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7


8984991406-2.jpg
천성호 지음, 2009년 2월 27일, 774쪽, , , 99원, 153*224mm,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개화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110년에 이르는 한국 야학운동사를 현장실천가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했던 야학을 통해 야학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아울러 시대의 변화와 함께 앞으로 야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도 전망해 본다.

인티 보기 1  

야학비판_표지_앞_0708
이장원 지음, 2009년 2월 25일, 176쪽, , , 15000원, 153*224mm

1980년대 팸플릿 형태의 복사물로 나와 운동권 학생들 사이에서 은밀히 돌아다니던 ‘야학비판’의 원문을 복원했다. 이 팸플릿은 ‘무림-학림’에 이어 ‘야비-전망’으로 이어지는 학생운동 논쟁에 불을 당겼다. 훼손된 원문을 복원해 그대로 살렸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의 각주를 일부 추가했다. 1980년대 야학운동과 학생운동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하이퍼텍스트3.0
조지 P. 란도 (George P. Landow) 지음, 김익현 옮김, 2009년 2월 20일, 662쪽, , , , 99원, 153*224mm,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자크 데리다의 ‘탈중심’과 롤랑 바르트의 ‘읽기’ 텍스트 대 ‘쓰기’ 텍스트 개념을 중심으로 하이퍼미디어에서의 현대 문학이론을 다루는 책이다. 특히 하이퍼텍스트의 테크놀로지와 형식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인터넷 관련 테크놀로지의 전 지구적 확산과 사회적·정치적 함의를 살펴본다.

인티 보기 1  

VOD
황부군·최성진 지음, 2009년 2월 17일, 230쪽, , , , 99원, 153*224mm

이 책은 방송통신 융합에 의해 나타난 새로운 유형인 VOD 서비스의 종류와 VOD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VOD 시스템 및 유무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 다룬다. 국내외 VOD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국내 사업자 기반의 VOD 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VOD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인티 보기 1   2  

0324_명심보감
범입본 (范立本) 지음, 조기영 옮김, 2009년 2월 15일, 203쪽, , , , 12000원, 128*188mm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초학 입문용 교재로 손꼽히는 <명심보감>. 여러 판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청주본을 완역했다. 불교 관련 내용이 거의 누락되어 있는 초략본과는 달리 완본인 청주본은 유교·불교·도교의 내용을 아우르고 있어 동양사상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1000개가 넘는 상세한 주석을 통해 다른 중국 고전과 <명심보감>의 다른 판본과의 비교를 꾀했다.

인티 보기 1  

0330_인간의_삶
레오니트 안드레예프 (Леонид Н. Андреев) 지음, 이수경 옮김, 2009년 2월 15일, 142쪽, , , , 12000원, 128*188mm

창작된 지 100년이 넘었지만 <인간의 삶>이 제기하는 인생의 본질적 문제는 오늘도 생생한 현재성을 유지하고 있다. 유려한 번역은 안드레예프의 문체까지 섬세히 전달한다. 솔직하고 진지한 담론을 심도 있게 분석한 작품 해설은 안드레예프 자신과 그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처음 읽으면 난센스 같고, 다시 읽으면 불쾌한 난센스 같고, 서른 번 정도 읽어야만 이 작품을 바보 천치가 아닌, 자유로운 형식의 희곡을 추구하는 인간이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티 보기 1  

한국사회의미디어출현과수용
김영희 지음, 2009년 2월 6일, 364쪽, , , 99원, 153*224mm,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2010년 한국언론학회 희관언론상

우리나라에 신문, 잡지, 서적, 라디오, 텔레비전은 언제, 어떻게 등장했을까? 최초의 근대 신문이 등장한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와 미군 점령기를 거쳐 텔레비전이 확산된 1970년대까지 한국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현상을 고찰한다. 각 시기의 매체 보급 실태와 수용 양상을 살펴 미디어가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사회적·역사적으로 분석한다.

