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9791143001825
L. 프랭크 바움 지음, 강석주 옮김, 2025년 6월 28일, 296쪽, , , , 128*188mm

첫 출간 이후 1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는 프랭크 바움의 오즈 시리즈 제4권이다. 판타지 고전의 면모를 회복해 1908년도 초판본 모습 그대로 정확하고도 아름답게 부활했다. 독자들은 바움에게 “도로시가 없으면 진정한 오즈의 이야기가 아니에요”라고 할 만큼 도로시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표현했다. 이에 화답하듯 바움은 다시 도로시를 주인공으로 세우고 1편 《오즈의 위대한 마법사》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사기꾼 마법사 오즈도 다시 등장시켜 도로시와 또 한번 모험을 하게 한다. 고전 독자를 위해 축약, 발췌, 과장 없이 충실하게 번역했으며 존 R. 닐의 삽화 69점을 완전 수록했다. 특히 이번 책은 아름다운 수채화 삽화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9791143005052
김용석 지음, 2025년 7월 7일, 149쪽, , , 128*188mm

AI가 원하는 답을 내놓지 못하는 이유는 질문이 잘못됐기 때문이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프롬프트 작성 원칙과 실전 예제를 통해, AI 시대 핵심 역량을 길러준다.



내집을구하고짓고고치기전에꼭봐둬야할것들_앞표지L_02253
최산호 지음, 2024년 3월 30일, 701쪽, , 128*188mm

일상생활에서 늘 접하고 경험하고 느끼는 집에 대한 간단한 질문과 해답을 정리한 강의 노트이자 수필이다. 건축학의 학문적 바탕 위에서 집의 인문학적, 감성적 의미를 분석하고 인간을 위한 집 짓기의 해법을 찾는 책이다. 집은 단순하게 물리적, 공학적 대상이 아닌 인간의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것을 시종 강조한다. 오늘날 집에 관한 이야기는 정치가나 부동산 전문가들이 독차지하고 있고, 현대인들은 차가운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집을 돈으로만 환산하고 있을 뿐, 사유하고 행복하고 건강하고 자연과 조화되는 진정한 집의 의미를 왜곡한 채 덧없이 위장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한다.



9791143003683
외젠 이오네스코 지음, 오세곤 옮김, 2025년 6월 25일, 183쪽, , , 128*188mm

이오네스코의 〈왕은 죽어 가다〉는 인간의 죽음과 그 수용 과정을 다룬 부조리극으로, 왕 베랑제 1세가 죽음을 선고받고 이를 부정하다 점차 받아들이는 과정을 그린다. 이오네스코는 독특한 연극적 수법을 동원해 죽음을 거부하고 다시 받아들이는 서사를 나선형 구조로 전개해 나가며 극에 유기적 생명력을 부여했다. 베랑제 연작 중 하나.



9791143003805
이천환 지음, 2025년 6월 25일, 227쪽, , , 128*188mm

전 세계는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기술적·정책적 노력을 통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이 만들어 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 도구 역시 인간이 창조한 기술이다. AI 기술이 기후 변화 대응 활동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균형 있게 분석한다.



AI와한국현대시_앞표지_36341_20250613
정끝별 지음, 2025년 6월 25일, 129쪽, , , 128*188mm

AI와 한국 현대시의 관계를 탐구한다. AI가 시의 언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재구성하는지를 살펴보며, 그것이 인간 시인의 창작과 어떻게 다를지, 혹은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를 고찰한다. 또한 AI가 쓴 시와 인간의 시를 비교하고,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창작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담고자 한다.



9791143002006
김찬석, 이현선 지음, 2025년 6월 16일, 159쪽, , , 128*188mm

영화, 게임, 스포츠,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엔터테인먼트는 단순한 여가를 넘어, 사람들의 정체성과 삶의 질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이 책은 AI 시대라는 기술적 전환점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하면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를 지혜롭게 소비할 수 있을지를 깊이 있게 조망한다. 10가지 주요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분야를 중심으로 각 산업의 트렌드 변화, 소비자 심리, 마케팅 전략 등을 다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둘러싼 오늘날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전달한다.



