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인성독서교육_앞표지_10142_20230630
이영주 지음, 2023년 7월 10일, 170쪽, , , , 128*188mm

수치심을 활용한 인성독서교육의 메커니즘과 이를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논한다. 수치심을 느껴야 할 때 수치심을 느끼는 것은 인간다운 삶과 도덕의 기초다. 도덕 감정으로서 수치심은 독서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으며 이는 인성교육과 직결된다.


 


묵상독서_앞표지_10141_20230629
임성미 지음, 2023년 7월 10일, 128쪽, , , , 128*188mm

묵상독서는 특정 종교의 의례나 지식을 습득하는 독서가 아니다. 자신의 영성을 인식하고 참자기를 만나 충만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독서다. 이 책은 현대적 리터러시 개념 안에서 주의력, 깊은 이해를 위한 체화와 추론, 상상력과 관계 짓기, 변형과 실천을 중심으로 묵상독서를 재해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좋은 삶을 위한 실천적 리터러시 함양을 논한다.


 


지만지드라마에그몬트_앞표지 (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 지음, 윤도중 옮김, 2023년 6월 29일, 252쪽, , , 128*188mm

에그몬트는 주변 인물들을 끌어들이는 마성의 매력을 지닌 기사다. 하지만 바로 그 마성적 매력 때문에 파멸한다. 영웅적 인물의 비극적 종말이라는 청년 괴테의 고전주의 극작 스타일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소동파사선_앞표지
소식 (蘇軾) 지음, 류종목 옮김, 2023. 7. 14., 236쪽, , , , 사륙판(128*188)

중국의 대문장가 소동파(蘇東坡, 1036∼1101)의 사선집이다. 사는 기존의 곡조에 맞추어 써넣은 일종의 대중가요 가사로, 시문을 중시하는 정통 문인들에게 천시당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소동파의 사는 문학적 가치가 드높아 따로 사집으로 간행되었다. 현존하는 소동파의 사 작품 약 350수 가운데 대표적인 것 64수를 선정하여 번역하고 자세한 주석과 해제를 붙였다.



타라바스_앞표지
요제프 로트 (Joseph Roth) 지음, 남기철 옮김, 2023. 7.14., 318쪽, , , , 사륙판(128*188)

요제프 로트가 망명 이후 처음 쓴 장편소설이다. 비극적 운명을 끝내 스스로 완성하고야 만 한 인간을 통해 인류의 죄악과 참회를 다룬 수작이다. 1934년 첫 출간 당시 헤르만 헤세는 스위스 일간지 《바즐러 자이퉁(Basler Zeitung)》에 이 책에 대해 “요제프 로트의 작품 중 최고의 걸작이다. 진정 순수한 소설이다. 참회와 카타르시스를 잘 다루었다”라는 서평을 실으며 극찬했다. 국내 처음으로 선보인다.



악령2(일러스트판)_앞표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Фёдор М. Достое́вский) 지음, 김정아 옮김, 2023년 6월 30일, 816쪽, 128*188mm

지식을만드는지식의 도스토옙스키 4대 장편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다. 백 년 갈 번역을 선보이겠다는 목표로 시작된 시리즈답게 그간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또 해방 이후 지금까지 우리에게 익숙했던 도스토옙스키 번역의 구태를 과감히 부수었다. 독자들은 따뜻하고 친절하고 쉽게 읽을 수 있는 러시아의 천재를 만나고는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책에는 러시아 화가 미하일 가브리치코프의 삽화 40점이 수록되었다. 삽화들은 작품 속 인물들이 전개하는 커다란 사건을 중심으로 제작되어 텍스트로 느끼는 것에 버금가는 시각적 감명을 안겨 준다. 또 상세한 해설과, 작품에 등장하는 소품과 명화의 이미지 자료가 작품의 이해를 돕는다. 원고지 200매에 달하는 해설에서는 작품의 시대적 자전적 배경, 여러 주제와 담론, 인물이 나타내는 상징 등 작품에 대한 심도 깊은 해석을 접할 수 있다.



