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6


저널리즘에서사실성
이충환 지음, 2013년 9월 30일, 322쪽, , 99원, 153*224mm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은 무엇인가? 기본 토대를 이루는 개념이다. 사실성의 뿌리는? 문학의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 왜 지금 사실성을 논하는가?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출현함으로써 저널리즘이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방송 현장에서 활동해온 저자는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이 갖는 의미와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2  

현실을상상하다
마크 커즌스·케빈 맥도날드 (Mark Cousins·Kevin Macdonald) 지음, 최정민 옮김, 2013년 9월 30일, 674쪽, , , , 99원, 153*224mm

18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최고로 손꼽히는 다큐멘터리 작품과 감독에 주목해 평론과 인터뷰, 기고문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다큐멘터리 역사를 건조하게 서술한 기존의 책과 비교해 이 책이 지닌 가장 큰 미덕은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인 두 저자가 제작자의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간과해온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창의성과 형식의 다양성을 부각하고자 했다.

2006년 개정판을 통해 1990년대 이후 뛰어난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기 시작한 ‘다큐멘터리 장르의 귀환’ 현상에 주목한다. 아울러 과감한 미학적 실험과 관습의 전복을 시도한 아시아와 유럽에 걸친 동시대 다큐멘터리 영화의 최신 흐름까지 짚고 있다.

또한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논픽션과 픽션의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다큐멘터리 장르를 새로운 미지의 영역으로 이끈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놀라운 실험도 언급하고 있다. TV 화면을 점령한 리얼리티 쇼의 세계적 흐름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와 함께 제작지원이 줄고 있는 사회 정치적 다큐멘터리의 활로 모색에 대한 고민도 다루고 있다.

인티 보기 1  

나는단편영화가망하는모든이유를알고있다
로버타 마리 먼로 (Roberta Marie Munroe) 지음, 이찬복 옮김, 2013년 9월 30일, 382쪽, , , , 99원, 153*224mm

단편영화계에서는 거장이라고 할 수 있는 영화감독은 물론 프로듀서, 조명감독, 배급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단편영화 제작과 배급 전 단계의 전문가들 인터뷰가 곳곳에 들어 있다. 국제 단편영화제 수상작 연출가이자 선댄스 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일한 저자가 자신과 동료들의 경험을 인터뷰로 정리해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유의 단편영화는 망한다는 사례로 시작해 시나리오 쓰기에서 프리 프로덕션, 파이낸싱,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배급에 이르기까지 단편영화 전 단계에서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지 그 비결을 제시하고 있다. 작지만 이 책 한 권으로 단편영화 제작과 배급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인티 보기 1  

김소진단편집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923
김소진 (金昭晋) 지음, 고인환 엮음, 2013년 9월 30일, 280쪽, , , 16000원, 128*188mm

한국전쟁 때 포로로 잡혀 남한에 정착하게 된 아버지 이야기를 쓴 작가 김소진의 단편 일곱 편을 실었다. 1990년대 작가지만 말맛은 고금을 넘나든다. 다양한 우리말 어휘를 자유자재로 구사한 작가다. 아쉽게도 34세에 요절했다.

인티 보기 1   2   3  

김남주시선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903
김남주 지음, 고명철 엮음, 2013년 9월 30일, 196쪽, , , 16000원, 128*188mm

시가 혁명이었던 적이 있었다. 아니, 시가 혁명을 넘어서고자 한 적이 있었다. 시의 노래가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혁명을 자연스레 타 넘어가면서 아직 오지 않은 세상을 환히 밝혀 주는 시의 정념을 보인 적이 있었다. 시인이기보다 혁명가로 불리기를 원했던 우리 시대의 뜨거운 상징인 김남주(1946∼1994)가 절규한 언어들이 그렇다.

인티 보기 1   2   3  

홀스토메르무엇 때문에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30912
레프 톨스토이 (Лев. Н. Толстой) 지음, 강명수 옮김, 2013년 9월 27일, 170쪽, , , , 99원, 128*188mm

러시아의 문호인 레프 톨스토이의 중편 소설 <홀스토메르>와 <무엇 때문에?>가 실린 책이다. <홀스토메르> 에서는 ‘남과 다름으로 인한 아픔’과 ‘늙고 병듦으로 인한 고통’이, <무엇 때문에?>에서는 거대한 국가적 폭력과 심리적 강압으로 인한 ‘한 인간의 실존적 아픔과 고통’이 나타난다. 톨스토이는 이 두 작품을 통해서 나와 다른 너도 ‘삶과 죽음’이라는 불변 항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타인의 아픔과 고통, 소외와 불안에 대해 외면하지도 눈감지도 말 것을 넌지시 주문한다.

인티 보기 1  

   


프랑켄슈타인_천줄_앞표지_1판1쇄_ok_20130917
메리 셸리 (Mary Shelley) 지음, 김종갑 옮김, 2013년 9월 27일, 176쪽, , , , 99원, 128*188mm

유전자 지도의 해독과 더불어 인간 복제가 눈앞에 성큼 다가선 듯이 보이는 현대에 ≪프랑켄슈타인≫보다 인간 탄생에 얽힌 상상력을 자극하는 작품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 책에서 옮긴이는 이 작품의 다양한 현대적 의의를 설명한다. 지은이 메리 셸리는 유명한 혁명가이며 무정부주의자였던 윌리엄 고드윈을 아버지로, 페미니스트였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고드윈을 어머니로 둔 작가다. 공상과학소설(SF)의 선구적 작품인 ≪프랑켄슈타인≫ 원전에서 플롯의 전개에 중요한 대목을 뽑아 펴낸 발췌본이다.