9791143005502
박재현, 백경희, 김윤정, 변경가 지음, 2025년 6월 16일, 129쪽, , , 128*188mm

변호사와 의뢰인과의 신뢰는 대화에서 시작된다. 이 책은 초보 변호사와 로스쿨 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실전 입문서로, 상담·계약·조언·설득 등 사건 수임 전 과정을 아우르는 대화 전략을 제시한다. 구술 중심의 재판 환경 변화에 대응하며, 공감, 경청, 질문, 비언어 표현 등 실무에 꼭 필요한 소통 기술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9791143002891
이유정 지음, 2025년 6월 16일, 134쪽, , , 128*188mm

디지털 시대 개인정보 보호는 단순한 법적 준수의 문제가 아닌,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신뢰를 좌우하는 결정적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처리와 파기 문제는 더 복잡하고 고도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수적이다. 이 책은 개인정보 파기와 삭제의 개념부터 규제 체계, 쟁점, 글로벌 사례, 기술적 대안, 데이터 거버넌스, 제로 트러스트 기반 보안 체계까지 중요한 핵심 내용을 다룬다. 기업 실무자, 정책 입안자, 개발자, 법률 전문가가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9791143002426
문혜정 지음, 2025년 6월 27일, 130쪽, , , 128*188mm

위성 영상과 인공지능으로 지구 환경 변화를 추적하는 토지피복 기술을 소개한다. 산불, 도시화, 탄소 배출 등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기술을 시민의 시선으로 해설한다.



9791143001252
류범열 지음, 2025년 6월 30일, 133쪽, , , 128*188mm

AI는 이제 상상 속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가상 존재의 진화 과정을 통해 인간과 AI의 상호작용, 감정, 윤리적 과제를 탐구하며 예술과 기술의 접점을 날카롭게 조망한다.



평생학습용어사전_앞표지_10170_20250528
한국평생교육학회 지음, 2025년 6월 28일, 883쪽, , 128*188mm

우리나라 평생학습 분야 최초의 전문사전이 출간되었다. 『평생학습용어사전』은 한국평생교육학회가 3년에 걸쳐, 102개의 표제어를 가려 뽑고 각 주제별 최고 전문가 77인에게 집필을 의뢰하여 완성하였다. 평생학습이론의 핵심 개념부터 실천 현장의 지침이 되어줄 영역별 대상별 특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어를 총망라하여 구성되었다. 평생학습 연구자는 물론, 현장 전문가와 학교 교사 등 평생학습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본과 원칙을 확인하는데 꼭 필요한 책이다.



9791143002808
고은진 지음, 2025년 6월 30일, 111쪽, , , 128*188mm

AI의 인식 구조는 불교의 연기 사상과 닮아 있다. 초기 불교부터 유식까지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AI 시대의 존재와 수행을 사유한다. 디지털 포교와 AI 수행법도 함께 제시한다.



9791143004192
조철래 지음, 2025년 6월 30일, 127쪽, , , 128*188mm

전통 사주명리학이 AI와 만난다면? 음양오행, 주역, 복잡계 이론을 통해 사주를 데이터 기반의 철학으로 재조명한다. 인간과 운명을 해석하는 새로운 프레임을 제시한다.



9791143005687
조택연 지음, 2025년 6월 20일, 127쪽, , , 128*188mm

디자인을 시각 언어로 보고, 인공지능이 이를 어떻게 학습하고 창조하는지 분석한다. 인간의 시각지능 구조를 모방한 CNN, GAN 기술의 작동 원리와 함께, 생성형 AI가 이미지 문법을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탐색한다. 디자인의 언어적 속성과 AI의 창의력 사이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과제를 살펴보며, 인공지능 시대의 시각적 사고 전환을 제안하는 책이다.



9791143002730
오창우 지음, 2025년 6월 30일, 142쪽, , , 128*188mm

AI는 효율을 높이지만 조직의 윤리와 소통에 중대한 질문을 던진다. AI 기술이 조직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변화와 과제를 조망하며, 인간 중심의 소통 전략을 모색한다.


툴바로 바로가기