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6


10남윤선전-님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326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9나나봉전-남원소설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362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8김윤전-꿩전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460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7금향정기1-김유신전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454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6금산몽유록-금행록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444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5국생전-금봉회봉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458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4구운기-국복전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444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3곽부용전-구양공충효선행록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388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2개벽연역-곽낭자전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396쪽, , , 128*188mm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1가루지기타령-개똥추임록_표지_1판1쇄_ok_20171107
조희웅 지음, 2017년 11월 25일, 400쪽, , , 128*188

삼국시대부터 창작된 고전소설은 1900년 ≪연암집≫에 붙인 창강의 ‘호질문발(虎叱文拔)’을 연구의 시작으로 본다. 그로부터 100년이 흘렀다. 1000년의 자료, 100년의 연구가 이 사전에 담겨 있다.



소셜피플2
장경아·임재훈 지음, 2017년 10월 27일, 198쪽, , 99원, 128*188mm

‘노팜라면’ 사건이 마무리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어느 날, 엄공주의 사외 활동으로 SNS팀에 다시 불똥이 튄다. 임원진들 사이에서 전 직원의 SNS 사용을 강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규제가 자칫 ‘직원 감시’로 비화될 수 있는 상황. 이에 SNS팀은 중앙집권적 감시가 아닌 수평적 자율 규제로 정책 방향을 바꾸기 위해 방법을 고심하게 된다. 빅 브라더에 맞서는 리틀 브라더의 반란, 성공할 수 있을까?



지금당장교육을빅딜하라_앞표지
조기숙 지음, 2017년 11월 7일, 212쪽, , 11000원, 사륙판



11111
김경애 지음, 2017년 11월 24일, 124쪽, , , , 99원, 128*188mm

인티 보기 1  

포시선(재출간)_앞표지_1판1쇄_ok_20171102
에드거 포 (Edgar Allan Poe) 지음, 윤명옥 옮김, 2017년 11월 22일, 178쪽, , , , 99원, 128*188mm

미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이자 비평가로서 19세기 상징주의 예술을 대표하는 에드거 포의 시선집이다. 포는 영혼을 드높이는 아름다움을 인식하고 거기에서 얻는 진리를 비추어 보는 것을 중요시했다. 또한 그의 시는 리듬·음률의 반복으로 음악적 미를 드러내고 시어들에 다양한 색채를 입혀 시각적 미를 확보한다.



해동속소학_앞표지_1판1쇄_ok_20171018
박재형 (朴在馨) 지음, 박문현 옮김, 2017년 11월 13일, 328쪽, , , , 99원, 128*188mm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이란 주자의 ≪소학≫에 이어지는 ‘조선 소학’이란 의미다. 19세기 말에 박재형이 청소년들의 몸과 마음을 닦고 학문 연구의 기틀을 잡아 주기 위해 우리나라의 훌륭한 선비들과 도덕적으로 모범이 되는 사람들의 미담과 교훈적인 말들을 가려 모아 펴낸 ‘우리 소학’이다. 사회 윤리와 도덕이 길을 잃은 오늘날, 다시 한번 되새겨볼 만한 내용이다. 총 410장 중 223장을 발췌 번역했다.



게잡이공선_앞표지_1판1쇄_ok_20171031
고바야시 다키지 (小林多喜二) 지음, 황봉모 옮김, 2017년 11월 15일, 168쪽, , , , 99원, 128*188mm

≪게잡이 공선≫은 고바야시 다키지의 대표작이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인정받았다. 원양어선에서 행해지는 각종 착취와 학대에 굴종밖에 할 줄 모르던 최하층 노동자들이 눈을 뜨고 힘을 모아 자본가에게 맞선다. 제국주의적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노동자들의 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