인티 보기 1   2  

최남선시선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903
최남선 지음, 김문주 엮음, 2013년 9월 26일, 194쪽, , , 99원, 128*188mm

1908년 ≪소년≫지 창간호에 실린 <海에게서 少年에게>는 신체시(新體詩)의 효시가 된 작품이다. 스스로 “시인의 천품(天稟)을 갖지 못한 자”라고 고백하기도 했던 최남선은 글쓰기와 출판을 통해 몽매한 민족을 일깨우려 했다. 그러나 지극한 민족주의는 일제 말 내선일체를 뒷받침하는 논리로 변화한다.

인티 보기 1  

언어와조직이해
수잔 티체·로리 코헨·질 머슨 (Susanne Tietze·Laurie Cohen·Gill Musson) 지음, 신병현 옮김, 2013년 9월 25일, 342쪽, , , , 99원, 153*224mm

인티 보기 1  

영화현장을말하다
형대조 지음, 2013년 9월 24일, 312쪽, , , , 99원, 153*224mm

영화 제작 과정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통해 전달한다. 한동대학교 공연영상 전공 학생들이 직접 영화 현장의 전문 인력을 만나 그들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학생들 자신이 제작 과정 중 부딪혔던 문제들이나 궁금증을 스스로 풀어나간다.

영화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실무 정보들을 대표적인 전문 영화 인력들의 인터뷰를 통한 ‘Experts Contents’와 각 프로세스에 따른 필수 정보를 ‘Tips Contents’로 나누어 프리 프로덕션-프로덕션-포스트 프로덕션의 작업 프로세스 순서대로 정리하였다.

인티 보기 1  

1130400182-1.jpg
콜린 호스킨스·스튜어트 맥패디언·아담 핀 (Colin Hoskins·Stuart McFadyen·Adam Finn) 지음, 장병희 옮김, 2013년 9월 24일, 442쪽, , , , 99원, 153*224mm

미디어를 이해하는 데 경제학 이론은 왜 필요한가? 미디어 산업이 경제 논리에 좌우되기 때문이다. 미디어 소비자 분석에 활용되는 개념은 무엇인가? 접근 수요, 이용 수요, 한계효용균등이다. 신제품 가격 설정 시 유용한 전략은? 혼잡 비용과 피크 가격 전략이다. 다년간 미디어 경제학에 천착해 온 저자들이 관련 개념과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직관적 그래프와 풍부한 사례로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논어여설_앞표지_1판1쇄_ok_20130904
최술 (崔述) 지음, 박준원 옮김, 2013년 9월 13일, 198쪽, , , , 99원, 128*188mm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행적은 모두 진실인가? 진실인 것도 있고 거짓인 것도 있다. 성인인 공자가 소인배들과 정사를 함께하려 했다는데 어찌된 영문인가? 장우가 공자를 무고한 것이다. 후반부 편장에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은 것은 왜인가? 장우가 ≪논어≫를 왜곡했기 때문이다. 최술이 ≪논어≫를 체계적으로 고증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했다.

인티 보기 1  

변영로시선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904
변영로 지음, 오세인 엮음, 2013년 9월 10일, 142쪽, , , 99원, 128*188mm

1924년, ≪조선의 마음≫은 발행되자마자 판매 금지, 압수된다. 어디서도 찾을 수 없었던 ‘조선 마음’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비운의 미녀 논개는 고결한 민족정신의 표상으로 거듭났고 수주 변영로는 문단에 길이 남을 민족 시인이 되었다.



초판본김동환시선_앞표지_1판1쇄_ok_20130828
김동환 지음, 방인석 엮음, 2013년 9월 10일, 154쪽, , , 99원, 128*188mm

<국경의 밤>으로 한국 현대시에 서사시의 길을 열었다. <봄이 오면>, <산 너머 남촌에는> 등으로 민요시를 보편화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다. 그 형식 속에 담긴 의식과 감성이다. 비극적 낭만성, 근대적 개인의식, 근대 문명에 대한 비판이야말로 친일 행적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김동환을 다시 읽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인티 보기 1  

초판본김억시선_앞표지_1판1쇄_ok_20130828
김억 지음, 방인석 엮음, 2013년 9월 10일, 152쪽, , , 99원, 128*188mm

최초로 창작 시집을 출간했고, 최초로 번역 시집을 출간했다. 서구의 시론을 번역, 소개했고 김소월이라는 거목을 길러 냈다. 김억을 빼고는 한국 현대시를 이야기할 수 없는 이유다. 개인의 감정을 자유로운 리듬으로 표현하는 것, 바로 현대시의 기본이다. 현대시 최초의 모습을 ≪초판본 김억 시선≫에서 만나 보자.

인티 보기 1  

산소와그경쟁자들_단행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904
김홍표 지음, 2013년 9월 10일, 620쪽, , , 99원, 128*188mm,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우리 몸속을 구성하는 100조에 이르는 세포의 상당 부분이 가스를 만들거나, 그 가스에 반응해 무엇인가 일을 한다. 세포들끼리 신호를 전달할 때 긴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고, 혈관을 확장하는 기능을 맡기도 한다. 이 책은 우리 몸에서 효소의 도움을 빌려 만들어지는 가스 분자, 즉 ‘바이오 활성가스’에 관한 기록이다. 김홍표 교수가 생화학, 면역학, 과학사, 진화의학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우리 몸속 가스들, ‘산소와 그 경쟁자들’에 대해 알려진 모든 사실을 엮어 냈다. 전공자들에게 새로운 관점과 통찰을 안겨 줄 책이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