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1


세계는이광고에놀랐다_앞 (1)
유영실 지음, 2007년 5월 21일, 304쪽, , , , 99원, 153*200mm

칸, 클리오, 뉴욕, 아태 광고제 등에서 소위 ‘상 받는’ 크리에이티브들은 무엇이 다를까. 지은이는 ‘품질이 입증된’ 국제 광고제의 수상 작품들을 카테고리별로 묶어 우수 크리에이티브의 15가지 공통점을 뽑아냈다. 우리의 광고를 세계화하고자 하는 예비·현직 광고인에게 유용한 참고자료이다.

인티 보기 1   2  

방송기획제작기초_앞
설진아 지음, 2007년 5월 17일, 351쪽, , , , 22000원, 188*258mm

방송통신 융합시대가 되어도 기획과 제작은 여전히 영상물 창조산업의 핵심이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영상미학과 제작 단계를 섭렵하고 있어야 한다. 이 책은 방송 기획 제작의 기초를 다져주고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알려주는 핸드북이다. 텔레비전 제작을 배우려는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인티 보기 1   2  

문화콘텐트제작_앞
김정우 지음, 2007년 5월 15일, 227쪽, , , , 99원, 153*224mm

콘텐츠의 범주에 들어가는 다양한 장르들에 대한 개별적인 개발 방법론들은 다각도로 개발되어 왔으나 콘텐츠라는 큰 범주 내에서 그것을 개발하는 통합적인 관점의 방법론은 아직도 개발되지 못한 인상이다. 이 책에서는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기초적인 사항들을 콘텐츠 산업화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점검해 보았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미디어와 콘텐츠의 관계에 대해 2부에서는 라이팅이라는 기본적인 기술과 그것에 필요한 자질과 과정들을 3부에서는 콘텐츠 라이팅을 하는 주체에 관하여 4부에서는 하나의 콘텐츠가 어떻게 기획되고, 그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오키 유키히로·기시 시즈에·다나카 히로시 (靑木 幸弘·岸 志津江·田中 洋) 지음, 이수범·강지연 옮김, 2007년 5월 10일, 480쪽, , , , 27000원, 153*224mm

브랜드란 소비자에 의한 상품세계의 인식 방식을 의미한다. 소비자가 어떤 상품세계를 인식하는가, 그것이 브랜드의 본질적인 의미인 것이다. 이 책은 브랜드에 관한 여러 주제 가운데서도 특히 브랜드 구축과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에 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이론편, 방법편, 사례편 3부로 나눠져 있으며, 브랜드 구축의 기본 틀이나 브랜드 구축에서의 광고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비롯해 브랜드를 구축할 때의 구체적인 조사방법과 커뮤니케이션방법의 검토, 그리고 내외의 구체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사례의 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정현선 지음, 2007년 5월 10일, 320쪽, , , , 99원, 153*224mm

미디어 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역사, 사회, 문화적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본문은 먼저 비판적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3가지 모델과 미디어 교육에 대한 문화 연구와 상황학습 이론의 시각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비판적 미디어 분석의 실제를 다양한 문제의식을 제공하며 이야기한다. 특히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접근법이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영국의 학교와 청소년 방송국에서 이루어진 미디어 교육 사례 연구를 통해 면밀히 분석한다.



이각규 지음, 2007년 5월 10일, 305쪽, , , , 99원, 188*258mm

저자의 20여 년 풍부한 현장 경험과 이론을 바탕으로 쓰여진 이벤트 실무 지침서이다. 이벤트 프로젝트 업무의 전체 구조와 흐름을 파악하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그 실제를 보다 생생하게 익힐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각 장 말미에 둔 핵심 포인트와 실무 체크 포인트를 통해 실무자들의 즉각적인 현장 활용을 가능케 했다.

다양한 이벤트 입문자에게는 이벤트프로젝트 업무의 전체구조와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실무자들에게는 현장 업무를 진행할 때마다 필요한 내용을 참고하고 실무체크포인트로 활용하여 성공하는 이벤트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뒀다.



정인숙 지음, 2007년 5월 7일, 317쪽, , , , 99원, 176*248mm

방송정책 연구의 동향과 이론, 방법론을 한눈에 읽을 수 있는 미디어 연구의 길라잡이. 방송정책 결정구조와 정책 과정에 관한 이론 같은 초기 연구부터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매체 도입과 경쟁에 관한 이론, 콘텐츠 공급과 이용에 관한 이론까지 미디어 정책 분야의 배경 이론을 다루었다. 해당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를 사례로 들어 방송정책 연구의 길라잡이가 되도록 구성했다.



신정원·이영주·이동연·심광현·전규찬·임학순·홍성욱·홍성태 지음, 2007년 5월 7일, 234쪽, , , 15000원, 153*224mm

예술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상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연구소 총서> 시리즈.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예술 창작과 유통, 수용 환경 및 이와 연관된 이론, 교육, 정책적 주제들을 제시한다. 예술정책, 예술교육, 예술생산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인티 보기 1  

¼¼»ó¿¡¼­°¡À彬¿îµðÁöÅнó׸¶_Ç¥Áöout [º¯È¯µÊ]
박성현 지음, 2007년 5월 7일, 88쪽, , , , 99원, 143*224mm

디지털 시네마의 핵심 원리를 통하여 동영상의 기술과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영상 콘텐츠의 종류와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향후 한국 영화산업의 미래에 관한 기본 개념을 사진과 함께 압축적으로 제시했다.

