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노인과스마트미디어교육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111
장유정 지음, 2017년 1월 25일, 120쪽, , , , 99원, 128*188

인티 보기 1  

한국의극장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118
위경혜 지음, 2017년 1월 31일, 102쪽, , , , 99원, 128*188mm

대다수 관객이 영화와 일차적 관계를 맺는 곳은 극장이다. 극장은 그것이 자리한 지역과 도시 그리고 지역민이자 관객과 연관을 맺으며 자신의 역사를 이뤄 왔다. 이 책은 기존 서울 중심의 역사 서술을 재고하고 지역성 규명을 목표로 한국 극장의 사회문화사를 탐구한다. 도시의 성격과 공간 변화의 맥락에서 극장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 일상생활 세계의 경험 공간으로서 극장의 의미와 장소성을 기술한다. 극장 문화의 다층적 양상에 대한 이해는 지역의 대중문화 발굴과 문화적 정체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 시대 개인과 공동체를 아우르는 대안적 영상 문화의 생산과 향유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인티 보기 1  

이정기처럼사회과학논문쓰기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118
이정기 지음, 2017년 2월 1일, 126쪽, , , , 99원, 128*188mm

사회과학 논문은 사람과 사회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한다.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연구를 지향한다. 때로는 진학, 학위 취득, 취업, 승진을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논문쓰기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사회과학 논문이 그저 딱딱한 학술적 글쓰기로 간주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사회과학 논문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생생한 삶의 현장을 주제로 하고,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글쓰기와 다르지 않다. 어떻게 해야 어렵지 않고 즐거운 사회과학 논문쓰기가 가능해질까. 최근 7년간 매년 10편 이상의 언론, 광고학 분야 사회과학 논문을 써 온 저자의 실제 논문 작성 사례를 통해 그 답을 찾아보자.



뷰티브랜드가되다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116
마크 턴게이트 (Mark Tungate) 지음, 이상훈·이환희 옮김, 2017년 2월 20일, 368쪽, , , , 99원, 153*224mm

고대 이집트의 탄산소다 화장수부터 21세기 나노 화장품까지, 아름다움 추구는 인간의 본성이다. 역사와 함께한 아름다움의 추구는 그렇게 뷰티 브랜드가 되었다. 글로벌 뷰티 브랜드는 어떻게 탄생하고 성장했을까? 저자는 뷰티의 역사에서 출발해 뷰티 브랜드와 창업자의 스토리, 아름다움을 향한 분투, 마케팅 전략, 경영 철학까지 깊이 있게 분석한다. 이 책을 통해 당신은 건강, 환경, 윤리 문제 등 인간과 다양하게 연결된 뷰티 산업의 미래까지 전망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B1A4B0EDC8ABBAB8C7D0BAB85F31382D335FC7A5C1F6325F323031363038303
2016년 7월 30일, 268쪽, , 크라운판176*248

광고홍보를 현대 사회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사회학적 연구 성과를 담는다. 전국에 있는 40여 개 광고홍보 관련 학과의 거의 모든 교수가 ‘한국광고홍보학회’에 참여하고 있어 광고 관련 최신 이론이나 연구 성과가 가장 먼저 실린다고 할 수 있다. 광고와 PR 이론 및 방법론 개발, 광고와 마케팅 이론의 실증적 검증, PR 관련 사회적 현상의 이해를 위한 이론 개발 등을 다룬다.



한국사전학_28호_표지앞
2016년 11월 30일, 218쪽, , 신국판153*224

한국의 사전 및 언어 정보 문화를 높이기 위해 사전의 이론과 사전 편찬 방법론은 물론 언어정보 관련 제 분야에 대한 학술적, 기술적, 응용적 연구과 개발 결과를 싣는다.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실천의 성과를 기초로 삼아 사전학 및 사전편찬학을 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참신한 학문으로 정립시키고자 한다. 세계사전학회와의 교류로 한국 사전의 수준이 세계 다른 사전을 넘어설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B1A4B0EDC8ABBAB8C7D0BAB85F31382D345FC7A5C1F6315F323031363131303
2016년 10월 30일, 402쪽, , 크라운판176*248

광고홍보를 현대 사회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사회학적 연구 성과를 담는다. 전국에 있는 40여 개 광고홍보 관련 학과의 거의 모든 교수가 ‘한국광고홍보학회’에 참여하고 있어 광고 관련 최신 이론이나 연구 성과가 가장 먼저 실린다고 할 수 있다. 광고와 PR 이론 및 방법론 개발, 광고와 마케팅 이론의 실증적 검증, PR 관련 사회적 현상의 이해를 위한 이론 개발 등을 다룬다.