악령1(일러스트판)_앞표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Фёдор М. Достое́вский) 지음, 김정아 옮김, 2023년 6월 30일, 880쪽, , , , 128*188mm



또다른사월_앞표지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Edna St. Vincent Millay) 지음, 김영훈 옮김, 2023년 6월 30일, 144쪽, , , , 128*188mm

퓰리처상 시 부문 최초의 여성 수상자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 그녀는 1920∼1930년대 미국 전역을 순회하면서 낭송회를 열었고, 청중은 그녀를 보기 위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완성도 높은 그녀의 초기 시집 《또 다른 사월》의 시는 전통적인 주제인 사랑과 죽음을 다양한 형식에 담았다. 역자는 시인의 전기, 일기, 연인의 글 등 책 5권을 참고해 원고지 63매 분량의 지은이 소개를 작성했다. 국내에서 가장 충실하게 밀레이를 소개하는 글이다.



문심조룡금역(하)_앞표지
저우전푸 (周振甫) 지음, 배득렬 옮김, 2023. 7. 10, 466쪽, , , , 128*188mm

중국의 대표적인 문학 이론서, ≪문심조룡≫을 현대어로 풀이하다
≪문심조룡≫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문학가 유협(劉勰)이 쓴 문학 이론서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문 평론서이자 고전 문학사상 손꼽히는 걸작이다. 상하권 각 25편씩 총 50편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권에서는 문학의 총론과 문체론, 하권에서는 창작론과 문학사관, 작가론, 감상론, 작가 품덕론을 다뤘다. ≪문심조룡 금역≫은 중화서국에서 출간한 <중국고전명저역주총서> 중 하나로, 저명한 중국 고전문학가 저우전푸 선생이 ≪문심조룡≫을 현대어로 풀이하고 상세한 주석을 달았으며, 각 편 앞에 해설을 추가했다.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한중 고전 저작 상호 번역 출판 사업> 대상 도서로 선정되었다. 옮긴이 배득렬 교수는 25년간 ≪문심조룡≫을 연구해 온 전문가로서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간결하고도 정확한 번역을 완성했다. 중국 시문학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이는 물론, 올바른 글쓰기를 배우고 싶은 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문심조룡금역(상)_앞표지
저우전푸 (周振甫) 지음, 배득렬 옮김, 2023. 7. 10, 524쪽, , , , 128*188mm

중국의 대표적인 문학 이론서, ≪문심조룡≫을 현대어로 풀이하다
≪문심조룡≫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문학가 유협(劉勰)이 쓴 문학 이론서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문 평론서이자 고전 문학사상 손꼽히는 걸작이다. 상하권 각 25편씩 총 50편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권에서는 문학의 총론과 문체론, 하권에서는 창작론과 문학사관, 작가론, 감상론, 작가 품덕론을 다뤘다. ≪문심조룡 금역≫은 중화서국에서 출간한 <중국고전명저역주총서> 중 하나로, 저명한 중국 고전문학가 저우전푸 선생이 ≪문심조룡≫을 현대어로 풀이하고 상세한 주석을 달았으며, 각 편 앞에 해설을 추가했다.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한중 고전 저작 상호 번역 출판 사업> 대상 도서로 선정되었다. 옮긴이 배득렬 교수는 25년간 ≪문심조룡≫을 연구해 온 전문가로서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간결하고도 정확한 번역을 완성했다. 중국 시문학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이는 물론, 올바른 글쓰기를 배우고 싶은 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찰스테일러_앞표지_08911_20240222
이연희 지음, 2023년 7월 7일, 124쪽, , , 128*188mm

찰스 테일러는 삶의 방향을 찾지 못해 방황하는 현대인에게 ‘선’을 탐구하고 명료화할 것을 제안한다. 선이야말로 자아 정체성의 핵심이며, 나 자신을 성찰하고 타자와 대화할 수 있는 토대이기 때문이다. 테일러에게 도덕적 삶이란 곧 ‘공동체 안에서 발생한 선을 탐색해 실천하는 삶’이다. 이 책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구체적 해답을 제공하는 테일러의 윤리 사상을 열 가지 키워드로 해설한다. 모든 개인이 고립된 삶을 넘어 윤리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담았다.


