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2


김하수 지음, 2008년 7월 30일, 257쪽, , , , 99원, 153*224mm

인티 보기 1  

김하수 지음, 2008년 7월 30일, 240쪽, , , , 99원, 153*224mm

인티 보기 1  

스튜어트 쿠퍼 (Stuart Cooper) 지음, 최준혁·신태식·유영석·이지원·신중호 옮김, 2008년 7월 30일, 325쪽, , , , 99원, 153*224mm

스테이크홀더란 누구인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스테이크홀더와 어떤 관계가 있나? CSR활동은 기업의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스테이크홀더 개념으로 새롭게 접근한다.

이 책은 ‘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어떻게 측정하며, ‘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
한 단면으로 자리잡게 되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세한 사례를 활용하여 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기본지식과 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스테이크홀더 접근법에 대해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인티 보기 1   2  

심약 (沈約) 지음, 김장환 옮김, 2008년 7월 15일, 128쪽, , , , 128*188mm

당(唐)대 이후 망실되어 유문(遺文)으로 전하던 ≪속설(俗說)≫을 다시 하나의 책으로 묶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소개한다. 고개지가 부채에 인물화를 그려주며 말하길, “點睛便語”(≪속설≫ 44p 중). 전하는 이야기는 ‘눈동자를 찍으면 말을 하려 할 것’이란 한마디지만, 그 안에는 그의 회화론이 압축되어 있다. 심약이 전하는 이야기들은 가히 동진(東晉)과 유송(劉宋) 시대 명사들의 점정(點睛)이 되는 언행이라 할 만하다.

인티 보기 1  

박상현·김기환·박정은·연승준·정지선 지음, 2008년 7월 15일, 196쪽, , , , 16000원, 153*224mm

미디어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최신 정보기술과 사회 변화의 흐름을 조망한다. 미디어의 진화가 가져온 변화를 살피면서 역기능을 분석하고, 이용자의 바람직한 태도를 모색한다. 미디어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고 오감을 되찾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데이비드 K. 스토틀러 (David K. Stotlar) 지음, 이재우·이달원·김기만 옮김, 2008년 7월 14일, 189쪽, , , , 99원, 188*258mm

스포츠 비즈니스의 핵심 이론부터 스폰서십 개발, 계약, 관리까지 명쾌하게 정리한 워크북. 스포츠 조직과 스폰서 기업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한다. 특히 풍부한 사례와 작업 계획표를 제공해 창의적인 스폰서십 제안서 작성에 도움을 준다. 스폰서의 시각으로 스포츠 스폰서십에 접근했기 때문에 기업의 목표와 스포츠 스폰서십의 이해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황용석 외 지음, 2008년 6월 30일, 124쪽, , 24000원, 153*224mm



브렌다 로럴 (Brenda Laurel) 지음, 유민호·차경애 옮김, 2008년 6월 25일, 278쪽, , , , 99원, 153*224mm

컴퓨터가 극장이라니? 책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근거로 인간-컴퓨터 상호 관계를 분석한다. 즉 전통적으로 드라마 구조 및 내러티브 문학의 기초 형식을 제공해 온 시학을 인간-컴퓨터 활동 분석에 적용한 것이다. 이를 통해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Human Computer Interface)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책에서 프로그램은 무대 연출을 기록한 대본과 비슷하다. 대본은 극장의 물리적 현실, 즉 무대 장비의 성능과 배우의 능력을 고려해서 작성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대본에 있는 말과 같다. 책은 이러한 대입을 통해 드라마 이론을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적용한다. 드라마 이론을 대입하여 설명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활동, 관계에 대해 보다 본질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티 보기 1   2  

앤디 그린 (Andy Green) 지음, 최윤희 옮김, 2008년 6월 20일, 284쪽, , , , 99원, 153*224mm

창의성은 타고나는 것일까? 20년 이상 PR전문가로 활동한 이 책의 저자 앤디 그린은 ‘그렇지 않다’고 답한다. 이 책은 창의성에 대한 기존의 통념을 깨뜨리고, 창의적 사고를 이끌어내는 5단계(정보, 부화, 개화, 통합, 표현)를 제시한다. 단순히 방법만 소개하는 것이 아니다. PR전문가가 실무에서 맞닥뜨리는 현실적인 문제를 창의력을 발휘하여 풀어나갈 수 있도록 세세한 부분을 짚어준다. 저자가 일러주는 5단계와 초록빛 붉은빛 사고, 큰 상자, 작은 상자 사고 등을 활용하면 사람들이 감탄하는 PR을 기획할 수 있을 것이다.