애니메이션연구_39_표지앞
2016년 9월 30일, 316쪽, , 사륙배판형188*257

21세기 디지털콘텐츠는 국가적 핵심 산업이자 미래 신동력 산업으로서 집중적인 육성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의 중요성이 본격화되면서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한 뉴미디어 및 새로운 영상 패러다임은 기존의 영상 체계를 전환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독자적이고 차별적인 연구 성과는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국애니메이션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애니메이션 연구≫는 애니메이션학의 정립과 애니메이션 산업의 육성을 위해 심도 깊은 이론과 연구 논문을 소개한다.



광고연구_110호_표지앞
2016년 9월 30일, 166쪽, , 크라운판176*248

1988년 창간된 ≪광고연구≫는 창의적인 광고이론을 개발하고 광고의 학문적 체계 정립을 통해 우리나라 광고산업 발전을 이끌고 있다. 우리나라 광고학 최초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서 전문성과 게재논문의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B1A4B0ED5052BDC7C7D0BFACB1B85F392D335FC7A5C1F6315F3230313630393
2016년 8월 30일, 290쪽, , 188*258

≪광고PR실학연구≫는 “경전 해석 위주의 비현실적인 학문 풍토를 반성하고 경학(經學)을 넘어선 경세학(經世學)을 꿈꾸었던 실학자들의 포부를 우리의 공부에 접맥하고자”한다. 그리하여 연구 논문이 제시하는 광고PR의 실무적 의의를 가장 중요한 평가 준거로 삼는다. ≪광고PR실학연구≫는 이론 그 자체만을 위한 논의의 생산을 지양하며, 현장의 체험에서 얻은 실무적인 노하우와 연구자로서 연마한 지식을 정교하게 조화시킴으로써 광고PR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 주는 동시에 또 하나의 연구 광장을 만들어 가고자 한다.



<C8ABBAB8C7D0BFACB1B85F32302D35C8A35FC7A5C1F6315F323031363132323
2016년 12월 31일, 104쪽, , 사륙배판188*258

한국PR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인 ≪홍보학연구≫는 2016년 10월까지 매년 4회 발간되었다. 그후 격월간으로 발행주기를 늘려 2017년부터는 매년 6회 발간된다.  ≪홍보학연구≫는 PR과 커뮤니케이션, 공중관계 연구 등 홍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홍보학연구≫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미디어 보도 중 publicity에 의한 영향력, 의존 정도, agenda setting과 관련된 문제들
2. PPL, BPL (Brand Placement)
3. 신문사 방송사 등 미디어회사들의 이미지 관리 (명성, 신뢰도, 공중관계성 포함)
4. 미디어 회사들의 대 공중 (독자, 시청자 등) 관계
5. 조직 커뮤니케이션
6. 대 공중 커뮤니케이션 모델, 조사, 등
7. 기업 이미지 광고 (제품광고가 아닌 조직체 광고)
8. 공익 캠페인
9. 정치 캠페인과 광고
10. 채널 브랜딩 관련 이론과 조사들
11. 여론형성과 갈등 등에 관한 문제들/집단간 갈등 포함
12. 사회적 이슈관리와 주창(advocacy) 광고
13. 기타 모든 조직체와 공중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문제들



<C8ABBAB8C7D0BFACB1B85F32302D34C8A35FC7A5C1F6315F323031363131303
2016년 10월 31일, 150쪽, , 사륙배판188*258

한국PR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인 ≪홍보학연구≫는 2016년 10월까지 매년 4회 발간되었다. 그후 격월간으로 발행주기를 늘려 2017년부터는 매년 6회 발간된다.  ≪홍보학연구≫는 PR과 커뮤니케이션, 공중관계 연구 등 홍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홍보학연구≫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미디어 보도 중 publicity에 의한 영향력, 의존 정도, agenda setting과 관련된 문제들
2. PPL, BPL (Brand Placement)
3. 신문사 방송사 등 미디어회사들의 이미지 관리 (명성, 신뢰도, 공중관계성 포함)
4. 미디어 회사들의 대 공중 (독자, 시청자 등) 관계
5. 조직 커뮤니케이션
6. 대 공중 커뮤니케이션 모델, 조사, 등
7. 기업 이미지 광고 (제품광고가 아닌 조직체 광고)
8. 공익 캠페인
9. 정치 캠페인과 광고
10. 채널 브랜딩 관련 이론과 조사들
11. 여론형성과 갈등 등에 관한 문제들/집단간 갈등 포함
12. 사회적 이슈관리와 주창(advocacy) 광고
13. 기타 모든 조직체와 공중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문제들