 


지만지드라마종이풍선_앞표지 (2)
기시다 구니오 (岸田國士) 지음, 임세륜 옮김, 2023년 6월 15일, 110쪽, , , 128*188mm

기시다 구니오는 가부키와 신파가 주를 이루던 1920년대 일본 연극계에 인간 심리와 생활을 다룬 최초의 희곡들로 새바람을 일으켰다. 후대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에 동조한 행보를 냉정히 평가하면서도 일본 근대 연극의 기틀을 다진 기시다 구니오의 공로를 인정해 신진 극작가에게 최고 영예인 ‘기시다구니오희곡상’을 제정했다. ‘기시다구니오희곡상’ 수상 작가와 작품은 출판, 공연을 통해 활발히 소개되어 온 반면 기시다 구니오와 그의 작품들이 한국에 소개되는 것은 한일 연극 교류 20년 만에 처음이다.



진헌장시선_앞표지
진헌장 (陳獻章) 지음, 신민야 옮김, 2023. 6.23., 174쪽, , , , 사륙판(128*188)

《진헌장집》에 수록된 2000여 수의 시 중에서 50수의 작품을 선별해 수록한 책으로, 명대의 이학가였던 진헌장의 시들을 소개하는 책이다. 제1부 ‘전원에서 자연을 벗 삼다’는 주로 전원시, 영물시, 산수시 등에서 자연을 벗 삼아 은일 생활을 노래한 시 20수를, 제2부 ‘아끼는 사람들과 마음을 나누다’는 교유시 중 특별히 아꼈던 제자와 벗들에게 쓴 시 17수를, 제3부 ‘삶과 역사를 노래하다’는 삶의 희로애락을 노래한 영회시 11수와 남송의 멸망을 노래한 영사시 2수를 수록했다.



지만지드라마이런노래_앞표지_21236_190823
정복근 지음, 2019년 8월 30일, 80쪽, , 128*188mm

정치적 소용돌이에서 남편과 자식을 지키려던 한 여인의 과거사를 통해 한국 현대사를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지만지드라마우리교실_앞표지
타데우시 스와보지아네크 (Tadeusz Słobodzianek) 지음, 황동근 옮김, 2023년 6월 10일, 168쪽, , , 128*188mm

폴란드 극작가 타데우시 슬라보지아네크의 대표작 <우리 교실>은 폴란드의 한 작은 마을에서 함께 자란 열 명의 동급생들이 역사적 사건을 겪으며 갈등하고 화해하고 복수하고 용서하게 되는 이야기를 14개 에피소드로 엮은 작품이다. 초연 이후 영국국립극장을 비롯해 현재까지 미국, 캐나다, 브라질, 일본, 스페인, 이탈리아, 헝가리, 스웨덴, 체코, 리투아니아, 이스라엘 등 세계 각지에서 공연되고 있다. 2010년 폴란드 대표 문학상인 “나이키 문학상”을 수상했다. 이 상이 희곡에 수여된 것은 제정 이후 20년 만에 처음이었다.



지만지드라마제3제국의 공포와 참상_앞표지
베르톨트 브레히트 (Bertolt Brecht) 지음, 이승진 옮김, 2023년 5월 31일, 288쪽, , , 128*188mm

망명길에 오른 브레히트가 매체에서 접한 나치 독일의 실상을 몽타주 기법으로 고발한 작품. 아들이 자신들을 밀고할까 공포에 떠는 부모, 남편을 믿지 못하는 부인, 고기 대신 자신의 몸뚱이를 걸어 놓는 정육점 주인 등 서로 다른 27개 장면은 ‘허위’라는 테마를 공유하며 히틀러 치하의 제3제국이 독일인들을 공포와 참상 속에 몰아넣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 준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