 같은 이 작품은 상투적인 남녀간의 사랑 문제라든가 최루탄적인 멜로가 아니라 개성 있는 모녀간의 따스한 애정과 갈등, 누구도 허물어뜨릴 수 없는 독립된 개체와 개체를 조명한 수준 있는 멜로 드라마다.



경마장
하일지 지음, 장선우 감독 지음, 2005년 11월 3일, 156쪽, , , , 128*188mm

하일지의 첫 장편소설 <경마장 가는 길>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R이라는 남자가 파리에서 귀국하고 J라는 여자가 공항에서 마중하는 데서 시작된다. R의 말초적인 욕구와 이를 결정적으로 거부하지 못하는 J가 일상적인 만남과 헤어짐을 반복햔다. 시나리오에서 보는 한 남녀의 성의 쟁투는 전쟁만큼이나 심각하고 애타게 갈구하는 쪽이 결국 패자가 된다. 일방적으로 추구하던 표적을 빗나간 화살은 헛된 자리에 떨어진다. 표류하는 욕망, 방황하는 쾌감, 불모의 성애는 R만이 아니고 현대인 대다수인지도 모른다.



땡볕
김유정 원작, 이영일.나한봉 각색, 하명중 감독 지음, 2005년 11월 3일, 58쪽, , , , 128*188mm

일제 식민지 시대에 일약 출세를 꿈꾸는 춘호는 광산촌과 도박판을 전전하지만 실패하고 아내 순이만을 닦달한다. 꿈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춘호는 고향을 떠나 보지만 실패의 연속이다, 마지막으로 아내에게 희망을 걸고 돌아왔으나 다 죽어가는 순이만이 춘호에게 보일 뿐이다. 순이의 죽음 앞에서 춘호는 잘못을 참회하며 새출발하게 된다. 땡볕 아래서 주인공이 솥을 메고 걸어가는 라스트 신은 퍽 인상적이다. 솥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요, 대대로 이어오는 한국인의 전통 같은 것이니까.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