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3


이창건동시선집
이창건 지음, 2015년 4월 15일, 152쪽, , , , 18000원, 128*188mm

1982년 아동문예신인상에 당선하고, 한국아동문예작가상, 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 한국아동문학상, 소천아동문학상, 우리나라 좋은 동시문학상 등을 받은 시인 이창건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거미>, <첫 나비>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준섭동시선집
이준섭 지음, 2015년 4월 15일, 222쪽, , , , 18000원, 128*188mm

1980년 <강강수월래>로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시 부문에 당선하고, 청구아동문학상, 한국아동문학상, 한정동아동문학상, 방정환아동문학상 등을 받은 시인 이준섭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강강수월래>, <깨꽃>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이준관동시선집
이준관 지음, 2015년 4월 15일, 176쪽, , , , 18000원, 128*188mm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시로, 1974년 ≪심상≫ 신인상에 시로 당선하고, 창주아동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방정환문학상, 소천아동문학상, 펜문학상, 어효선아동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영랑시문학상 등을 받은 시인 이준관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길을 가다>, <초록색 크레용 하나로>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2  

이종택동시선집
이종택 지음, 이준관 엮음, 2015년 4월 15일, 214쪽, , , , 18000원, 128*188mm

1950년대에 최계락, 이종기와 함께 삼가 시인(三家 詩人)으로 불리며, 참신한 시적 형상화, 세련된 언어 구사, 감각과 이미지 등을 갖춘 시적 동시를 써서 본격동시의 시대를 여는 데 이바지한 시인 이종택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울가 말가>, <사과와 어머니> 등 그의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종기동시선집
이종기 지음, 김용희 엮음, 2015년 4월 15일, 238쪽, , , , 18000원, 128*188mm

일반 동시뿐 아니라 장동시, 얘기동시, 사진과 함께 보는 시 등 다양하게 시적 양식을 실험해 1950∼1960년대 한국 동시문학 장르 확장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한 시인 이종기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바다의 노래>, <꽃을 꺾어 바치면서> 등 그의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정석동시선집
이정석 지음, 2015년 4월 15일, 186쪽, , , , 18000원, 128*188mm

1983년 <할머니>로 ≪소년중앙≫ 문학상 동시 부문에, 1996년 <양말을 기우며>로 ≪무등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한 시인 이정석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오늘 일기>, <할머니>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 10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일래한인현동시선집
이일래·한인현 지음, 장정희·전병호 엮음, 2015년 4월 15일, 140쪽, , , , 18000원, 128*188mm

국민 동요 <산토끼>의 시인 이일래, <섬집 아기>의 시인 한인현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이일래의 <산토끼>, 한인현의 <섬집 아기> 등 그들이 남긴 동시 전편이 각 16편, 61편씩 수록되어 있다. 표기는 초판본을 따랐다.

인티 보기 1  

이응창송명호동시선집
이응창·송명호 지음, 장정희·전병호 엮음, 2015년 4월 15일, 208쪽, , , , 18000원, 128*188mm

1920년대 우리나라 창작 동요의 개척기의 숨은 공신이자 대구 아동문학을 일군 ‘고추잠자리’의 시인 이응창, 내일의 주인공인 어린이에 대한 큰 기대와 희망을 잃지 않은 시인 송명호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이응창의 <고추잠자리>, 송명호의 <봄은 뺑뺑이말 할아버지> 등 그들의 대표 동시가 50여 편씩 수록되어 있다.



이오덕동시선집
이오덕 지음, 전병호 엮음, 2015년 4월 15일, 294쪽, , , , 18000원, 128*188mm

어린이 글쓰기 교육과 우리말 연구에 힘썼던 이오덕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오덕 동시는 세상 만물의 생명이 무한 존중되는 세상을 꿈꾼다. 이 책은 생전 시인이 낸 동시선집 ≪개구리 울던 마을≫(1981)을 되살렸다. <개구리 소리 1>, <봄아, 오너라> 등 시인이 고른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이상현동시선집
이상현 지음, 2015년 4월 15일, 206쪽, , , , 18000원, 128*188mm

196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동시 <수레>가 당선하고, 세종아동문학상, 소천아동문학상, 한국문학상, 김영일아동문학상, 한국동시문학상, PEN문학상 등을 받은 시인 이상현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스케치>, <낮달>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이상문동시선집
이상문 지음, 2015년 4월 15일, 164쪽, , , , 18000원, 128*188mm

1986년 부산문화방송 주최 신인문예상 동시 부문에, 1988년 계간 ≪아동문학평론≫ 신인문학상 동시 부문에 당선하고, 새벗문학상, 영남아동문학상, 부산아동문학상, 은하수동시문학상 대상 등을 받은 시인 이상문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하늘>, <소나무 꽃가루 날아와>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이봉춘동시선집
이봉춘 지음, 2015년 4월 15일, 186쪽, , , , 18000원, 128*188mm

1976년 월간 ≪아동문예≫에 동시 <엽서>와 <공>으로 추천 완료하고, 한국아동문학상, 한정동아동문학상, 광주문학상 등을 받은 이봉춘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엽서>, <비 오는 날의 풀잎>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이경애동시선집
이경애 지음, 2015년 4월 15일, 156쪽, , , , 18000원, 128*188mm

1996년 동시 <엄마 목소리> 외 2편으로 월간 ≪아동문예≫을 통해 등단하고, 눈높이아동문학상, 단국문학상, 열린아동문학상 등을 받은 이경애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귀 기울여 봐>, <지구본 때문에>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윤이현동시선집
윤이현 지음, 2015년 4월 15일, 168쪽, , , , 18000원, 128*188mm

1976년 월간 ≪아동문예≫에 동시 <한낮>으로 등단하고, 전북아동문학상, 한국아동문학작가상, 전북문학상, 한국동시문학상, 김영일아동문학상, 한국불교아동문학상 등을 받은 윤이현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산안개>, <그림자로 대답하기>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윤석중동시선집
윤석중 지음, 이준관 엮음, 2015년 4월 15일, 166쪽, , , , 18000원, 128*188mm

우리나라 최초의 동시집 ≪잃어버린 댕기≫를 내고 동시라는 개념을 정착시켰으며, 한평생 동요, 동시를 쓰며 아동문학의 기틀을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한 선구적인 아동문학가 윤석중의 대표작 선집이다. 그는 평생을 어린이를 위한 노래를 쓴 공을 인정받아 아시아의 노벨상이라는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했다. 이 책에는 <퐁당퐁당>, <넉 점 반> 등 그의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윤삼현동시선집
윤삼현 지음, 2015년 4월 15일, 156쪽, , , , 18000원, 128*188mm

1982년 ≪광주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뻥튀기>가,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달이 그린 수채화>가 당선하고, 남촌문학상, 전남문학상, 광주광역시 예술공로상, 한국아동문학상, 광주일보문학상, 무등문학상 등을 받은 시인 윤삼현의 대표작 선집이다. 이 책에는 <뻥튀기>, <달이 그린 수채화> 등 시인이 가려 뽑은 대표 동시가 100여 편 수록되어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