영상 제작이나 콘텐츠 비즈니즈 종사자들이 실무에서 자주 부딪히는 궁금증들을 푸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실용 핸드북이다. 영상에 관심은 있지만 영상의 디지털라이징 즉, 동영상에는 아직 익숙지 않은 많은 영상인, 그리고 영상 관련 분야에 입문하려는 예비 영상인, 그리고 오피니언 리더로서 조금 더 앞서 미래의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알아보고자 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씌어졌다.



x9788956710204.jpg
캐롤린 B. 톰슨 (Carolyn B. Thompson) 지음, 김규동 옮김, 2007년 05월 07일, 237쪽, , , 99원, 153*224mm



김희진 지음, 2007년 5월 5일, 308쪽, , , , 99원, 188*258mm

도쿄 디즈니랜드,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비롯한 15개의 일본 테마파크를 분석한 책. 일본의 테마파크는 그 규모나 경제적 측면, 시장 환경이 우리와 비슷한 점이 많다. 소득 증가와 여가생활의 확대로 복합 엔터네인먼트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일본은 훌륭한 벤치마킹 대상이 된다. 지역 문화 개발을 통한 경제 발전을 모색하는 지자체 문화 사업 실무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책.



토마스 가드 (Thomas Gad) 지음, 정연욱 옮김, 2007년 5월 5일, 269쪽, , , , 99원, 153*224mm

책의 목적은 기업이나 상품 그리고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의 차별화 코드를 충분히 이해하고 그것을 마케팅과 기업 경영에 즉시 활용할 수 있게끔 구체적인 툴을 제시하는 것이다.

4-D 브랜딩은 브랜드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혁신적인 네 가지 차원의 모델을 제시한다. 따라서 브랜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비즈니스 활동의 범위와 스펙을 명확하게 해준다.

인티 보기 1   2  

커뮤니케이션북스 편집부 엮음 지음, 2007년 4월 30일, 408쪽, , 22000원, 188*258mm

한국광고홍보학회에서 99년 2월부터 연 4회 발행하는 학회지 9-2호. 지하철 모니터 방송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회사 상하직원의 성 차이에 따른 리더십과 직무만족 연구, 카피라이팅에 있어 통제와 카피산출 유형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이 실려 있다.



영화인지기호학_앞
워렌 벅랜드 (Warren Buckland) 지음, 조창연 옮김, 2007년 4월 27일, 239쪽, , , , 99원, 153*224mm

‘영화인지기호학’이란 한마디로 영화를 인지학 혹은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기호학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196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영화인지기호학의 연구 현황을 살피고, 미국의 인지적 영화이론의 취약점을 조명함으로써, 영화연구에서 후기이론(Post-Theory)의 등장을 예고한다.

책은 ‘인지영화이론’과 ‘현대영화이론’ 간에 전면적 대립은 생산적이지 못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본론으로 들어가 인지과학의 통찰과 언어학, 그리고 기호학을 통합하는 현대영화이론의 영역을 상세히 다룬다.

지은이는 언어분석의 전통과 인지과학 간의 상호 작용을 영화인지기호학의 작업에 유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콜린(M. Colin)의 인지적 영화 의미론, 카세티(F. Casetti)와 메츠(C. Metz)의 영화 언명이론, 오딘(R. Odin)의 인지 화용론적 영화이론, 콜린과 샤토우(D. Chateau)의 인지적 영화 구문론 연구들을 촘스키(N. 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의 틀 속에서 발전시킨다.



듣기_표지_최종_0404_앞
주디 브라운넬 (Brownell, Judi) 지음, 이시훈·한주리 옮김, 2007년 4월 20일, 559쪽, , , , 99원, 170*245mm

잘 듣기 위해서는 청취, 이해, 기억, 해석, 평가, 반응 등 일련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 점에서 출발한 이 책은 3부에 걸쳐 듣기에 대한 개론적 논의, HURIER 모델과 관련된 듣기의 원칙과 기술, 관계 형성을 위한 반응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듣기 방법을 소개한다.

10개의 장마다 풍부한 사례분석, 기술 소개, 응용, 자기 평가, 개별 연습문제와 그룹 연습문제들을 제시하여, 학생과 교사들의 학습교재는 몰론 일반인들의 자기계발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3  

김정섭기자의-산업리포트_표지_out_앞
김정섭 지음, 2007년 4월 20일, 448쪽, , , , 99원, 176*248mm

이 책은 주5일 시대를 맞아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한국의 미디어-엔터테인먼트산업의 최신 현장 정보와 이슈, 현황을 제시하며 한류산업의 오늘과 내일을 다각도로 분석, 전망하고 있는 책. 지상파방송-케이블TV-지상파DMB-통신사-신문사-영화업계가 상호작용하며 진화하고 있는 모습을 해부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