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3


영화_그_기호학적_해석의_즐거움_표지_앞
백선기 지음, 2007년 2월 28일, 368쪽, , , 19000원, 153*224mm,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영화 분석에 기호학 개념과 구조 유형들을 적용, 새로운 기호학적 분석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한 저작이다. 기존의 다양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고, 최근 우리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킨 영화와 영화 포스터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다른 미디어 영역에서 시도하였던 영상 분석 방법들을 영화 분석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임연철 지음, 2007년 2월 28일, 320쪽, , , , 99원, 153*224mm

문화 예술과 경제, 경영, 마케팅의 관계를 설명하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이론부터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홍보 방법을 상세히 설명했다. 보도자료, 기자회견, 인터뷰 준비 및 진행방법을 다룬 4부와 실제 보도자료를 전면 수록한 부록이 돋보인다.

풍부한 현장경험과 이론 탐구를 바탕으로 집필한 책이다. 지은이는 25년간 문화부 기자와 데스크(차장, 부장), 편집국 부국장 및 논설위원을 지내고 다시 2000년 이후 사업국 책임자로서 일해왔다. 그리고 2000년부터 만학(晩學)으로 예술경영과 마케팅 홍보를 공부했다.

인티 보기 1  

선봉희 지음, 2007년 2월 27일, 235쪽, , , , 99원, 153*224mm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미디어 정책과 언론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그중 가장 괄목할 만한 변화는 1990년 소련 대중정보매체법과 1991년 러시아 대중정보매체법의 제정이다. 이들 법은 러시아 시민에게 그동안 억압되었던 표현의 자유와 국가 소유였던 언론매체의 소유를 보장해 주었다. 이 책에서는 이들 법이 지난 20여 년간 단계적인 러시아 미디어 모델을 창조하는 데 근거가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x9788956710587.jpg
코리 로젠, 존 케이스, 마틴 스타우버스 (Corey Rosen, John Case, Martin Staubus) 지음, 이동한, 곽주원 옮김, 2007년 02월 26일, 342쪽, , , 99원, 153*224mm

인티 보기 1  

6000216978-1.jpg
SBS 엮음, 2007년 2월 25일, 116쪽, , , 15000원, 151*224mm

미디어 산업·경영·수용자·정책 등에 관한 각종 이슈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저널 ≪미디어 경제와 문화≫가 출간되었다. 이번 5-1호는 ‘오락프로그램 편성비율 규제의 쟁점과 프로그램 분류체계의 과제’,’커뮤니케이션 기업의 합병과 공익기준: FCC의 합병심사서를 대상으로’등 총 2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최윤희 지음, 2007년 2월 21일, 267쪽, , , , 99원, 153*224mm,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던 『국제 PR』의 개정판. 지은이는 어떻게 각 국가가 지닌 독특한 문화, 사회, 정치, 경제, 매체구조 및 비즈니스 관행을 반영해야 하는지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 개정판에서는 국제 PR과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연계성을 구체화하고, 국제 PR을 문화적 관점에서 논의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½ºÇÇÄ¡_Ư°­_°³Á¤ÆÇ(ÀçÆÇ)_Ç¥Áö_ouline
백미숙 지음, 2007년 2월 20일, 244쪽, , , , 99원, 153*224mm

전인적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스피치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썼다. 따라서 스피치를 배우려는 사람이면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을 아주 간결하고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다.

1장에서는 스피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스피치의 개념, 기능, 교육적 기대 효과, 구성 요소, 준비 단계를 다루었다. 스피치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스피치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스피치의 원리를 배우기 위한 토대가 된다.

2장에서는 스피치를 본격적으로 준비하기에 앞서 고려해야 할 내용인 연사 자신과 청중, 상황에 대해 살펴본다. ‘지피지기 백전불태’라는 말도 있듯이 자신을 알고, 상대를 알고, 상황을 아는 것은 효과적인 스피치를 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3장, 4장, 5장, 6장은 각각 핵심 메시지 개발, 내용 조직, 표현 기법, 실행에 관해 다루고 있는데, 말할 내용을 찾아내는 것에서부터 그것을 논리적으로 배열하고, 그것에 언어의 옷을 입히고, 그것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스피치의 전 과정이 단계별로 소개되어 있다.

7장에는 정보 전달 스피치와 설득 스피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서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정보 전달과 설득에 필요한 원칙과 전략을 제시한다.



8984997935-2.jpg
박지훈 지음, 2007년 2월 15일, 268쪽, , , , 99원, 153*224mm

한국 영화를 만드는 전문가 서른다섯 명과의 인터뷰를 두 권의 책에 나누어 담았다. 인터뷰에 응한 영화인들은 각 파트의 역할과 실전 노하우를 상세하게 들려준다. 각 영역과 관련된 이론과 기술에 대한 내용을 함께 실었다.

1권에서는 각각 프로듀서, 제작실장, 제작부장, 감독, 제1조감독, 연출부 스크립터, 스토리보드 작가, 촬영감독, 촬영 제1조수, 조명감독, 조명 스크립터, 키그립, 스테디 캠, 특수효과, 무술감독, 동시녹음, 시각효과를 담당하는 열일곱 명의 영화인을 만나본다.

2권에서 소개하는 열여덟 명의 영화인은 각각 제작실장, 의상실장/팀장, 분장실장, 프로덕션 디자이너, 소품팀장, 시각효과, DI 팀장, 현상기사, 메이킹 필름, 현장편집, 편집감독, 텔레시네, 음향믹싱, 음악작곡, 네가커팅, 홍보팀장, 영상미디어센터 팀장을 맡고 있다.



