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철학이라는 테마에 관해 지금까지 발표된 책들 중 가장 영향력이 있다고 평가받는 책. 사진술 속에서 20세기 말 우리 문화가 당면하고 있는 근본적인 위기를 성찰하고 있다. 그림, 기술적 영상, 사진기, 사진술, 사진의 수용 등 9장으로 엮었다.
미래 정부사회에서 작고 효율적이며 대국민 서비스 지향적인 전자정부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행정의 패러다임 및 행정모델은 어떤 것인가. 이같은 물음에 대해 답을 전하는 책이다. 정보사회의 행정패러다임과 행정모형을 비롯해 21세기에 필요한 행정이론을 탐색했다.
새로운 TV미디어에 관한 테제- 케이블이나 위성을 이용한 뉴미디어 또는 멀티미디어 관련 분야를 기본부터실제까지 정리한 전공서. 새로운 TV매체 환경의 개관,케이블 커뮤니케이션 개요, 기술적 배경, 수용자론, 정책/법제론 등 10개 장으로 설명했다.
정치와 커뮤니케이션의 상호적 의미를 다루고 정치체 계와 불가분의 관계인 미디어보도, 미디어보도의 정치적 메시지의 의미를 가늠하는 방법으로서 기호학 미디어 분석이론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정보화사회에서의 새로운 정치,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문제도 살폈다.
수용자 분석에 대한 관점과 연구방법, 이슈와 쟁점, 현재까지 발표된 논문 목록까지 현재까지 이루어진 수용자 연구를 한데 모아 엮은 10인의 공동 저서. 효과이론, 이용과 충족 이론, 문화론적 접근, 텍스트 와 수용자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정보화시대의 신문과 출판의 위상에 대해 먼저 기술하고 인쇄매체와 기술정보, 디지털 혁명과 신문, 디지털 혁명과 출판, 조직구조의 변화, 인쇄매체의 노동변화, 인쇄매체의 미래에 대해 체계적으로 전망한 전문서.
인쇄매체 광고 중심으로 광고의 유형을 39개로 분류하여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책. 상품 을 보여주지 않는 상품광고의 묘미, 섹스어필 광고는 터부인가, 돋보이는 아이디어의 광고 등 39개 장으로 나눠 세계 각국의 원색 광고사진과 함께 엮었다.
광고와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인 소 비자에 대한 깊은 이해 곧 소비자 통찰력(Consumer Insight)에 관해 설명한 책. 소비자 심리타점, 소비자의심리타점을 찾는 방법 등 19개 장으로 설명했다.
가상공간에서 모든 것은 물질로부터 멋어나 비트의 형태로 전환된다. Bit 란 물질을 잘게 나눈 최초의 정보단위로 마치 분자화된 물질과 같다. 이처럼 정보 화 사회, 비트문명의 네트문화에 대해 밝히며 탈근대 의 문명과 사회에 대해 철학적으로 탐색했다.
지구촌의 미디어 환경과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규명한 연구서. 디지털 환경에서 소유 규제가 필요한 이유와 필요한 소유규제의 틀, 그러한 소유규제를 실행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고찰했다. `멀티미디어 혁명과 개방사회` 등 4편의 글.
신문에 게재되는 각종 사진과 그림을 대상으로 그 이해와 활용 방법을 설명한 연구서. 신문의 구성과 정보그림이 신문에 게재되는 과정, 지도로 구성되는 정보그림, 차트로 구성되는 정보그림, 일러스트레이션 등 사진, 도표, 삽화 함께 10개장으로 설명.
인간의 사회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매스미디어의 한 영역으로서 영상커뮤니케이션 자유와 통제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영상물의 검열 및 심의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 민주주의가 발전한 선진국에서의 영상 심의 제도 비교 고찰 등을 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