<C8ABBAB8C7D0BFACB1B85F32302D33C8A35FC7A5C1F6315F323031363039303
2016년 8월 31일, 278쪽, , 사륙배판188*258

한국PR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인 ≪홍보학연구≫는 2016년 10월까지 매년 4회 발간되었다. 그후 격월간으로 발행주기를 늘려 2017년부터는 매년 6회 발간된다. ≪홍보학연구≫는 PR과 커뮤니케이션, 공중관계 연구 등 홍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홍보학연구≫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미디어 보도 중 publicity에 의한 영향력, 의존 정도, agenda setting과 관련된 문제들
2. PPL, BPL (Brand Placement)
3. 신문사 방송사 등 미디어회사들의 이미지 관리 (명성, 신뢰도, 공중관계성 포함)
4. 미디어 회사들의 대 공중 (독자, 시청자 등) 관계
5. 조직 커뮤니케이션
6. 대 공중 커뮤니케이션 모델, 조사, 등
7. 기업 이미지 광고 (제품광고가 아닌 조직체 광고)
8. 공익 캠페인
9. 정치 캠페인과 광고
10. 채널 브랜딩 관련 이론과 조사들
11. 여론형성과 갈등 등에 관한 문제들/집단간 갈등 포함
12. 사회적 이슈관리와 주창(advocacy) 광고
13. 기타 모든 조직체와 공중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문제들



뤼스이리가레_앞표지_초판1쇄_ok_20170116
황주영 지음, 2017년 1월 25일, 130쪽, , 99원, 128*188mm

뤼스 이리가레는 ‘성차의 페미니즘’을 대표하는 철학자다. 철학과 문학에서 미학․신학․건축학․교육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페미니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남성 중심적 담론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 여성 주체성 구축을 위한 탐구, 여성과 남성의 새로운 관계를 위한 윤리적․정치적 제안들은 우리가 여전히 성취하지 못한 ‘여성해방’이라는 과제에 꾸준히 영감을 주고 있다. 한편, 이리가레의 논의는 복잡한 사상적 배경과 난해한 글쓰기 스타일 때문에 여러 오해를 사고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 책은 이리가레의 사상을 10가지 키워드로 풀이한다.

인티 보기 1  

<BEF0B7D0C1A4BAB8BFACB1B85F35332D32C8A35FC7A5C1F6315F32303136303
2016년 8월 31일, 392쪽, , 151*224

≪언론정보연구≫는 1964년 창간되어 국내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언론학 저널 가운데 하나로 지난 40여 년간 꾸준히 발행되어 왔다. ≪언론정보연구≫는 한국언론학회의 ≪한국언론학보(舊 신문학보)≫가 나오지 않던 1960년대 중반 한국 커뮤니케이션 학계를 대표하는 학술지였다. 창간 당시 ≪신문연구소 학보≫란 명칭으로 발행되다가 1994년 31호부터 ≪언론정보연구≫란 이름으로 개명되었으며 2004년 41호부터 연 2회로 증간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BEF0B7D0B0FABBE7C8B85F32342D345FC7A5C1F6315F303136313132392E696
2016년 11월 30일, 150쪽, , 신국판153*224

1993년 여름 창간된 계간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현상, 즉 사회라는 콘텍스트 속에서 언론이라는 텍스트가 갖는 다양한 관계와 그 의미에 관심을 갖는 전문연구자들에게 거침없이 열려 있는 새로운 연구와 논쟁의 장이고자 한다.
≪언론과 사회≫는 ‘사회 속의 언론’을 바라보는 연구자의 시각이나 그것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기반, 그리고 그에 대한 접근방법이 어떠하든 간에 학문적 엄격성과 충실성에 의거하는 한 모든 연구자에게 열려 있는 또 하나의 지적 공간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학술적 포럼을 지향하고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