인티 보기 1  

140정치경제이론_싸바리아웃
윌리엄 제번스 (William S. Jevons) 지음, 김진방 옮김, 2008년 6월 15일, 130쪽, , , , 99원, 128*188mm, 200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윌리엄 제번스는 오스트리아의 카를 멩거, 프랑스의 레옹 발라와 함께 한계효용설을 주장해 오늘날 신고전파 경제학의 토대를 마련했다. 이 책을 통해 ‘한계효용 혁명’이 일어나 고전파 경제학이 힘을 잃고 신고전파 경제학이 오늘날까지도 확고한 위치를 점하는 이유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한계효용설의 한계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인티 보기 1  

이기중 지음, 2008년 5월 30일, 108쪽, , , , 99원, 153*224mm

다큐멘터리 영화 <북극의 나눅>의 제작·수용 과정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조명했다. 로버트 플래허티의 북극탐험과 문화탐구 방식을 고찰하고, <북극의 나눅>의 서사구조와 장면을 분석했다. 사진자료와 우리말 자막을 덧붙였다. 영화학과 인류학을 접목시킨 연구로서, 다큐멘터리 영화사, 영상문화, 문화인류학 교재로 걸맞다.

<북극의 나눅>은 북극의 에스키모 나눅과 그의 가족에 관한 영화이다. 로버트 플래허티는 혹독한 자연환경에서 살아가는 에스키모인의 삶을 카메라에 담아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로 만들었다. 장기간의 참여 관찰과 협력 관계를 통해 완성된 이 영화는 새로운 재현 방식과 극적인 이야기 구조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인티 보기 1  

윤재홍 지음, 2008년 5월 26일, 424쪽, , , , 99원, 188*258mm

방송국 입사, 기사 작성, 뉴스 보도 등 방송기자로 활동하기 위해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한다. 2002년 출간했던 책을 개정해 최근의 KBS뉴스 편집 큐시트와 방송 기사를 선별하여 수록했다. 방송기자를 준비하는 지망생들과 기업ㆍ기관의 홍보 담당자들이 방송기자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창훈 지음, 2008년 5월 19일, 292쪽, , , , 99원, 153*224mm

방송기자가 알아야 할 디지털 뉴스의 핵심 정보를 정리한다. 달라진 취재·제작 환경과 방송기자에게 유용한 디지털 취재기법을 소개한다. HD 전환과 테이프리스 기술의 도입에 따른 변화와 문제점을 살피고, 새로운 뉴스 제작 시스템으로 디지털 뉴스룸을 소개한다.



이영성 지음, 2008년 5월 16일, 168쪽, , , , 99원, 148*224mm

한국의 저널리스트가 자신의 지난날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말한다. 정치부 기자로 당대 거물 정객들을 취재해온 한국일보 이영성 부국장이 털어놓은 나의 저널리즘, 기사, 후회, 보람, 꼭 밝히고 싶었던 이야기를 담았다. 저널리스트를 통해 한국의 현대사를 재조명하는 ‘한국의 저널리스트’ 시리즈 중 하나이다.

저널리즘은 기록이고 증언이며 평가이고 태도이다. 지난 백년 동안 한국은 저널리스트의 나라였다. 망국의 현실을 통탄하고 식민의 모욕을 적시했으며 해방의 미래를 희망하고 조국의 건설을 추동했다. 함께, 조선의 멸망을 앞당기고 제국의 영화를 찬미했으며 민족을 분단을 촉발하고 독재의 명분을 제공했다.

때로는 애국의 길에서, 때로는 매국의 길에서, 때로는 민족의 편에서, 때로는 외세의 편에서 한국의 저널리스트는 민중을 계몽했으며 또, 국민을 배신했다. 권력을 견제하고 문화를 창달하고 경제를 북돋우고 사회를 감시하는 언론의 역할은 크고 무겁다. 언론을 만드는 언론인의 역할과 책임 또한 작다 할 수 없다.

인티 보기 1  

난린 (Nan Lin) 지음, 김동윤·오소현 옮김, 2008년 5월 16일, 416쪽, , , 99원, 153*224mm

자본이론에서 출발하여 이론화 되는 사회자본 개념을 소개한다. 자본, 인적자본, 물적자본, 문화자본 등 여러 자본이론과 비교해 사회자본의 요소와 사회자본이 개인과 집단에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사회자본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사이에 사회자본이 작용하는 방식을 분석한다.

인티 보기 1  

미하엘 쿤치크 (Michael Kunczik) 지음, 윤종석·권혁준 옮김, 2008년 5월 16일, 318쪽, , , , 99원, 153*224mm

지금도 세계 여러 곳에서 국가 이미지 전쟁을 위한 전략을 짜거나 자국의 이익을 건 소리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한 국가의 이미지를 뒤바꾸는 굵직한 사건이 일어나기도 하고, 프로파간다 전략에 따라 국가의 명운이 갈리기도 한다. 이 책은 역사 속 실제 사건과 역사를 만들거나 여론을 조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국가 이미지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소개한다. 또한 국가 이미지 관리 정책의 성공과 실패 사례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 국가 이미지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