래리 A. 사모바 외 (Larry A. Samovar,) 지음, 정현숙·김숙현·최윤희·김혜숙·박기순 옮김, 2007년 2월 14일, 270쪽, , , , 99원, 170*245mm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교재로 현재까지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제5판을 번역한 책이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빠짐없이 다루고 있으며, 실제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실례와 함께 언급하여,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은 4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연구에 관해 소개하고, 2부에서는 문화 간 언어와 비언어 메시지의 차이와 그 영향을 탐구해 본다. 3부는 비즈니스, 교육, 건강관리라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문화 간 다양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문화 간 교류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논하고, 미래의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인티 보기 1  

김광호·정상윤·김규원·안창현·김희경·오경수·신용준·윤종성 지음, 2007년 2월 12일, 286쪽, , , , 25000원, 153*224mm

콘텐츠 산업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를 통해 바람직한 PP 활성화 방안과 우량 PP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PP의 콘텐츠 수급과 편성, 산업 현황을 통해 국내 콘텐츠 산업의 문제점과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며, 미국·일본 등 해외 케이블TV 동향과 법적·제도적 규제와 지원 현황을 살펴본다. 또한 지역채널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과 디지털케이블TV 콘텐츠서비스의 규제 방안도 알아본다.



송낙원 지음, 2007년 2월 12일, 380쪽, , , , 18000원, 153*224mm

영화 연출부 스텝을 위한 현장 지침을 정리한 핸드북. 영화 제작 파트의 역할과 임무, 제작 단계별 필수적인 문서작업, 영화 제작의 기본 이론과 현장 노하우 등을 서술하고, 다양한 사진과 삽화, 표를 곁들였다. 나란히 출간된 『영화 연출부를 위한 필수 문서양식 65>과 서로 보완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기획해 펴냈다.

본문은 총 16개 장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연출부가 알아야 할 영화 제작 파트의 역할과 임무를 소개한다. 2장은 프리 프로덕션 단계, 3장은 프로덕션 단계, 4장은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 연출부들이 작성해야하는 각종 문서 작업에 대해 실제 양식을 제시하고 설명을 했다.

이 각종 양식들은 현재 한국 영화 산업에서 사용되는 문서들을 기준으로 했고, 일부는 할리우드를 비롯한 외국 영화 산업에서 쓰이는 문서 또한 참조했다. 이 모든 양식은『영화 연출부를 위한 문서양식 65』에 실제 작성된 샘플이 실려 있다. 같은 책의 부록 CD에 엑셀 프로그램으로 제공되는 파일을 뽑아 그대로 쓸 수도 있고, 변형해 자신의 프로젝트에 맞는 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5장의 영화언어와 6장의 콘티와 스토리보드, 7장의 영화 연기에는 보다 심도 깊은 논의를 담았다. 8장에는 영화 연출부의 현장 노하우로 슬레이팅, 마킹, 스크립팅의 기본과 실제를 모았다. 미국 영화 연출부/제작부(PA) 현장 매뉴얼을 기본으로 하여 현장에서 필요한 연출부의 자세, 의사소통 능력, 체크 리스트 등도 함께 다룬다.

이어서 연출부가 다른 파트의 작업을 이해하고 작업 진행을 원활히 하며 연출을 보다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 내용이 마련된다. 9장의 촬영, 10장의 조명, 11장의 프로덕션 디자인, 12장의 디지털 영화, 13장의 특수효과, 14장의 현상, 15장의 편집, 16장의 사운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국영화아카데미의 기획 시리즈 제2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엮음, 2007년 2월 10일, 155쪽, , , , 15000원, 153*224mm

<우주소년 아톰>에서 <햄타로>까지, 미국 시장에서 성공한 일본 애니메이션의 전략을 살핀 책. 일본이 국경과 미디어를 넘나드는 콘텐츠 산업에서 어떻게 앞서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세계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버는 캐릭터 베스트 10에 들어간 <유희왕>과 <포켓몬>의 성공 사례도 상세하게 소개된다.



가트 가드너 (Garth Gardner) 지음, 이인재 옮김, 2007년 2월 10일, 236쪽, , , , 99원, 190*230mm

컴퓨터그래픽 디자이너와 애니메이션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일곱 가지에 대한 친절한 설명과 가이드를 해주는 책. ① 전통적인 미술 공부 ② 집중분야의 선택 ③ 전문 분야로서의 역사와 이론 공부 ④ 장비 학습 ⑤ 매체를 이용한 의미 전달 ⑥ 포트폴리오 제작 ⑦ 변화의 흐름에 대한 파악이 그것이다.

또한 컴퓨터그래픽스의 역사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초보자들이 자주 묻는 질문에 답해 주고 있으며,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및 시각 효과 등에서 관련 직업을 갖는 것을 도와주고 있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엮음, 2007년 2월 10일, 186쪽, , , , 15000원, 153*224mm

중국에서 애니메이션 비즈니스를 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이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관련 상품 현황, 법규, 앞으로의 전망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무에 필요한 계약서 등의 문서 샘플도 부록에서 제공한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엮음, 2007년 2월 10일, 213쪽, , , , 15000원, 153*224mm

거대한 시장 규모, 세계적인 영향력을 자랑하는 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발전 과정을 소개한다. 망가가 아니메로 넘어가면서 어떻게 산업적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는지, 5가지 특성 및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ÀÌ¡Ŀ¹Â´ÏÄÉÀ̼Ç_Ç¥Áöout [º¯È¯µÊ]
홍명신 지음, 2007년 2월 9일, 200쪽, , , , 99원, 153*224mm,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초고속 고령 사회로 접어드는 한국 노인 문화,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보고서. 지은이는 에이징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정의부터 노인과의 대면 커뮤니케이션, 노인들의 다양한 미디어(책, 잡지,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이용 현황 및 영화,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문화 향유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고찰해 보고 있다.

인티 보기 1   2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