인티 보기 1   2  

한국광고홍보학보 11-1
한국광고홍보학회 지음, 2009년 1월 30일, 344쪽, , , 22000원, 176*248mm



316동물철학_아웃
장 바티스트 드 라마르크 (Jean-Baptiste de Lamarck) 지음, 이정희 옮김, 2009년 1월 15일, 221쪽, , , , 99원, 128*188mm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과는 다른 진화론인 개체의 필요에 의해 생물이 진화한다는 획득형질 이론을 담고 있다. 또한 독립된 과학으로서 생물학의 기반을 잡고, 심리학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의 이론은 용어의 해석이 애매하고, 오해의 소지가 많다는 맹점을 지니고 있지만 이를 고려하고 보면, 생명에 대해 일생을 바쳐 진지하게 탐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던 한 사상가의 고뇌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인티 보기 1   2   3  

지만지드라마조이카의아파트_앞표지_21024_20190703
미하일 불가코프 (Михаил А. Булгаков) 지음, 정막래 옮김, 2009년 1월 15일, 194쪽, , , 99원, 128*188mm

20세기의 도스토옙스키라고 불리는 불가코프는 이미 장편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는 3막으로 구성된 이 희곡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속물적인 모습과 세태풍자를 통해 1920년대 소비에트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현상을 문학적으로 날카롭게 표현하고 있다.



314약자들의_힘_아웃
아나 제거스 (Anna Seghers) 지음, 장희창 옮김, 2009년 1월 15일, 218쪽, , , , 99원, 128*188mm

역사의 주체는 과연 누구인가. 왕조 중심, 권력 중심의 역사관이 아니라 민중들, 약자들의 존재야말로 역사의 주체였음을 증언했던 작가 아나 제거스. 이 작품은 총 아홉 개의 이야기로 구성된 원전 가운데 그 문제의식을 잘 보여주는 여섯 개의 이야기만 선별해 번역한 것이다. 우리는 이 작품에 나타난 현실 상황에 대한 묘사와 생동감 있는 등장인물을 통해, 그들의 아픔과 좌절에 공감하면서도 그 아픔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홍보학연구_12-2호_표1
한국홍보학회 지음, 2008년 12월 31일, 182쪽, , 25000원, 153*224mm

≪홍보학연구≫ 12권 2호이다. ≪홍보학연구≫는 매년 2회씩 발간하고 있으며 홍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인티 보기 1   2  

김상미 외 지음, 2008년 12월 30일, 120쪽, , 24000원, 153*224mm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연구의 연구모임에서 나온 성과물을 엮은 연구서이다. 이번 2008년 12월 제4권 2호에서는 사회관계자본과 온라인 커뮤니티 참가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고찰, 디지털 융합시대의 미디어 교차소유 정책, 네트워크 사회의 UCC와 신뢰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콘텐츠 비즈니스 환경 변화와 콘텐츠 동등접근 이슈 등을 분석한다.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엮음 지음, 2008년 12월 30일, 198쪽, , , 21000원, 153*224mm

인티 보기 1  

토머스 포프 (Thomas Pope) 지음, 박지훈·윤용아 옮김, 2008년 12월 30일, 300쪽, , , , 99원, 153*224mm

영화 역사에서 고른 최고의 영화와 최악의 영화 25편을 통해 시나리오 기술을 배우는 책이다. 중견 시나리오 작가 토머스 포프는 시나리오 작업의 짜릿함과 괴로움을 솔직담백하게 펼쳐내며 과연 이 요상한 직업 ‘시나리오 작가’란 무엇인가를 파헤친다.

각 장은 캐릭터 설정부터 이야기의 복선(Sub-plot)을 비롯해 대사 작업의 기초까지, 실제 영화의 장단점을 분석하며 시나리오 작법의 중요 기술을 설명한다. 또한 각 영화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고 할리우드는 과연 어떤 곳인지에 대한 재미있는 일화, 가장 중요하게는 그 영화가 왜 성공하거나 실패했는지에 대한 설명을 덧붙인다.

인티 보기 1   2   3  

정보사회입문_앞표지
이진로 지음, 2008년 12월 30일, 211쪽, , , , 15000원, 153*224mm

정보사회의 주체는 누구인가? 국가, 기업, 시민이다. 인터넷의 민주화는 이들의 참여와 자율, 그리고 실천에 달려 있다. 이 책은 정보사회의 운영과 발전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제공한다. 정보사회의 특징과 기능, 발달 과정부터 이를 바라보는 현대 철학의 담론과 연구 방법을 소개한다. 참여민주주의에서 인터넷의 역할과 가능성, 인권 보호를 위한 인터넷 규제 방안도 알아본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